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21:54:39

최창조

<colbgcolor=#003863><colcolor=#fff> 대한민국의 교수
최창조
崔昌祚
파일:교수 최창조.jpg
출생 1950년 1월 3일
서울특별시
사망 2024년 1월 31일 (향년 74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서울대학교 (지리학 / 학사)
서울대학교 (지리학 / 석사)
서울대학교 (지리학 / 박사)
경력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녹색대학 대학원장
녹색대학 풍수풍류학전공 교수
전북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청주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국토개발연구원 주임연구원
전북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청주사범대학 지리학과 교수
가족 배우자 박증숙, 슬하 1남 최준보 1녀 최전경

1. 개요2. 생애3. 사망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교수.

2. 생애

그는 195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후 서울대 지리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시에 그가 1984년에 낸 첫 책 ‘한국의 풍수사상’은 학술서이지만 수만 권이 팔리며 최창조라는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 동시에 한국에 풍수열풍을 불러오기도 했다. 국토개발원 주임 연구원을 거쳐 전북대,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를 지냈으나, 서울대로 간 지 4년 만인 1992년 교수직을 내던지면서 학계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는 묏자리의 길흉을 점쳐 판단하는 풍수를 일컫는 음택풍수(陰宅風水)에 반대하면서 명당은 사람이 자연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지론을 폈다. 또 한국 자생풍수의 본질은 땅의 결함을 고치는 비보(裨補)라면서 “우리 풍수는 좋은 땅을 찾자는 게 아니라 병든 곳을 찾아 침을 놓고 뜸을 뜨자는 것”이라는 논지를 펼쳤다. 또한 2004년에는 한 계간지에 기고한 '풍수로 본 청와대 비극과 천도 불가론' 글을 통해 당시 논의 중이던 행정수도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혀 주목받기도 했다.

3. 사망

2024년 1월 31일 오후 9시 사망했다. 향년 74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