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00:39:22

채은성/선수 경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채은성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F60> 파일:SILVER STAR.png 관련 문서
채은성
Chae Eunseon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효천고등학교 야구부
프로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LG Twins
2009년 · 2010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2023년 · 2024년
기타
플레이 스타일 · 여담
}}}}}}}}} ||

1. 개요2. 아마추어 경력3. LG 트윈스
3.1. FA
4. 한화 이글스5. 수상 경력
5.1. KBO5.2. 기타
6. 연도별 성적

1. 개요

한화 이글스 소속 외야수 채은성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

2. 아마추어 경력

효천고에 재학하며 중심타선에서 좋은 활약을 보였으나, 워낙 팀 자체가 약체팀인지라 주목받는 일은 없었다. 애당초 효천고는 본선에도 거의 못 올라가는 팀이었다. 고교 시절 기본 포지션은 1루수3루수였다. 고등학교 입학 당시 주 포지션은 포수였다.

3. LG 트윈스

파일:가을남자채은성.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채은성/선수 경력/LG 트윈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신고선수로 들어와 팀의 4번타자가 된 또 하나의 신고선수 신화.2010년대 초반 LG 트윈스에게 타자를 키울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준 선수이자 2010년대 후반에는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가 되었다.

3.1. FA

11월 17일부로 FA 신분이 된다. 루머에 의하면 선수풀이 얕은 한화 이글스에서 물밑에서 협상[1]하고 있다는 루머에서 한화로 간다는 소문이 퍼지자 차명석 단장은 "탬퍼링 아니냐, 모든 단장들은 통화기록을 까봐야한다."며 불편한 기색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선수 본인의 잔류 의지가 강하고, 아내가 관리하는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LG에 남아 달라는 팬의 스토리를 태그하는 등 아직은 잔류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이 루머 2개는 모두 실현되었다.

현재 들리는 썰에 의하면 한화는 채은성에게 4년 90억 전후의 금액을 제시했다고 한다.

뭐니볼TV에서 밝힌 바로는 LG는 6년 장기 계약을 제시했다고 한다. # KIA도 채은성에 관심이 있다고는 하지만 그렇게 적극적인 편은 아니고, 현재로서는 한화 이글스LG 트윈스의 2파전으로 예상된다.

그러던 와중 박병호의 kt행과 금액을 발표 이틀 전에 맞춘 MLB파크의 한 유저가 채은성 한화행이 유력하다는 글을 올리면서 현재는 한화 이적으로 힘이 쏠리고 있다. #[2]

그러나 11월 20일 하주석의 뜬금없는 음주운전으로 인한 유격수 공백을 채워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에 또 모르는 상황.[3]

그러던 중 채은성이 11월 21일 한화 이글스와 계약을 완료했고, 내일쯤 발표 된다는 썰이 들리기 시작했다. # #
파일:드디어.jpg
파일:손혁 채은성.jpg
파일:채은성 한화 6년계약.jpg
<colbgcolor=#f60><colcolor=#fff> 계약서에 서명하는 채은성
파일:한화발표채은성.jpg
한화 이글스와 계약한 후
6년 90억원
(계약금 36억원, 연봉 총액 44억원, 옵션 10억원)

11월 22일 오전에 LG 트윈스가 다른 계약 건에 착수한다는 기사가 올라오면서 한화 이적이 유력시됐고, 기사가 올라온지 약 3시간 후에 6년 최대 90억[4]의 조건으로 한화로 이적했다.# LG는 썰처럼 6년 계약을 제시하며 프랜차이즈로 남아달라는 뜻을 드러냈지만 샐러리캡 때문에 금액 문제에서 의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결국 금액을 원하는 만큼 줄 수 있던 한화로 가기로 뜻을 굳혔다고 할 수 있다.
채은성 계약 현장 풀버전

한화에서 달게 될 등번호는 불명이다. LG에서 사용하던 55번은 강재민이 쓰고 있는데,[5] 본인은 인터뷰에서 강재민이 이미 자리를 잡은 선수인 만큼 등번호를 뺏을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대신 비어 있고 55번을 거꾸로 뒤집은 22번[6]을 달 의사를 드러냈으나, 한화에서 오랫동안 22번을 써온 이태양이 다음날 복귀하면서 다른 번호를 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이태양 본인이 "새로운 시작을 하는 만큼 새로운 번호를 달아보고 싶다. 은성이형이 돈도 더 많이 받았으니까 양보하는 게 맞지 않나" 라고 언급하면서 46번을 달았고, 결국 채은성은 22번을 달게 되었다.

