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31 10:35:50

진승현 게이트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00aa78; border-right: 10px solid #00aa78"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aa78><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인사
여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연립여당 자유민주연합 · 민주국민당
정책 및 방향 햇볕정책 · 대중참여경제론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국민PC · 국립대학구조조정계획 · 전자정부 · 인사청문회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 노사정위원회 · 국가인권위원회 · 경제자유구역 · 소프트웨어 산업 진흥법 · KAMD · 한국형 전투기 개발 추진 · 한국형 우주 발사체 개발 추진 · 한국형 무인 전투기 개발 추진 ·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평가 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 논란이 있는 평가 · 햇볕정책/평가
타임라인
1998년 햇볕정책 발표 · 금융감독위원회·규제개혁위원회 출범 · 휴민트 사건 · 대구지하철 1호선 완전 개통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조폐공사 파업 유도 사건 ·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 소떼 방북 · 속초 북한 잠수정 침투 사건 · 대한민국 제1차 금융 구조조정 · 1998년 재보궐선거 · 영남위원회 사건 · 지리산 폭우 참사 · 대한항공 8702편 활주로 이탈 사고 · 현대자동차 정리해고 사태 · 경주세계문화엑스포 · 텐유호 실종 사건 · 총풍 사건 수사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금강산 해로 관광 개시 · 공군 나이키 미사일 오발 사고 ·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 정부대전청사 개청
1999년 전교조 합법화 · 국가정보원 출범 · 한일어업협정 발효 ·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 · 삼례 나라슈퍼 강도치사 사건 · 신지식인 · 경북 고교생 총기탈취 난사사건 · 바이코리아 펀드 출시 · 대한항공 1533편 활주로 이탈 사고 · 국민연금 가입 의무화 · 제1연평해전 · 1999년 재보궐선거 · 국민연금 의무 가입 실시 · BK21 · 대한항공 6316편 추락 사고 ·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방한 · CIH 바이러스 대란 · MBC 습격 사건 · 대구 어린이 황산 테러 사건 · 문화재청 개청 · 옷로비 사건 · 제1연평해전 ·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사고 · 탈옥수 신창원 검거 · 민주민족혁명당 사건 · 동티모르 평화유지군 파병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 · 국민PC 보급 시작 ·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 · 대한항공 8509편 추락 사고
2000년 2000년 재보궐선거 · 주한미군 독극물 한강 무단 방류 사건 · 베를린 선언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새천년 NHK 사건 · 제1차 남북정상회담 · 6.15 남북공동선언 · 햇볕정책 추진 · 국민건강보험 출범 · 새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정 · 추풍령 경부고속도로 연쇄추돌 참사 · 의약 분업 · 인천 계양구 놀이터 살인 사건 ·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 · 제1, 2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 2000 시드니 올림픽 개막식 남북 선수단 동시입장 · 정현준 게이트 ·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출범 · ASEM 서울 개최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개통 · 국정원 불법 도청 사건 · 진승현 게이트
2001년 여성부 출범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제도 시행 · 드들강 여고생 살인 사건 · 부산 배산 여대생 피살사건 · 산골 소녀 영자 사건 · 대우자동차 정리해고 사태 · 제3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 홍제동 방화 사건 · 인천국제공항 개항 · 병역비리 주범 박노항 검거 · 2001년 재보궐선거 · 예지학원 화재 사고 · 육군 CH-47 올림픽대교 추락 사고 · 2001 한일 컨페더레이션스컵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발족 · 대전 세 모녀 인질극 사건 · 연제협 MBC 출연 거부 사태 · IMF 관리 체제 종료 · 이용호 게이트 · 대한항공 085편 납치 오인 사건 · 제7호 태창호 사건 · 테러방지법 파동 · 인권위 출범 · 서해안고속도로 완전 개통
2002년 유승준 병역기피 사건 · 여대생 청부 살인 사건 ·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출범 ·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 제4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 3연속 건널목 사망 사고 · 최규선 게이트 · 홍삼 게이트 · 이석기 검거 · 2002 한일 월드컵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2연평해전 · 2002년 재보궐선거 · 태풍 루사 · 2002 부산 아시안게임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촛불집회 · 제16대 대통령 선거
2003년 1.25 인터넷 대란 · 대구 지하철 참사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김대중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김대중 참고
}}}}}}}}}}}}




