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8:30:40

진무성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330d0d 0%, #a52a2a 10%, #a52a2a 90%, #330d0d)"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이순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colbgcolor=#fff,#1f2023>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이순신 서명.svg}}}

}}}}}}}}} ||

진무성(陳武晟, 1566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武臣)이다. 본관은 여양[1] 자는 사규(士赳), 호는 송계(松溪)이다.[2]
전라도 흥양(興陽)[3] 출신이다. 아버지는 진인해(陳仁海)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순신(李舜臣) 휘하의 군관으로 재직하면서 1592년 6월 당포 해전에서 적장 도쿠이 미치유키의 목을 베는등 공을 세우고 용명을 날렸다. 육전에서도 활약하여 2차 진주성 전투에서 정찰과 연락 임무를 완수하여 수훈을 세웠다. 1597년 원균(元均)이 통제사가 되고 적의 재침으로 수군이 열세에 몰렸을 때에도 동요하지 않고 화공으로 적선을 무찔렀다. 뒤에 임진왜란의 전공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34세가 되던 1599년에 별시(別試) 무과에 급제하고, 유원진첨사(柔遠鎭僉使)·경흥부사·통제영우후(統制營虞候) 등을 지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있은 뒤에 장재(將才)가 거듭 인정되어 다시 북방요지 구성군수에 임명되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고흥의 용강사(龍岡祠)에 제향되었다. 후일 용강사가 훼철되자 1882년(고종 19)에 영호남 유림들이 장군의 출생지인 이곳에 사우를 복원하여 무열사라고 하였다.
[1] 여양 진씨[2] 여양 진씨 송계공파[3] 현 전라남도 고흥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