그리고 20인 명단을 받은 다음날인 11월 28일에 LG에서 FA 보상 선수로 윤호솔을 지명했다. 김규연이나 박정현 중 한 명을 예상했던 한화 팬들은 선방했다는 평. 여담이지만 한화의 선수 뎁스가 너무 약해서 차명석 단장이 카를로스 수베로 감독과 손혁 단장을 넣어야 17인이 완성된다는 농담을 해 한화 팬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4. 한화 이글스

4.1. 2023 시즌

파일:채은성 끝내기.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채은성/선수 경력/2023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화 이글스에서 맞이하는 첫 시즌. 집중 견제와 후반기 부진으로 전반기에 비하면 시즌 성적은 아쉬운 편이지만 탈잠실 효과로 2018시즌 이후 5년만에 20홈런을 기록했고, 타선에선 노시환에게 집중될 수 있었던 견제를 분산시켜줬으며 어린 선수들의 멘토 역할을 해 경기 안팎에서 좋은 영향력으로 나름대로 성공적인 이적 첫 시즌을 보냈다.

4.2. 2024 시즌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채은성/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수상 경력

5.1. KBO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

채은성의 KBO 수상 경력
2016 나눔 올스타(감독추천)
2019 페어플레이상
2021 나눔 올스타(베스트12)
2023 나눔 올스타(베스트12) / 미스터 올스타 /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5.2. 기타

채은성의 기타 수상 경력
2018 일구상 의지노력상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기량발전상

6. 연도별 성적

  • 푸른 글씨는 KBO 최다,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채은성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2009 LG 1군 기록 없음
2010
2011 군 복무 (현역)
2012 1군 기록 없음
2013
2014 62 197 44 11 1 1 18 15 5 21 36 .277 .385 .377 .762 100.5 0.60
2015 90 198 43 11 2 4 25 20 3 14 39 .249 .318 .405 .723 83.5 0.38
2016 128 451 126 20 3 9 64 81 7 31 75 .313 .365 .444 .809 105.6 2.01
2017 114 372 89 12 3 2 28 35 5 17 66 .267 .323 .339 .663 66.8 -0.79
2018 139 578 175 36 2 25 78 119
(4위)
3 35 97 .331 .379 .548 .927 137.5 4.73
2019 128 513 148 18 1 12 59 72 2 24 66 .316 .359 .435 .794 124.5 3.16
2020 109 464 122 17 2 15 59 88 0 32 69 .293 .351 .452 .803 116.9 2.08
2021 110 448 107 20 0 16 59 82 4 38 80 .276 .359 .452 .812 128.2 2.86
2022 126 526 138 26 2 12 48 83 6 27 88 .296 .354 .437 .790 127.3 2.89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2023 한화 137 596 137 17 0 23
(3위)
71 84 0 52 102 .263 .351 .428 .779 118.6 2.64
KBO 통산
(10시즌)
1143 4343 1129 188 16 119 509 679 35 291 718 .293 .356 .442 .798 113.9 20.57


[1] 지난시즌까지 외야수로 뛴 만큼 외야도 볼 수 있으나 고질적인 수비가 문제다. 그러나 1루수로 뛴다면 기존 1루수 주전 김인환과 함께 지명타자를 번갈아가면서 체력 안배를 시키는 등 한화로서는 활용도는 어느 정도 있는 편이다.[2] 다만 박병호 썰을 올린 시점이 DK가 라이브 방송으로 먼저 이야기한 후 몇십 분 이후에 올렸기 때문에 한화 팬은 오피셜 기사가 올라오기 전까지 기대를 하지 않는 것도 좋다.[3] 당시 FA로 나온 유격수 후보로는 노진혁, 김상수, 오선진이 있었다. 그리고 한화는 후에 오선진을 데려왔다.[4] 계약금 36억, 연봉 44억, 옵션 10억[5] 정민철의 전성기 등번호로서 윤규진에 이어 강재민까지 투수들이 물려받아 쓰고 있다.[6] LG에서는 김현수가 달았던 번호로, 실제로 김현수에게 보고 배운 것이 많아서 22번을 달았다고 직접 언급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0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