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22:39:23

창원 S-BRT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102589> 신교통형
BRT
세종특별자치시 BRT(바로타)
일반형
BRT
고양 BRT 청라-강서 BRT
청라국제도시 GRT 부산광역시 BRT
대구광역시 BRT 광주-나주 BRT
광주광역시 BRT 대전광역시 BRT
전주 BRT
Super
BRT
세종특별자치시 BRT(바로타)
실증사업
인천 S-BRT 계양-대장 S-BRT
창원 S-BRT 성남 S-BRT
}}}}}}}}} ||


파일:창원시 CI.svg 창원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마산역 · 창원역 · 창원중앙역
경전선 마산역 · 창원역 · 창원중앙역 · 중리역
도시철도
광역철도
창원 도시철도 · 녹산-진해 광역철도
도로 고속도로 남해선 (북창원IC, 동창원IC) · 남해1지선 (내서IC, 서마산IC, 동마산IC) · 남해3지선 (신항IC, 진해IC) · 중부내륙선 (내서IC)
국도 2 · 5 · 14 · 25 · 58 · 77 · 79
지방도 30 · 60 · 67 · 1002 · 1020 · 1021 · 1029 · 1030
의창구의 로 · 성산구의 로 · 마산합포구의 로 · 마산회원구의 로 · 진해구의 로
버스 시내버스 창원시 시내버스 · 창원 S-BRT
버스 터미널 고속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마산고속버스터미널
시외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의 교통

1. 개요2. 경과
2.1. 개통 전 반대 여론2.2. 개통 후
3. 정류장 목록4. 계획 구간5. 여담

1. 개요

2024년 5월 15일 개통된 창원시간선급행버스체계.

2. 경과

1990년대에 급격히 팽창하던 마창진 생활권, 즉 현재의 창원시에 도시철도를 도입하려는 시도는 계속 있어 왔다.(창원 도시철도/역사 문서 참조) 그러나 IMF 외환위기를 비롯한 예산 문제로 이러한 계획들은 여러 차례 백지화됐는데, 그럼에도 창원 시내버스가 유일한 대중교통인 인구 백만 명대의 대도시 창원시를 하나로 묶는 간선교통의 필요성은 끊임없이 제기됐다. 창원시의 2019년 기준 대중교통 분담률은 23.6%로, 수원(43.8%), 고양(41.6%), 용인(32.9%) 등 수도권 특례시와 비교해 절반 수준에 그친다.#

그렇게 번번히 무산되던 도시철도의 대안으로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환경 조성을 위한 창원 S-BRT 구축사업이 2020년 1월 국토교통부 시범사업으로 선정되면서 해당 사업의 물꼬가 트이게 된다. 창원시는 2020년 12월 '창원 BRT 구축사업 개발계획'을 확정해 2021년 2월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착수 등을 거쳐 설계(안)을 마련했고, 2022년 8월 3개 권역(의창구청, 반송동행정복지센터, 가음정동행정복지센터)에서 주민설명회를 통해 시민 의견을 반영한 뒤 2022년 9월 경상남도에 실시계획 승인을 신청, 같은 해 11월 실시계획이 승인 및 고시됐다.
파일:창원BRT트램노선도.jpg
창원시 BRT · 트램 노선도
창원시는 1단계인 '창원 원이대로 S-BRT 구축사업'에 이어 2단계 사업인 '3·15대로 BRT 구축사업(육호광장~도계광장)'이 모두 완료되면 육호광장~가음정사거리까지 버스 통행시간이 14분 정도 단축되고, 버스 이용률도 11.3%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준공영제와 버스 노선 전면 개편까지 병행해 대중교통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하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도로 교통혼잡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3년 4월 1단계 사업이 본격 착공에 들어가면서 출퇴근 시간대에 시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공사를 위해 1, 2차로 통행을 통제했기 때문이다.

2023년 12월 창원시에서 갑작스럽게 창원광장 교통체계 변경을 보류하였다. 원래 계획은 6개 차로가 한방향으로 통행 중인 창원광장을 양방향으로, 시청과 광장 사이 일부 도로는 인도로 변경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차량 정체 우려 등을 고려해 이를 뺀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노선이 중간에 뚝 끊기게 된다.

제종남 창원시 교통건설국장은 "공사 과정에서 시민 불평·혼란이 많아 사업계획을 바꾸게 됐다"면서 "이번에 창원광장 부분을 당장 같이 진행하기 보단, 향후 창원중앙역에서 창원광장까지 연결될 트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교통 흐름을 분석한 뒤 조치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2024년 5월경상남도로 부터 준공 전 사용허가를 받았지만, 경상남도가 창원시의회의 지적 사항을 하나 하나 따져보고 시민 안전을 살펴야 한다며 사용 허가가 늦어지고 있고 개통식도 무기한 연기됐다. # 그렇게 개통이 연기되다 5월 15일 1단계 구간이 일반 BRT 규격으로 임시 개통됐다.

