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22:42:57

주머니쥐

주머니쥐(어포섬)
負鼠 | Opossum
파일:Opossum.jpg
학명 Didelphidae
Gray, 1821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포유강 Mammalia
아강 수아강 Theria
계통군 후수류 Metatheria
계통군 유대형류 Marsupialiformes
하강 유대하강 Marsupialia
상목 아메리카유대상목 Ameridelphia
주머니쥐목 Didelphimorphia
주머니쥐과 Didelphidae
하위 분류
[ 펼치기 · 접기 ]
주머니쥐아과 Didelphinae
양털주머니쥐아과 Caluromyinae
칼리노프스키생쥐주머니쥐아과 Hyladelphinae
붓꼬리주머니쥐아과 Glironiinae
1. 개요2. 상세3. 주머니쥐목에 속하지 않는 주머니쥐
3.1. 새도둑주머니쥐(Shrew opossum)3.2. 포섬(Possum)3.3. 주머니고양이(Quoll)3.4. 주머니생쥐(Pocket mouse)
4. 여담

[clearfix]

1. 개요

주머니쥐목 주머니쥐과에 속하는 포유류 동물들의 총칭이다.

2. 상세

아메리카 대륙 전반에 걸쳐 서식하며, 원시적인 유대류의 특징이 많이 남았다.
파일:external/1.bp.blogspot.com/opossum_skull.jpg
버지니아주머니쥐의 두개골

이들의 생활사는 설치류보다는 오히려 소형 식육목이나 호주의 주머니고양이과 유대류들과 매우 흡사하다.[1] 다시 말해 태반류의 설치류에 완전히 대응하는 종류는 아니라는 것.

특이하게도 이 분류군 중에는 유대류인데 육아낭이 퇴화한 종류가 많다.[2] 그러니까 새끼들은 태어나자마자 어미의 유두에 대롱대롱 매달리기만 한 채 살아야 한다. 어느 정도 자라서도 일정기간 동안 혹은 장기간 서식지를 찾아 이동할 시에 어미의 몸통이나 등에 오밀조밀 모여 붙어 다닌다.[3]

더욱 특이한 사실은 유대류인데 태반이 있다는 점이다. 다만 이 태반은 일시적으로 생겼다가 퇴화되고 태반류의 태반보다는 효율이 떨어진다고 한다.[4]

3. 주머니쥐목에 속하지 않는 주머니쥐

처럼 생긴 유대류들을 지칭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다만, 이 이름으로 불리는 유대류들은 한 분류군이 아니다.

3.1. 새도둑주머니쥐(Shrew opossum)

이름에 주머니쥐가 들어가지만 주머니쥐목에 속하지 않고 새도둑주머니쥐목이라는 별개의 목에 속한다.

새도둑주머니쥐목은 주머니쥐목과 함께 아메리카유대상목에 속해 있다.

3.2. 포섬(Possum)

'주머니쥐'로 불리는 동물들 중에서는 그나마 설치류스러운 외모에[5] 나무를 타는 설치류와 생활사가 비슷하다.[6] 대형종의 경우에는 원숭이여우원숭이와 생활사가 비슷하다. 베어그릴스에 따르면 맛은 쥐고기랑 비슷하다고.

3.3. 주머니고양이(Quoll)

이 분류군은 주머니쥐로 불리는 경우가 상당히 적다. 그도 그럴 것이 호주에서는 이미 태반류 쥐가 자기들의 생태 지위를 차지하고 있어서 유대류들이 쥐의 생태지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생활사만 놓고 보면 오히려 식충류의 땃쥐와 더 흡사하다.

그리고 분류군이 분류군인지라 작고 귀여워 보여도 이래 봬도 맹수이다. 특히 코와리는 새도 잡아먹는 녀석이다. 이빨이 상당히 날카롭다.

3.4. 주머니생쥐(Pocket mouse)

태반류의 중 작은주머니생쥐속 Perognathus과 거친털주머니생쥐속 Chaetodipus은 영어로 Pocket mouse라고 불리기 때문에 우리말로 직역하면 주머니쥐가 된다.

4. 여담

미국 프로야구 경기 중 주머니쥐가 야구장을 활보하고 다니는 사건이 종종 있었다.


[1] 남아메리카에 사는 종인 야포크(물주머니쥐)(Yapok, Chironectes minimus)와 족제비주머니쥐속에 속하는 주머니쥐들은 수달과 생활사가 비슷하다. 그리고 야포크는 유일하게 암수 모두 육아낭이 있는 유대류다. 사실 주머니늑대의 수컷도 주머니가 있지만 멸종했으니...[2] 총 7속 중 주머니가 있는 건 단 3속.[3] 무려 15마리를 등에 업고 다니기도 한다.[4] 다른 유대류 중에도 일시적으로 태반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5] 이 목은 일부 종을 제외하면 치아 구조가 설치류와 매우 흡사하다.[6] 하늘다람쥐와 비슷하게 진화한 종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