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21:37:13

카롤 2세


<colbgcolor=#993462>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장.svg
루마니아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93462, #993462 20%, #993462 80%, #99346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왕조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카롤 1세 페르디난드 1세 미하이 1세 카롤 2세
<rowcolor=#fff> 제5대
미하이 1세
}}}
왈라키아 · 몰다비아 ·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
루마니아 왕국 · 루마니아

루마니아 총리
}}}}}} ||

<colbgcolor=#993462><colcolor=#ffffff> 루마니아 제4대 국왕
카롤 2세
Carol II
파일:Carol_II_of_Romania.jpg
출생 1893년 10월 15일
루마니아 왕국 시나이아 펠레슈 성
사망 1953년 4월 4일 (향년 59세)
포르투갈 제2공화국 리비에라 이스토릴
재위기간 루마니아 국왕
1930년 6월 8일 ~ 1940년 9월 6일
서명 파일:카롤 2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93462><colcolor=#fff> 가문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가문
이름 카롤 카라이만
(Carol Caraiman)
아버지 페르디난드 1세
어머니 에든버러의 마리 공녀
형제자매 엘리사베트, 마리야, 니콜라에, 일레아나, 미르체아
배우자 지지 람브리노 (1918년 결혼 / 1919년 무효화)
그리스와 덴마크의 엘레니 (1921년 결혼 / 1928년 이혼)
마그다 루페스쿠 (1947년 결혼)
자녀 카롤, 미하이 1세 }}}}}}}}}
파일:CarolII.webp
공식 초상화

1. 개요2. 생애3.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루마니아 왕국의 제4대 국왕.

2. 생애

카롤 2세(Carol II)는 호엔촐레른페르디난드 1세에든버러의 마리[1]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루마니아 땅에서 태어나고 루마니아어가 모국어인 최초의 호엔촐레른 가문 국왕이다. 그는 1914년 아버지가 루마니아 왕 페르디난드 1세로 즉위하자 알바이울리아 대공[2]이 되었다. 그리고 그리스와 덴마크의 엘레니[3]와 결혼해 아들 미하이를 얻었다.

문제는 그가 여자를 매우 밝혔다는 거다.[4] 엘레니 공주와 만나기 전에 지지 람브리노(1898~1953)라는 여성과 사귀면서 카롤 람브리노(1920~2006)이라는 아들을 낳은지라[5] 평판이 좋지 못했으며[6], 지지 람브리노와의 연애야 결혼 전에 사귀다 깨진 걸로 볼 여지가 있다고 쳐도 엘레니 공주와 결혼한 뒤에도 마그다 루페스쿠와 대놓고 동거했다.

결국 이러한 난잡한 짓으로 페르디난드 1세와 백성들의 신뢰를 잃은 카롤은 1925년 왕위 계승 서열에서 배제되었고, 페르디난트 1세가 승하하자 1927년 그의 아들 미하이가 미하이 1세로 즉위했으며, 1928년에는 카롤의 행태에 끝내 폭발한 엘레니가 카롤과 이혼한다.

1930년 루마니아로 돌아온 카롤은 의회와 '아내와의 관계를 회복한다'는 조건으로 아들을 알바이울리아 대공으로 격하시키고 카롤 2세로 즉위했으나, 즉위한 뒤에도 계속 마그다를 만나면서 아내와의 관계를 회복할 생각이 없음을 인증했다.

게다가 쓸데없이 정치적 권모술수에만 뛰어나서 코드레아누철위대에게 몰래 자금을 지원했고[7] 농민당과 자유당에 내분을 조장하여 무너뜨렸으며, 1933년에 헌법을 폐지해 버린다. 결국 이 때문에 루마니아 의회가 군소정당들의 난립으로 난장판이 되자 그는 이를 빌미로 군주 독재정의 수립을 선언하였으며 1938년 2월에는 새 헌법을 만들어 의회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민족 재건 전선이라는 자신의 조직을 만들어 독재 정치를 펼쳤다. 안 그래도 카롤에 대해 영 좋지 못하던 민심은 사실상 카롤에게 완전히 적대적으로 돌아서버렸다. 특히 사형 제도를 부활시킨 게 결정타였다.

결정적으로 그 정치적 권모술수를 짤 머리가 외교에서는 안 돌아간 건지, 1940년 나치 독일의 압력으로 북부 트란실바니아헝가리 왕국에, 남부 도브루자불가리아 왕국에 할양한 것으로도 모자라 베사라비아부코비나 북부소련할양하게 되면서 선왕 시절에 이루어 놓은 대루마니아의 영토가 대폭 줄어들어 버렸다.[8] 이온 안토네스쿠[9]와 의회는 끝내 폭발하여 카롤 2세를 폐위시키고 미하이 1세를 복위시켰다. 이후 포르투갈 제2공화국 이슈토릴[10]에 정착하여 마그다와 1947년에 결혼했다가 1953년 사망. 포르투갈에 묻혔으나 2003년 루마니아로 유해나마 돌아왔다.

당연하지만 어머니를 버려두고 바람을 피웠고, 불륜을 그만두겠다는 조건으로 자기 왕위를 빼앗더니 그 조건도 제대로 안 지켰거니와, 잘 통치한 것도 아니라 나라를 자기 소유의 빵조각마냥 멋대로 다루며 이놈저놈 다 뜯어준 아버지 카롤 2세에 대한 아들 미하이 1세의 감정이 좋을 리 없다. 둘은 1940년 이후 한 번도 만나지 않았고, 미하이는 카롤의 장례식에도 불참했다.

유일한 업적(?)이라면 축구광이어서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에 참가시켜 루마니아를 월드컵 원년 멤버로 만든 정도. 그나마도 기실 1승 1패로 조별리그 탈락[11]에 불과했기에, 참가에 의의를 두는 수준이다.