2.1. 개통 전 반대 여론


창원 S-BRT 공사에 시민 불만…시 "신호·차로 조정 등 대책 마련"
창원시 BRT 공사 불편 해소하겠다지만 당장 해결은 '글쎄'
  • 처음부터 계획도시로 설계되어 창원대로원이대로를 큰 축으로 시내버스 위주로 대중교통체계가 정착되어 있던 성산구나 의창구 지역, 3.15대로를 제외하곤 구도심 특성상 도로 사정이 좋지 않은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 지역이 각각 다른 불편을 겪고 있다.
    • 공사가 진행 중이던 성산구 및 의창구 지역은 S-BRT 설치를 위해 대로 중앙부가 갈아엎어져, 자전거 도로와 자전거 도로용 화단을 제외하고도 8차선이었던 도로가 화단을 철거했음에도 4차선으로 반토막났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대체로 원활하던 교통 상황이 엉망이 됐다고 불평하고 있다.
    • 아직 공사가 시작되지 않은 마산회원구 및 마산합포구 지역은 마산역~석전교사거리~육호광장을 잇는 대로의 폭이 좁다 보니, BRT 착공이 시작되면 무지막지한 혼잡이 확정적이다.
  • 그 밖에도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 때문에 성산구와 의창구 주요 간선도로에 빠짐없이 설치된 자전거 전용도로가 일부 철거되면서, 전국에서 가장 자전거 이용 환경이 좋았던 창원시의 장점이 퇴색됐다며 싫어하는 시민들도 있다.

2.2. 개통 후

  • 개통 첫날, S-BRT 사업구간인 가음정사거리 ~ 의창스포츠센터 구간은 버스로 34분이 소요됐으며 BRT 개통 전 평일 출퇴근 시간대 통행시간인 40~45분 대비 시간이 단축됐다. 다만 아직 버스 우선 신호체계가 구축되지 않았으며 안전상 버스가 40km/h로 주행하는 등의 한계점이 있다. 창원시 관계자는 신호체계를 개선하고 버스전용차로의 제한속도를 60km/h로 상향해 버스 소요시간을 5분 더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
  • 실상은 일반 BRT와 다를 바 없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S-BRT 같은 고급 BRT는 브라질 쿠리치바의 Rede Integrada de Transporte, 콜롬비아 보고타의 트란스밀레니오(Trans Milenio), 세종특별자치시바로타처럼, BRT 노선만 전용차로에 전용차량으로 운행하고 다른 노선버스들은 "지선버스"라는 명목으로 일반차로로 빼내 정시성을 확보한다. 하지만 창원 S-BRT는 해당 구간을 지나는 대부분의 버스들을 전용차로로 집어넣은데다가 통근버스 운행 허용 등의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데, 이러면 일반 BRT와 다를 게 없다.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하는 S-BRT의 기준에 맞추려면 우선 신호체계와 BRT 전용노선 및 전용차량을 도입하는 등, 지속적인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 사실 BRT 채택부터가 실수였다고 볼 여지가 있다. 창원은 도시 자체만 해도 인구 100만이 넘는 대도시이며 더 크게는 부울경이라는 거대 도시권의 일부분인데, 이런 밀도 높은 도시에서 BRT로 주요 간선 대중교통을 감당하려는 건 적절치 않다. 물론 창원보다 규모가 크면서도 BRT를 도입한 도시가 없는 건 아니지만, 세계 BRT 목록 중 높은 등급인 실버, 골드 등급 BRT는 개발도상국, 특히 산유국이 많은 남미에 집중되어 있다. 여기서는 저렴한 기름값과 인건비 덕에 고밀도 수송으로 BRT를 굴려도 수지타산이 맞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은 이런 이점이 없는데다가 창원 S-BRT는 볼보 7300 3량 모델 같은 대형 굴절버스가 아닌,[1] 차량당 수송량이 적은 2량 이하의 버스를 그대로 쓰고 있는지라 이용률이 높아질수록 적자폭이 커지는 기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애초에 도시철도 계획이 지지부진해서 이런 걸 대신 깔아야 할 정도로 창원 도시철도 계획에 힘을 실어주지 못한 중앙정부의 의지 부족이 근본적인 원인이긴 하다.
  • 대피시설이 설치되긴 했으나 개수가 많지 않고 상남동-가음정동 구간에는 미설치되어 급행버스의 표정속도 저하 문제가 있다. 6000번의 경우 700번대 노선급 정차 횟수를 보여준다.
  • BRT 도입으로 인한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면 원이대로의 일반 차로가 좁아졌다는 것이다. BRT 건설 이전 원이대로의 최대 차로 수는 왕복 7차로였다. 그런데 BRT가 들어서며 일반 차로의 수가 왕복 4차로로 줄어들었다. 원이대로는 출퇴근 시간이 되면 의창구 구간이고 성산구 구간이고 구별할 것 없이 헬게이트가 열린다. 7차로였을 때도 그랬는데 4차로로 바뀌었다면...[2]

