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3:33:47

케렌스키 공세


제1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4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전투 이름 교전국
<rowcolor=#FFF> 공격측 방어측
<colbgcolor=#b31c31> 세르비아 침공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벨기에 침공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국경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타넨베르크 전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1차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1차 마른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뉴기니 전투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1차 아라스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1차 이프르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칭다오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코로넬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탕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포클랜드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1차 아르투아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사르카므쉬 전투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도거 뱅크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무제한 잠수함 작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대서양의 선박
다르다넬스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2차 이프르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갈리폴리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고를리체-타르노프 공세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2차 아르투아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이손초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말라즈기르트 전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오소비에츠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코스투리노 전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베르됭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나로치 호수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유틀란트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트렌티노 공세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브루실로프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솜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2차 아라스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비미 리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니벨 공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오트란토 해협 해전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60고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케렌스키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스샹달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머러셰슈티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말메종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카포레토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베르셰바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2차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루덴도르프 공세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피아베강 전투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차 마른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백일 공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아미앵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생 미이엘 공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colcolor=#fff><colbgcolor=#536349> Kerenski-Offensive
Наступление Керенского
케렌스키 공세
날짜 1917년 7월 1일 ~ 19일
장소 동부전선 갈리시아
교전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러시아 공화국|
러시아 공화국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루마니아 왕국|
루마니아 왕국
]]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알렉세이 구토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펠릭스 그라프 폰 보트머|
펠릭스 그라프 폰 보트머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레오폴트 폰 바이에른|
레오폴트 폰 바이에른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막스 호프만|]]
전력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제7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제8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제11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제1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독일 제국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 남부집단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제7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제3군
피해 규모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러시아 공화국|
러시아 공화국
]] 약 60,000명 전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독일 제국|]] 약 38,000명 전사
결과 동맹국의 승리

1. 개요2. 배경3. 전투4. 여담

[clearfix]

1. 개요

케렌스키 공세는 제1차 세계 대전의 동부전선 중 일부로, 러시아군의 마지막 공세였다. 하지만 동맹국의 승리로 끝났다.

2. 배경

우선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공세는 러시아의 전쟁 장관이었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지시한 공세로 러시아의 명장 알렉세이 브루실로프가 지휘하였다. 케렌스키 공세가 시작된 당시 러시아는 매우 혼란스러웠다. 혁명으로 인해 기존의 제국 질서가 무너져버린 상황이라 귀족 출신인 장교들이 종종 사병들의 희생양이 되기도 하는 등 혼란이 계속 확산되고 있었다. 케렌스키는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큰 전투에서의 승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브루실로프에게 이 공세를 제안하였다.

3. 전투

케렌스키 공세의 시작은 매우 좋았다. 독일 제국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3개의 참호를 점령하였고, 12,000명의 포로를 잡았다. 뒤를 이은 두 번째 공세에서도 6,300명의 포로를 잡으며 성공가도를 이어갔다. 이런 성공에 고무되어 러시아군은 적 전선에 굉장히 깊게 파고드는 공세를 계속하였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은 간단하게 무너지면서 러시아군은 공세를 성공하였다고 생각하였다.

당시 동맹국이 속수무책으로 당하기만 한 이유는 역시나 국가 내부가 개판이었기 때문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군사적으로 한계에 봉착하고 있었고, 독일 제국도 정치적으로 문제가 있었다. 당시 수상이었던 테오발트 폰 베트만홀베크가 무제한 잠수함 공격에 반대를 보였다가 자신의 자리에 위협을 느끼고 있었고 엎친데 덮친격으로 이후 교황이 되는 에우제니오 마리아 주세페 조반니 파첼리는 전쟁을 중지시키려고 하면서 독일 제국은 상당히 난처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러시아군의 상태가 매우 좋지 못했던 것이 발목을 잡기 시작한다. 당시 러시아는 혁명으로 나라가 뒤집혔을 정도로 막장이었으니 군대가 제대로 돌아갈 리도 없었다. 물자는 부족했고 당장 먹을 것도 없어 탈영하는 병사들이 계속 늘어났다. 초반 러시아의 승리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상태가 똑같이 좋지 않다 보니 제대로 방어하지 않아서 얻은 승리에 불과하여 보급만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고, 그에 따라 시간이 흐를수록 공세는 급격히 약해지기 시작하였다. 보급이 되지 않으니 피해는 커져만 갔고 손실이 커질 때마다 장교의 위상이 떨어지면서 나중에는 병사들이 장교의 말에 복종하지도 않을 정도가 되었다. 결국 러시아군은 더이상 공세를 하지 못할 지경에 이르렀고, 7월 20일부터 7월 23일까지 오히려 후퇴를 하기에 이른다. 머지 않아 독일 제국군의 원군이 투입되기 시작하자 전세는 완전히 뒤집혀 버렸고 이렇게 러시아군의 마지막 공세는 끝이 났다.

4. 여담

케렌스키가 직접 전투에서 장병들을 격려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