최근 수정 시각 : 2024-05-05 00:51:50

토베 얀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핀란드ㆍ스웨덴 영화에 대한 내용은 토베 얀손(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4년 핀란드의 공영방송 YLE가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발표한 명단이다.
TOP 10
1위2위3위4위5위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리스토 뤼티 우르호 케코넨 아돌프 에른로트 타르야 할로넨
6위7위8위9위10위
아르보 윌푀 미카엘 아그리콜라 장 시벨리우스 알렉시스 키비 엘리아스 뢴로트
11위 ~ 10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마티 뉘캐넨 배이뇌 밀뤼린네 빌레 발로 랄리 배이뇌 린나
16위17위18위19위20위
리누스 토르발스 스페데 팔사넨 펜티 린콜라 토베 얀손 베이코 후르스티
21위22위23위24위25위
파보 누르미 민나 칸트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요한 빌헬름 스넬만 헤르타 쿠시넨
26위27위28위29위30위
아르토 사리 미나 실란페 베이뇌 탄네르 루키나 하그만 크리스트프리드 가난데르
31위32위33위34위35위
미카 발타리 미카 해키넨 알바 알토 에우겐 샤우만 타피오 라우타바라
36위37위38위39위40위
에이노 레이노 야코 푀위리 오토 빌레 쿠시넨 유이케 레스키넨 안데르스 쉬데니우스
41위42위43위44위45위
우노 퀴그나에우스 야리 리트마넨 카트리 헬레나 칼라오야 파니 루코넨 안넬리 예텐메키
46위47위48위49위50위
카를 파체르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마우노 코이비스토 헬레네 셰르프베크 레이노 헬리스마
51위52위53위54위55위
요르마 올릴라 라우리 퇴르니 게오르크 헨리크 폰 브라이트 아른트 페쿠리넨 타우노 팔로
56위57위58위59위60위
악셀리 갈렌칼렐라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 퀴외스티 칼리오 파보 루오찰라이넨 라르스 레비 라에스타디우스
61위62위63위64위65위
라세 비렌 헬비 시필래 위리외 칼리넨 아르투리 일마리 비르타넨 날스아슬락 발케아패
66위67위68위69위70위
아르미 쿠셀라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아키 카우리스매키 칼레 패탈로 파보 리포넨
71위72위73위74위75위
아우로라 카람친 사카리 토펠리우스 알리 바이티넨쿠이카 시모 해위해 야코 일카
76위77위78위79위80위
아르토 야바나이넨 레나 팔로티에 카리타 마틸라 베이코 하쿨리넨 헬레 카닐라
81위82위83위84위85위
올라비 비르타 하누 살라마 어윈 굿맨 라일라 키누넨 아르비 린드
86위87위88위89위90위
키르스티 파카넨 라린 파라스케 마틸다 브레데 에르노 파실리나 안티 투이스쿠
91위92위93위94위95위
아니키 태흐티 엘리사베트 레흔 에사 사리넨 마이유 게브하르드 칼레비 소르사
96위97위98위99위100위
악셀 아이로 라우리 윌뢰넨 라이모 헬미넨 아르미 라티아 베이코 시니살로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bgcolor=#dddddd,#000><colcolor=#000000,#dddddd> 토베 얀손
Tove Marika Jansson
파일:attachment/무민/image.jpg
출생 1914년 8월 9일
러시아 제국 핀란드 대공국 헬싱키
(現 핀란드 우시마 헬싱키)[1]
사망 2001년 6월 27일 (향년 86세)
핀란드 우시마 헬싱키
국적
[[핀란드|]][[틀:국기|]][[틀:국기|]]
가족 아버지: 빅토르 얀손[2]
어머니: 시그네 함마르스텐 얀손[3]
배우자(여성): 툴리키 피에틸라[4]
남동생1: 페르 올로프 얀손[5]
남동생2: 라르스 얀손[6]
조카딸: 소피아 얀손[7]
학력 스톡홀름 콘스트팩 대학교
헬싱키 파인아트 아카데미
직업 화가, 삽화가, 작가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토베 얀손은 무민을 그린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스웨덴계 핀란드인 화가, 삽화가, 작가이다.