1. 개요2. 전개

1. 개요

국민의 정부 시절 일어난 3대 게이트 중 하나로 꼽히는 사건.[1]

파일:진승현사진.jpg

MCI 코리아 부회장 진승현(陳承鉉)

파일:진승현1.jpg
파일:진승현3.jpg

2. 전개

요약하면 MCI 코리아의 부회장이었던 진승현이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열린 금고와 한스 종합금융, 리젠트 종합금융에서 2,300여억 원을 불법 대출받고 리젠트 증권의 주가 조작으로 비자금을 조성하고 이 과정에서 당시 여권이었던 새천년민주당 인사들에게 정치자금을 제공한 사건이다.[2]

2000년 11월 금융감독원은 진승현 부회장이 열린 금고에서 377억 원을 불법 대출했다는 것을 발견해 검찰에 고발했다. 수사 도중 검찰은 377억 원뿐만 아니라 한스 종합금융과 리젠트 종합금융에서도 진승현 부회장이 불법 대출을 한 사실을 확인했고 그 규모가 2,300여억 원이라고 발표하였으며 비자금 조성을 목적으로 리젠트 증권의 주가도 조작한 일이 드러났다.

그 돈의 행방을 찾던 도중 정치권에서 연결 고리를 발견했는데 바로 김대중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권노갑[3] 새정치국민회의 국회의원의 금품 수수 의혹이 제기되었다. 권노갑 국회의원은 김은성 국정원 차장에게 5,000만 원을 전달받았고 민주당 당료 최택권을 통해 김은성 국정원 차장에게 또다시 수천만 원을 받았다는 진술이 확보되었다.

검찰이 진승현의 불법 대출과 비자금 조성을 수사하다가, 진승현의 배후 인물로 김은성 국정원 차장이 지목됐다.[4] 정성홍 국정원 경제과장에게 4,000만 원을 빌려줬다는 진술이 확보되면서 국정원의 조직적 개입 의혹이 제기됐다.[5][6] 그러던 중 국정원의 불법 도청 사실이 확인됐다. 국정원이 진승현 부회장과 뇌물 수수가 드러난 민주당 인사들을 도청하다가 발각된 것이다.

한편 사건 수사 중 국정원의 진승현과 여당 인사 및 소장파 인사에 대한 불법 도청을 한 것도 추가로 드러났다. 국정원 2차장 김은성은 도청 사실을 시인하였다.

이 사건의 피의자 중 한 사람인 진승현은 3년 동안 수감 생활 중 5개월 정도를 제외하고 대부분 교도소 밖에서 자유롭게 생활해 왔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로비 과정에서 유입된 자금이 대통령 김대중의 숨겨진 딸로 지목된 김 모 씨에게 건네졌다는 의혹도 제기되기도 했다.출처 다만 현재까지는 숨겨진 아들과 판박이 수준으로 닮았던 前 국무총리나 유전자 감별로 확인된 다른 유명인들의 사례와는 다르게 설(設)은 제기되어도 확증은 나오지 않았다.

[1] 3대 게이트는 진승현 게이트, 이용호 게이트, 정현준 게이트를 가리킨다. 덕분에 국민의 정부는 게이트 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남겼다.[2] 비자금 조성을 위해 불법 대출을 받았다는 점이 영화 내부자들과 유사하다. 참고로 내부자들에서는 3,000억 원을 불법 대출하고 300억 원의 비자금을 조성했다.[3] 현재는 민주평화당 고문으로 있다.[4] 수완이 좋은 젊은 진승현을 "사윗감으로 보고 주목하고 있었다"는 진술을 한 바 있다.[5] 국민의 정부 시절 국정원은 정부 주도의 개혁을 통해 대공업무를 빙자해 과거 정권 유지에 몰두하던 인사들을 내보내고 비게 된 자리 일부를 민변 출신들로 넣었다.[6] 사실 정형근처럼 유능한 법조인이 정보부에 들어간 전례는 있었다. 다만 이명박 정부 들어서 "대북담당할 인력을 줄였다"는 요지로 이 인적자원 청산 및 작업을 비판하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