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9 10:46:20

축구장에 물채워라

파일:attachment/축구장에 물채워라/Example.jpg
셰필드 웬즈데이의 홈구장[1]

1. 개요2. 유래3. 원조와 아류4. 축빠 VS 야빠5. 전세계적으로 쓰이는 표현

1. 개요

인터넷 유행어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냈을 때 비난하는 말이다.

2. 유래

"축구장 없애고 물이나 채워라"라는 관용구는 이전에도 간간이 사용되었지만,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유행어로 뜨기 시작한 시점은 2008 베이징 올림픽 때다. 이때 대한민국 올림픽 축구 대표팀은 박성화 감독의 지휘하에 양박쌍용 중 박지성을 제외한 3명이 포함되어 2004년 첫 8강 진출 이상의 기대를 받았지만 조별리그에서 1승 1무 1패[2]로 광탈했다.

반대로 축구의 경쟁상대였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무패 우승으로 금메달을 땄고 한국 역사상 최초로 수영 금메달을 안긴 박태환비인기 종목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자, 네이버의 한 네티즌이 "축구장에 물채워라"라는 댓글을 남긴 것에 다른 사람들이 이에 호응하면서 유행어로 굳어지면서 이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기대 이하의 성적으로 팬들을 실망시킬 때마다 자주 쓰이곤 한다.

3. 원조와 아류

원조 버전은 "축구장에 물 채워라. 박태환 수영해야 한다."[3]이다.# 다음과 같은 아류가 있다.
  • "겨울에는 물 얼려라, 김연아 스케이트 타야 한다."
  • "축구장에 매트 깔아라, 장미란 바벨 들어야 한다."[4]
  • "축구장에 매트 깔아라, 남현희 플뢰레 연습해야 한다."
  • "축구장에 매트 깔아라, 최민호 유도 연습해야 한다."
  • "골대 크기 줄여라, 핸드볼 슈팅 연습해야 한다."

그 외에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종목에서 목메달을 딴 일본에 대해 "도쿄돔에 물채워라, 기타지마 코스케 수영해야 한다."라는 바리에이션도 있으며 엘롯기송에는 "야구장 싹 다 밀고 수영장 만들어서 박태환 수영하라 그래라. 겨울에는 스케이트장 만들어서 김연아 스케이트 타라 그래라."라고 하는 바리에이션이 있다. 그리고 2019년 광주세계수영선수권 대회에서 남부대 축구장과 조선대 축구장을 각각 수구 경기장과 하이다이빙 경기장으로 개조하면서 정말로 수영하려고 축구장에 물을 채우는 일이 일어났다.

박태환 본인도 "축구장에 수영장 만들면 안될까요?" 라는 비슷한 뉘앙스의 말을 한 적이 있다. 물론, 대한민국 축구를 비하한 것은 절대 아니고 정확히는 '수영 등 비인기 종목도 인기 종목만큼 지원을 받았으면 좋겠다'는 의미다. 결정적으로 박태환은 진성 축구 팬으로 알려져있다.#

4. 축빠 VS 야빠

야구vs축구의 일환으로 축구장과 야구장의 상호전환을 주장하는 경우도 가끔 발생하는데, 이 경우 사직 야구장이나 메이저리그 야구장 같은 겸용구장이 실제로 존재하긴 한다. 다만 안전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결국은 야구든 축구든 전용구장이 되는 경우가 많다.

5. 전세계적으로 쓰이는 표현

상세한 멘트는 다르지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현이다.

기업의 스폰싱으로 대표되는 대대적으로 지원을 크게 받는 주류 종목이 국제대회에서 성적이 부진할 때에 비주류 종목이 국제적으로 활발한 성적을 거두면 그걸 더 지원하자는, 비슷한 비난이 나오는 건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이미 전세계적으로 나오는 일이다.

잉글랜드에서 유로 2008 본선조차 광탈하고 2008 베이징 올림픽 사이클 종목에서 금메달영국에서 8개나(참고로 사이클에선 14개 금메달이 걸려있다.)따내자 "축구장을 사이클 경기장으로 만들어라."는 비난이 속출했던 것과 축구 최강국인 브라질조차도 축구가 국제대회에서 부진하면, 역시 세계적으로 브라질이 최강급인 배구를 들먹이면서 "축구장을 배구장으로 만들어라."는 비난이 나오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다.


[1] 이 사진은 잉글랜드에 있는 셰필드 웬즈데이의 홈구장 힐스버러 스타디움으로 힐스버러 참사가 일어났던 경기장이다. 2007년 영국 대홍수 사태로 인해 돈 강이 범람하면서 저렇게 물이 찼다.[2] 카메룬전 1-1, 이탈리아전 0-3, 온두라스전 1-0.[3] 전술한대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 나온 표현이다. 이 당시 박태환은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대한민국 수영금메달을 안긴 국민 영웅급 대스타였다. 그러니 이런 말이 나오는 것.[4] 바리에이션으로 골대는 바벨 대신 쓰게 냅둬라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