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1:04:08

츠카다 히데아키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px><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red> 파일:슈퍼전대 로고.png
슈퍼전대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rowcolor=#fff> 1대
(1975​)
2대
(1977)
3대
(1979​)
4대
(1980​)
5대
(1981​)
<rowcolor=#fff> 6대
(1982​)
7대
(1983​)
8대
(1984​)
9대
(1985​)
10대
(1986​)
<rowcolor=#fff> 11대
(1987​)
12대
(1988​)
13대
(1989​)
14대
(1990​)
15대
(1991​)
<rowcolor=#fff> 16대
(1992​)
17대
(1993​)
18대
(1994​)
19대
(1995​)
20대
(1996​)
<rowcolor=#fff> 21대
(1997​)
22대
(1998​)
23대
(1999​)
24대
(2000​)
25대
(2001​)
<rowcolor=#fff> 26대
(2002​)
27대
(2003​)
28대
(2004​)
29대
(2005​)
30대
(2006​)
<rowcolor=#fff> 31대
(2007​)
32대
(2008​)
33대
(2009​)
34대
(2010​)
35대
(2011​)
<rowcolor=#fff> 36대
(2012​)
37대
(2013​)
38대
(2014​)
39대
(2015​)
40대
(2016​)
<rowcolor=#fff> 41대
(2017​)
42대
(2018​)
43대
(2019​)
44대
(2020​)
45대
(2021​)
<rowcolor=#fff> 46대
(2022​)
47대
(2023​)
48대
(2024​)
번외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아키바레인저 로고.png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
파일:DINO_BRAVE.png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
파일:슈퍼전대4주스페셜logo.png
4주 연속 스페셜 슈퍼전대 최강 배틀!!
파일:히어로 마마 리그 로고.png
히어로 마마 리그
}}}}}}}}}


1. 개요2. 상세3. 담당 작품
3.1. 치프 프로듀서3.2. 프로듀서3.3. 기타

1. 개요

塚田 英明(つかだ ひであき)
1971년 11월 20일~

토에이 소속의 드라마 및 영화 프로듀서.

와세다대학 재학 시 특촬 팬 서클 ‘괴수 동맹’에 소속되어 있었다. 아내는 토에이 프로듀서 츠카다 유키.

2. 상세

소년만화나 드라마 성이 강한 작품에 영향을 받아 정교한 설정보다는 거칠고 임팩트 있는 설정과 왕도적인 전개를 선호해 열혈다움, 진지한 드라마, 개성적인 캐릭터 등이 특징이다. 주연 캐릭터를 속단 속결로 행동하는 열혈한으로 설정하는 편이며, 게키레인저의 칸도 쟝, 데카레인저의 아카자 반반, 허리케인저의 시나 요스케 등을 들 수 있다.

드라마, 애니메이션, 특촬 등에서 패러디를 많이 사용한다.[1]

권법, 닌자, 건 액션 등, 속도감이나 현장감이 있는 액션 장면이나 액션 캐릭터가 사용될 때가 많으며, 위에 예시로 든 슈퍼전대 시리즈 세 작품과 가면라이더 포제의 권법가 사쿠타 류세이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13년 만의 슈퍼전대에 참가한 키라메이저에서는 e스포츠 등의 트렌드도 도입하며, 여성 캐릭터는 아이돌 관련 소재를 넣어 데카레인저에서 시리즈 사상 처음으로 여주인공의 주역 에피소드에만 사용되는 전용 엔딩 테마를 사용했다.

데카레인저는 SF 작품으로서 고평가 받아 2006년도 성운상을 수상했고, 게키레인저에서 기획 초기부터 각본가의 보조로 일하며 수권의 역사와 체계를 상세하게 설정한 연표를 작성했고, 각본가는 아라카와 나루히사, 요코테 미치코, 산죠 리쿠, 하세가와 케이이치와 합을 맞추는 경우가 많다.

그림을 잘 그려 가면라이더 아기토 때부터 토에이 공식 사이트에 제작 과정을 기록하는 그림일기 코너를 개설하고 있으며, 데카레인저에서 자신이 그린 그림을 등장인물이 그린 그림으로서 극 중에서 사용하고 있다.

토에이 쿄토 촬영소에 오래 머물러서 쿄토와 인연이 깊다. 아바레인저 이후 슈퍼전대 시리즈에 쿄토 로케이션이 관례가 되어 초닌자대 이나즈마는 전편을 쿄토에서 촬영하고 가면라이더 W, 가면라이더 포제에서도 쿄토 로케이션를 실시했다.

3. 담당 작품

3.1. 치프 프로듀서

3.2. 프로듀서

3.3. 기타


[1] 키라메이저에 유독 패러디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