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02:19:46

조예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명이 조예은인 댄서에 대한 내용은 예니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블러썸크리에이티브_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reators
김중혁 김초엽 배명훈 장류진
편혜영 김금희 천선란 이지은 권여름
권정민 설재인 백온유 나푸름 최민지
조우리 박상영 김지영 소복이 이유리
최유안 김나현 김희선 조예은 청예
* 블러썸 엔터테인먼트의 소속 배우 목록은 틀:블러썸 엔터테인먼트를 참고.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조예은
Cho Yeeun
파일:조예은 프로필.jpg
출생 1993년([age(1993-01-01)]세)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소속 파일:블러썸크리에이티브_로고.png
학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금속공예디자인학과 / 졸업)
데뷔 2016년 「오버랩 나이프, 나이프」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작품 목록4. 여담

[clearfix]

1. 개요

디스토피아 속 사랑을 꿈꾸는 소설가
《칵테일, 러브, 좀비》부터 《트로피컬 나이트》까지 섬뜩하고 경쾌한 호러 스릴러에 해피 엔딩 한 스푼을 곁들인 ‘조예은 월드’로 독자들을 초대해온 작가
한국의 작가.

작품의 주된 배경은 종말을 향해 가는 디스토피아 세계관이며, 스릴러나 호러물 등 장르소설을 주로 쓴다. SF라는 장르 안에서 로맨스, 스릴러, 호러 등을 다루며 장르의 변주를 즐기는 작가라고 평가받는다.

2. 상세

1993년 출생. 금속공예학과를 졸업했다.인터뷰

데뷔는 2016년 단편소설 「오버랩 나이프, 나이프」가 출판사 황금가지에서 주최한 제2회 타임리프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으며 이루어졌다. 이후 첫 장편 『시프트』로 제4회 교보문고 스토리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장르소설가임에도 메인스트림에 속하는 작가이기에 책이 나오면 한동안 판매량 TOP 10에 들어갈 정도이다.

첫 단행본은 안전가옥을 통해 발매된 『뉴서울파크 젤리장수 대학살』으로, 첫 장편소설이기도 하다.

3. 작품 목록

  • 뉴서울파크 젤리장수 대학살
  • 칵테일, 러브, 좀비(단편집)
    • 오버랩 나이프, 나이프
    • 칵테일, 러브, 좀비
    • 초대
    • 습지의 사랑
  • 스노볼 드라이브
  • 트로피컬 나이트(단편집)
    • 할로우 키즈
    • 고기와 석류
    • 릴리의 손
    • 새해엔 쿠스쿠스
    • 가장 작은 신
    • 나쁜 꿈과 함께
    • 유니버설 캣숍의 비밀
    • 푸른 머리칼의 살인마
  • 만조를 기다리며
  • 테디베어는 죽지 않아
  • 환상의 사이(단편)
  • 푸른 머리칼의 살인마(단편)
  • 입속 지느러미(연재)
  • 꿰맨 눈의 마을

4. 여담

  • 첫 단편 소설 〈오버랩 나이프, 나이프〉가 2023년KBS 단막극으로 드라마화되었다.
  • 뉴서울파크 젤리장수 대학살이 나왔을 당시 '한니발'이라는 작품의 영향을 받았냐라는 질문에 개인적으로 재밌게 본 드라마라고 답하였다. 잔인한 것을 잘 못보지만 '한니발'은 개인적으로 잔인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다. 잔인함의 역치가 꽤나 높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