2. 생애

토베 얀손은 화가였던 어머니와 조각가였던 아버지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무민트롤이 탄생한 것은 1930년대 초반으로 추정된다. 토베가 일기에 '침대 밑의 무민트롤이 밤이 되면 내 슬리퍼를 이쪽 저쪽으로 옮긴다'고 썼기 때문이다.

무민이 잡지에 처음 등장한 것은 1943년으로,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에서 창간된 반전, 반나치 성격의 잡지 GARM의 삽화가로 일하게된 토베 얀손의 정치 풍자만화에 가끔씩 등장했다.

이후 1945년 첫 번째 소설을 발표하고, 이 소설을 원작으로 1947년 핀란드의 스웨덴계 좌익 신문 'NY TID(신시대)'에 'Moomitroll and the end of the world(무민과 세상의 끝)'라는 제목으로 매주 금요일 만화를 연재했지만, 독자들의 눈에는 무민은 부르주아로 보였고, 연재는 중단된다.

1952년 무민의 첫 번째 소설이 영문으로 번역되어 출간된 것을 계기로 당시 세계 최고의 발행 부수를 가진 영국 일간지 'The Evening News'가 연재를 의뢰해서, 1954년 9월 20일부터 매주 6회 만화가 게재되어 엄청난 인기를 얻는다. 7년간의 연재 계약 기간이 끝난 후, 토베는 소재 고갈에 따른 창작의 고통과 다른 그림도 그리고 싶고 그즈음 만난 그녀의 파트너 툴리키 피에틸레와의 생활을 더 중시하고 싶어서 무민 만화 작업에서 손을 뗀다.

코믹 스트립은 1959년까지는 그녀의 둘째 남동생인 라르슨 얀손과 공동 작업을 하고, 1961년부터 1975년까지는 라르스가 그렸다. 어학에 능한 라르스 얀손은 처음에는 스웨덴어로 된 대사를 영어로 옮기는 일을 도와주다가 토베 얀손이 코믹스트립을 그만 그리고 싶다고 하자, 자신이 이어서 그리고 싶다고 제안하고 누나와 엄마에게 그림 수련을 받았다고 한다.

2006년부터 1년에 한 권씩 연재된 코믹스트립들을 책으로 엮어 출판하기 시작했다. 단, NY TID에 실린 만화는 책에 나오지 않는다.

원작 동화 '무민 골짜기의 겨울'은 1966년 어린이 문학의 노벨상인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을 수상했으며, 핀란드 최고 훈장을 받기도 했다.

무민 소설 시리즈와 무민 코믹스트립 외에도 J.R.R. 톨킨호빗 핀란드판 삽화와 루이스 캐롤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스나크 사냥의 삽화를 그리기도 했다.

3. 여담

2020년에는 토베 얀손의 평생의 배우자인 툴리키 피에틸라[8]와 살기 전, 여성 파트너였던 저널리스트 아토스 비비카, 그리고 남성 파트너였던 밴들러와의 사랑 이야기를 담은 핀란드ㆍ스웨덴 영화 '토베 얀손'이 개봉되기도 했다.


[1] 출생 당시인 1914년의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 식민지였다. 1917년에 핀란드가 러시아로 부터 독립하였고 1919년에 핀란드 공화국이 수립되었다.[2] 조각가[3] 화가, 그래픽 아티스트[4] 토베 얀손은 양성애자였다. 툴리키의 직업은 그래픽 아티스트이자 교수[5] 사진작가[6] 만화가. 1961년부터 무민의 작화와 각본을 담당한 공동저자이기도 했고, 1990년대에 일본에서 애니메이션화하는데 관여하여 세계관 확장을 하기도 했다.[7] 애니메이션 감독, 사업가. 라르스 얀손의 딸. 1993년 무민을 주인공으로 하는 일본에서 제작한 첫 극장판 애니메이션 '즐거운 무민 일가:무민 골짜기의 혜성'(Muumipeikko ja Pyrstötähti)의 감독을 맡기도 한다. 또한 무민 캐릭터의 판권 사업을 전담하는 Moomin Characters Oy Ltd.를 설립한 설립자로 무민의 캐릭터 판권 독점 사업을 하여, 무민 시리즈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2004년 집계에서 이 회사는 핀란드 내 최고 고효율 사업체에 이름을 올린다.[8] 토베 얀손이 양성애자였던 관계로 여성 파트너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