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9:33:21

중앙군사위원회 신식지원부대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중국 인민해방군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육군기.svg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기.svg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기.svg
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중앙군사위원회 직속부대
연근보장부대 신식지원부대 망락공간부대 군사항천부대
준군사조직
파일: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기.svg
인민무장경찰부대
* 중국의 군대는 인민해방군, 무장경찰, 민병대로 나뉜다. 즉, 무장경찰은 중국의 군대이지만 인민해방군은 아니다. 다만 인민해방군이 중국의 군대 전체를 뜻하는 통념상 무장경찰을 같이 서술한다.

중앙군사위원회 신식지원부대
중국인민해방군 신식지원부대

中央军事委员会信息支援部队
中国人民解放军信息支援部队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Information Support Force
?
중앙군사위원회 신식지원부대 심볼
창설년도 2024년 4월 19일
국가
[[중국|]][[틀:국기|]][[틀:국기|]]
소속 중앙군사위원회 직할부대
군종 정보전
규모 부전구급
본부 ?
지휘
사령원 중장 비이(毕毅)[1](육군)
정치위원 상장 리웨이(李伟)[2](육군)
1. 개요2. 역사3. 예하 부대

[clearfix]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정보전을 전담하는 중앙군사위원회 직속 부전구급 부대. 사령원중장.

2. 역사

2024년 4월 19일 중앙군사위원회는 전략지원부대를 폐지하고, 예하 항천계통부(우주)과 망락계통부(사이버)를 각각 군사항천부대와 망락공간부대로 변경하고, 기존 전략지원부대 부서 일부와 타 군종의 정보통신 지원부대를 기반으로 신식지원부대를 부전구급으로 창설하였다.

3. 예하 부대

  • 정보통신기지(구 전략지원부대)
  • 정보통신여단(구 신장군구, 시짱군구)
  • 목표데이터대대, 전장환경대대, 통신보장대대, 주파수관제대(구 연합참모부)
  • 전장상황 및 전략조기경보분소, 전구합동지휘본부 전장상황여단, 정보봉사여단, 지휘작전유지여단 의 기능부대 일부(구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지휘본부)
  • 전략지원부대 제35기지 및 위성통신센터의 일부
  • 전략지원부대 전장환경연구소, 군사과학원 시스템공학연구소,네트워크정보연구소

[1] 직전 전략지원부대 부사령원[2] 직전 전략지원부대 정치위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