3. 매체에서

파일:Carol II(Hearts of Iron IV).jpg
호이4에서 독재군주정 수립 중점을 타면 루마니아 국가원수로 등장하는데 국가원수로 등장하기 전부터 사치를 부리느라 1%가 아까운 소비재 공장 비율을 강제로 늘려 공장 생산량을 박살내며 유저의 혈압을 올리는가 하면 애인과 놀아나느라 정치력 소모를 강요하고 기본 안정도도 깎아먹는 등 계속 사고를 친다. 그렇기 때문에 별명이 'ㅂㅅ왕'이며 편안한 플레이를 위해서는 빨리 제거해야 한다. 국가 중점을 통해서 아들 미하이 1세에게 퇴위를 강요하게 할 수도 있고 아예 내전을 터뜨려 공산국가 수립이나 안토네스쿠의 파시즘 국가 수립도 가능하다. 폐위를 시키면 멕시코의 부촌으로 애인과 함께 도망간다. 다만 떠날 때도 '카롤 2세의 비어있는 계좌'라는 페널티를 남기고 간다. 혹은 시간이 조금 걸리지만 '모든 파티는 끝나야만 한다' 중점을 완료하면 좀 나아진다.

위 게임의 모드인 카이저라이히:대전의 유산에서도 루마니아 왕국의 국왕으로 등장한다. 다행히 소비재 증가같은 디버프는 없어 바닐라보다는 취급이 낫지만 여기선 안정도를 깎아먹는다.

여기서는 아버지에게 무사히 왕위를 물려받았지만 농민당과 자유당에 내분을 일으켜 쫓아낸 것은 똑같다.
원 역사에서 본인이 처형한 코드레아누, 그리고 그의 대천사 미카엘 군단과 아직 손을 잡고 있는데, 자강두천 저리가라 할 정도로 권력투쟁을 벌인다. 1937년 세르비아 주도의 베오그라드 협약에 참가해 불가리아를 패배시키면 도브루자를 할양받으며, 힘을 키워 세르비아, 그리스와 함께 오스트리아 제국을 패배시키면 트란실바니아와 부코비나를 획득할 수 있다.

트란실바니아와 부코비나까지 획득하고 나면 본격적으로 코드레아누와 생사를 건 권력투쟁을 벌이는데, 이 과정에서 서로의 목숨을 빼앗기도 한다. 싸움이 격화되면 어부지리로 대천사 미카엘 군단의 당내 야당인 알렉산드루 칸타쿠지노가 권력을 잡아 국민군단국가를 건설하기도 하고, 보다못한 군부가 개입해 미하이 1세의 민주 정부를 복원하기도 한다.

권력투쟁에서 승리하면 스스로를 신격화하며 헌법에 이를 명문화한다. 전반적으로 향락주의적이고 호색한인 바탕 성격은 현실과 마찬가지지만, 카라 세계에서 루마니아는 1차대전의 승전으로 인해 대루마니아의 구현이란 어마어마한 뽕은 커녕 열심히 싸웠는데도 결국 패전국으로 전쟁을 끝내며 정파불문한 나라 전체가 민족통일주의적 복수심으로 똘똘 뭉쳐있다. 때문에 현실과 비교해선 그나마 어쨋든 부국강병을 이룩해 좌절된 대루마니아의 꿈을 이뤄야 한다는 최소한의 군주적, 애국적 책임감은 있는 모양이다.
[1] 에든버러 공작 알프레드(빅토리아 여왕의 차남)와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알렉산드르 2세의 차녀) 사이의 장녀[2] 루마니아 왕국에서 왕의 후계자에게 붙이던 칭호.[3] 콘스탄티노스 1세프로이센의 조피 사이의 장녀(셋째)이다.[4] 그의 어머니인 마리도 바람기가 심했다고 하니, 모전자전이다.[5] 카롤 람브리노의 장남인 파울필리페 데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1948년생)은 자신이 가문의 주인임을 주장하고 있으며, 2010년에 무려 62세(!)라는 나이로 아들을 낳았다. 공식적으로는 현대 의학의 힘을 빌렸다지만, 파울필리페와 그 부인의 나이(1949년생으로, 파울필리페보다 1살밖에 적지 않다.)를 생각하면 인공수정 혹은 대리모를 통한 출산이 정설이다.미하이 1세는 딸만 5명을 둔 지라 살리카법 때문에 그의 주장에 힘이 실리는 듯 하였으나, 그도 귀천상혼 때문에 계승 자격이 없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미하이 1세가 2011년에 아예 호엔촐레른 가문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로므니아 왕가로 바꾸면서 사실상 꽝.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본가에서는 그래도 귀천상혼 쪽에 긍정적이었다고 한다.[6] 러시아 제국 니콜라이 2세의 장녀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과 혼담이 오갔을 때도 그의 플레이보이 기질 때문에 올가가 좋은 감정을 갖지 못해 거절했다.[7] 정작 코드레아누의 인기가 높아지자 이를 질투하여 그를 처형했다.[8] 헝가리에 떼어준 북부 트란실바니아는 독일·헝가리와 전쟁을 해서 1945년에 되찾았지만, 그 외의 땅은 상실한 채 지금의 루마니아 국경선으로 굳어져버렸다.[9] 카롤의 군 복무 당시 부대 사령관으로, 그의 잦은 군무이탈로 인해 카롤에 대한 불신이 쌓여 있었다.[10] 호르티 미클로시1946년 헝가리 왕국의 패망 당시 이곳으로 망명했다.[11] 당시에 조별리그에서 한 조는 3팀이었으며, 루마니아는 우루과이, 페루와 함께 3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