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18:12:02

제7군수지원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부대
사령부 예하 부대 예하 단
직할 지상정보여단 드론봇전투단
1군지사 수도군수지원단 · 제6군수지원단 · 제7군수지원단· 제8군수지원단
<colbgcolor=#009600> 수도 17사단 제3경비단
I 1포병여단 제2포병단 · 제3포병단 · 제7포병단
III 3군수지원여단 동해안군수지원단
V 5포병여단 제1포병단 · 제5포병단 · 제8포병단 · 제9포병단
VII 7공병여단 도하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부대
사단 예하 단
직할 32사단 세종시경비단
5군지사 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육직부대
사령부 예하 부대 예하 단
군수사 보급창 제1보급단 · 제2보급단 · 제3보급단
정비창 특수무기정비단 · 항공기정비단 · 기동화력장비정비단 · 기동화력부품정비단 · 총포/사통장비정비단 · 통신전자장비정비단 · 생산지원단
교육사 종군교 군수교육단 · 병기교육단 · 병참교육단 · 수송교육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7기동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수도군수지원단 제6군수지원단 제7군수지원단 제8군수지원단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동해안군수지원단 제51군수지원단 제52군수지원단 제53군수지원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제7군수지원단
第7軍需支援團
The 7th Logistic Support Group
파일:제7기동군단 부대마크.svg
제7기동군단의 전승보장을 위한 완벽한 군수지원
창설일 2019년 1월 2일(제7군수지원단)
상징명칭 무소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7기동군단
종류
역할 7군단 군수지원
단장 대령 김경훈
위치 경기도 양평군
1. 개요2. 특징3. 예하부대4. 출신인물
4.1. 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부대가
6. 사건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제7군수지원단은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제7기동군단 소속으로 제7군단육군항공사령부의 군수지원을 담당하는 단급 기행부대이다.

2. 특징

2019년 1월 2일, 제1야전군사령부제3야전군사령부가 통합되어 지상작전사령부가 창설되어 군수부대 개편에 따른 지휘구조 변경에 따라 1월 1일 창설되었고, 상급부대가 제1군수지원사령부에서 제7기동군단으로 예속 전환이 이루어졌다.

단장직은 대령이 보임된다.

본부중대 시설이 낡았다. 22년 후반기에 신막사로 부대 이동을 할 예정이다.

노래방 3개(TJ), 전자렌지 2대를 보유하고 있다.

사지방실에는 자물쇠가 달려있지 않다. 컴퓨터는 총 4대.

예하부대의 3급양대에서 몇명이 선발되어 조리병 조교로서 본부중대와 함께 생활을 한다.

예하부대에서 파견된 인원들은 교육이 없을 시에는 본부중대와 일과를 함께한다. 작업, 불침번 등.

3. 예하부대

  • 본부중대
  • 제57탄약대대#
  • 제7급양대(구 6급양대)
  • 제17보급대대[1]
  • 제77정비대대
  • 3M/A 정비근무대
  • 제607수송대대[2][3]

4. 출신인물

4.1. 단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7군수지원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이충희 대령 학군 29기[4] 단장
2대 변유성 대령 학군 34기[5] 단장
3대 선남채 대령 육사 54기단장
4대 황성수 대령 학군 33기[6] 단장
5대 김경훈 대령 육사 00기단장

4.2. 장교/부사관

4.3.

생활관은 1층에 총 6개, 2층에는 4개가 있다.
1층은 본부중대(경비, 수송, 통신/취사/의무), 2층은 조리병 교육대(1생활관, 2생활관, 3생활관)의 생활관이다.
2층에 나머지 한개의 생활관은 휴가 복귀 후 격리되는 장소로 사용됐다.

본부중대의 총원 중 절반정도가 경비이다. 경비 생활관은 1, 2, 3생활관이 있다.
경비인원이 워낙 많다 보니 경비 인원 중 행정병과 본청 계원 행정병이 있다.
경비 생활관은 총원 6명이다. 수송 생활관은 수송1과 수송2가 있고 침상을 부셔 침대 생활관으로 운영중이다.

본부중대 총원은 19년도 당시 39명정도 였으나 계속해서 인원이 보충되어 대략 49명정도 증가되었다.
특히 경비 분대의 총원이 증가하였는데, 그렇기 때문에 경비 분대에서 행정병을 선출했다.

초기에 행정병은 1명이었고 인사와 군수 모두 담당했으나, 이후 군수 행정병과 인사 행정병으로 분류되었다.

PX병을 5군지여단과 각 1명씩 선출했지만, 단장이 바뀌고 나서는 5군지여단만 PX병을 선출했다.

5. 기타

  • 제5군수지원여단(舊 제2군수지원사령부)와 같은 곳에 위치한다. 그럴만 한 것이 애초에 2군지사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 7군지단이며 7군단 예하 부대 중 수기사8사단은 7군단 사령부가 있는 이천보다 7군지단이 있는 의정부시와 더 가깝기 때문에 위치도 적절하다.

5.1. 근무환경

단 본부는 22년말에 양평으로 본부가 이전했다.

5.2. 부대가

6. 사건사고

7. 여담

군단 예하에 소속된 군수부대 중 유일하게 여단 편제가 아니다.[7]

[1] 2022년 10월 1일 창설[2] 2022년 9월 29일 창설[3] 11사단 공병대대의 건물을 이용하고 있다[4] 울산대학교[5] 조선대학교[6] 경남대학교[7] 제1군단제1군수지원여단, 제2군단제2군수지원여단, 제3군단제3군수지원여단, 제5군단제5군수지원여단으로 7군단을 제외한 모든 군단 예하의 군수부대들이 모두 여단 편제로 편성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