3. 정류장 목록

각주의 직행버스 정차 정류장에는 770번 외의 직행좌석버스가 정차한다. 770번 및 김해시 좌석버스는 운행구간 내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다.
의창스포츠센터
114231[급]









 









의창스포츠센터
114230[급]
의창구청
114233[급]
의창구청
114232[급]
서부경찰서(원흥사)
114235
서부경찰서(원흥사)
114234[*]
명서초등학교
114237[급]
명서초등학교
114236[급]
명서시장
114239[*]
명서시장
114238[*]
명곡다리(명곡교회)
114241[급]
명곡다리(명곡교회)
114240[*][직]
명서1민원센터
114243[급]
명서1민원센터
114242[급]
시티7
114245[급]
시티7
114244[급]
창원컨벤션센터
114247[*]
창원컨벤션센터
114246[*]
문성고등학교
114249[급]
문성고등학교
114248[급]
노블파크아파트
114251[*][직]
창원종합운동장
114250[*][직]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114253[급]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114252[급]
창원중앙고등학교
114255[*]
창원중앙고등학교
114254[*]
창원시청(정우상가)
114257[급][32]
창원시청
114256[급]
상남시장(은아아파트)
114259[급]
상남시장(은아아파트)
114258[급]
시민생활체육관
114261[급]
시민생활체육관
114260[급]
대동백화점
114263[급]
대동백화점
114262[급]
삼익아파트
114265[급]
토월성원아파트
114264[급]
상남도서관(한림.우성아파트)
114267[급]
상남도서관
114266[급]
가음정시장(더샵센트럴파크)
114269[급]
가음정시장
114268[급]
장미공원(가음은아아파트)
114271[급]
장미공원
114270[급]

4. 계획 구간

파일:창원 S-BRT.png
창원 BRT 노선은 육호광장~가음정사거리 18㎞ 구간이며, 우선 추진되는 1단계는 원이대로 구간인 도계광장~가음정사거리 9.3㎞이다. 향후 2025년까지 3.15대로를 따라 육호광장까지 이어지는 8.7km 2단계 사업이 예정되어 있다.

1단계 사업은 S-BRT, 2단계 구간은 일반 BRT 사업이다.

5. 여담

  • 창원시는 우선적으로 BRT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환경을 조성하고, 이용객 증가 시 궁극적으로는 트램을 도입해 친환경 교통수단을 활성화하고 대중교통 중심으로 교통체계를 재편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 BRT 특성상 대로 중앙부에 정류장을 설치하기 때문에 폭염에 무방비로 노출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1단계 S-BRT 구간은 국토부 기준 냉방기를 갖춘 정류장을 50% 이상 반드시 포함해야 하지만, 일반 BRT 사업으로 추진되는 2단계 구간은 냉방기를 갖추지 않은 정류장만 설치해도 된다.


[1] 수송량이 3량 모델 기준 240명이다. 비교해보자면 LRT 모델 중 가장 성공한 기종 중 하나인 지멘스 S70의 량당 수송량이 290명. #[2] 사실 이건 창원시를 설계하던 시절부터의 문제였기도 하다. 당시에는 자동차가 그렇게 많이 다니지 않을 거라 생각을 했었던 건지 도로를 그렇게 넓게 설계하지 않았다(창원대로는 유사시에 활주로로 쓰일 수 있도록 일부러 넓게 만들었으니 예외). 게다가 당시 창원시의 예상 인구 수는 약 30만이었으나 현재는 40만을 넘는다(2024년 4월 기준 약 45만명). 그러니 도로가 막힐 수 밖에...[급] 급행버스 및 직행버스 정차[급] [급] [급] [*] 추월차선 설치[급] [급] [*] [*] [급] [*] [직] 직행버스 정차[급] [급] [급] [급] [*] [*] [급] [급] [*] [직] [*] [직] [급] [급] [*] [*] [급] [32] 이곳과 상남시장(은아아파트) 사이 창원광장 가로변에 시청정문(117301) 정류장이 있다. 해당 정류장은 급행, 직행버스가 통과하나 3000번만 정차한다.[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