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6:45:29

조경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국지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조경(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조경기사
, 조경학과
, 정원사
,
,
,

파일:external/www.kb.co.kr/2014822152217.jpg

1. 개요2. 주요 조경 요소3. 유래4. 용도

1. 개요

조경(, landscape architecture)은 환경을 아름답고 유용하게 조성하기 위해 일대를 계획·설계·시공·관리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일반인들은 정원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2. 주요 조경 요소

자연 요소: 식물, 수목, 물 등 자연적 요소와 그들이 조경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설명합니다.
인공 요소: 길, 벽, 조명, 가구 등 인공적 요소들과 그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추가 요소: 환경 친화적 요소나 지속 가능한 조경 디자인(지속 가능한 재료 사용, 생태계 보호 전략 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유래

현대적 의미의 landscape architecture은 19세기 말 미국 뉴욕 센트럴 파크 공원을 설계한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가 스스로 조경가(landscape architect)라고 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조경을 배우는 학문을 조경학이라고 하는데, 조경학의 경우 현재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에서 농림축산식품 대 분류군에 속해 있다.

국내의 경우, 1970년대 중반 고속도로 준공 당시 공사로 인한 국토훼손이 심해지자 정부가 해당 분야의 도입을 물색했는데, 이때 재미 출신의 오휘영 교수[1]가 서양의 landscape architecture을 소개하고 담당 공직(청와대 조경담당비서관)에 발탁되었으며 이 때 분야의 명칭을 조경(造景)으로 정하게 된다.

사실 조경학은 지금도 서구권에 비하면 국내에선 크게 알려진 편은 아닌데[2], 그래도 후술되어있듯 21세기 들어 공원 건설이 많아지면서 조경학도 점차 주목받고 있다.

4. 용도

넓게 보자면 모든 외부공간에 대한 설계를 아우를 수 있고, 교육과정에서는 정원설계, 공원설계, 공동주택단지(아파트)설계, 도시설계를 포함한다.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기준) 단순히 아름답고 편하게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하기에는, 공간이라는 것은 이용자나 위치, 규모 등에 따라 그 성격이나 의미가 모두 다르고 문화, 사회 등 복잡다양한 것이 담겨지는 집합이기 때문에 현대사회의 여러 공간을 다루는 조경가의 역할은 사회적이다.

조경의 용도는 해당 장소를 보다 아름답고 편안하게 만들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그래서 공원을 만들 때 조경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초등학교 담장 근처에 나무가 심어져 있고 계단 주변을 돌로 장식한 것이 있는데 이를 조경이라 한다. 부자의 경우 자기 집 옥상에 조경을 해놓기도 하며, 일부 기업 본사 건물 옥상에도 조경이 되어있다. 또한 이름값 좀 하는 대학교의 경우 학교 전체에 걸쳐 조경이 잘되어 있다. 21세기 들어 지어지는 아파트는 차 없는 아파트가 대부분인데 아파트 지상을 공원처럼 조경을 한다. 놀이터와 운동시설 외에 분수대, 연못 같은 요소도 많다.

실업계 고등학교 중 조경학을 전문적으로 배우는 고등학교가 많고 그 고등학교 사이에서 대회가 열리는데 조경 설계도를 직접 손으로 그려 설계를 가장 잘한 학생에게 수상을 하는 대회도 있다. 분야는 크게 조경 설계, 조경 시공, 조경 관리 3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세부적으로는 조경계획, 조경설계, 조경 생태/복원, 조경 시공/재료, 조경식재, 조경관리학, 기타 7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1] 한양대 도시대학원 명예교수. 조경 관련 각종 제도를 구축하고 최초의 조경잡지 및 인터넷 매체를 발간하는 등 한국 조경에 큰 공로를 남겼다는 평가를 받는다.[2] 애초에 아파트 지구가 많다보니 상대적으로 마당이 있는 주택가가 많은 서구권에 비해 개인이 조경을 할 일 자체가 드물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