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00:45:32

정대발

파일:정대발.jpg
배우 정종준
등장 에피소드 1화 선행출연 / 96~106, 108~124화[1]

1. 소개2. 작중 행적3. 야인시대 합성물에서

1. 소개

야인시대의 등장인물이다. 탤런트 겸 연극배우 정종준이 연기하였다. 가상인물로 2부에 등장하며[2], 국회의원이 된 김두한의 비서다. 걸죽한 서남 방언이 특징이다.[3] 주로 본명으로 불리는 것보다는 정 비서로 불린다.

2. 작중 행적

김영태의 고향 후배로 김영태가 김두한을 보좌하기 위해 보냈다는 사람이다. 갓 국회의원이 된 김두한에게 찾아 갔는데 김두한은 건달 냄새가 난다며 조심하라고 했는데, 채원기와 나름대로 서열 정리를 해 놓고 온 꼴도 좀 건달같은 면이 있어서[4] 한 소리 들었고 대 놓고 사석에서는 큰형님으로 모시겠다고 하다가 면박을 당하는 건 덤이다.

건달 출신이라 그런지 종종 '큰형님'이란 호칭 등을 사용하며, 김영태 외 우미관 패거리하고도 안면이 깊은듯 하다. 이 때문에 정책적인 면 보단, 이것저것 심부름을 중점적으로 수행한다. 정책적인 면에선 최동열 기자가 보내준 채원기 보좌관이 도맡아서 한다. 잠시 채원기가 정책연구를 위해 이찬오, 신기범과 함께 할 동안은 정대발이 정책적인 면에도 보좌를 하기도 했다. 그 외엔 주로 옛 우미관 패거리나 동대문 등 주먹패 소식을 김두한에게 전해주기도 한다.

처음 만날 때는 아예 대놓고 김두한에게 '채원기는 맘에 드는데 자네는 좀 그래...' 란 소리까지 들었지만, 그래도 김두한은 정대발을 신임한다. 이승만이 출마포기 선언을 할때 김두한과는 이승만을 까면서 허울없이 이야기를 하고, 운전을 비롯해서 이것저것 중요한 심부름 등은 그를 시키며 정부통령 선거때 개표문제가 터지자 그 지역으로 정대발을 내려보낸다. 다만 정대발 본인은 싸움에는 영 소질은 없는 모양이다. 애초에 국회의원의 비서직이니 싸울 일도 없거니와, 이후의 짧게 지나가는 정부통령 선거 유세 당시 경호를 맡은 김두한의 우미관패와 유지광의 별동대원들이 충돌할 때 권상사에게 얻어 맞고 뒤로 나뒹구는 장면만 나온다.

김두한의 옛 부하들인 아구, 휘발유, 갈치가 찾아올때마다 김두한이 가뜩이나 없는 재산에 그들에게 계속 돈을 얹어주거나 밥을 사주는게 탐탁지 않아서[5] 옛 부하들이 찾아 올때마다 면박을 준다. 제법 안면을 텄는지 휘발유는 정대발을 알아보고는 '정 비서도 오랜만이야'라며 친한 척하면서 인사를 건네지만 '아따 저번에도 봤음서 반갑긴 뭐가 반갑대요!'라며 정대발은 저 셋을 반가워하지 않는다. 휘발유에게 존대를 한 것을 봐선 서열은 낮은 편인 듯. 같이 다니는 아구, 갈치와는 서로 대화하는 장면은 없으나[6], 장경근 폭행 사건을 우미관패들에게 설명해주면서 아구를 때린 것을 보면 최소한 아구와 동기인 것으로 보인다.

이승만 정권 붕괴 이후 박정희 정권 당시 청년단체를 다시 만들려고 한 김두한의 지시로 시라소니를 만나러 가거나[7], 다시 국회의원이 된 김두한이 똥물사건을 계획할땐 파고다 공원 화장실에서 똥물을 푸는 일을 감독했으며, 사건 이후에는 김두한이 수감생활을 하고 나온 뒤에는 그동안 자동차 정비를 배우며 먹고 산다고 한다.[8] 대부분 중병에 걸리게 되거나 폐인이 되어버린 김두한의 부하들 중에선 가장 평범하지만 그래도 새드엔딩은 아닌 삶을 살게 되는듯 하다.[9] 마지막에 김두한의 장례식 행렬에 참석하였으며 많이 착잡한 얼굴을 하고 있다.

의외로 많은 작중 내 주요인물들은 한번씩 다 직간접적으로 만나본다. 이기붕이정재도 만나고, 유지광도 만나고, 조병옥유진산 같은 인물들도 그렇다.

눈물의 곡절만은 못해도 깨알같은 개그를 가끔씩 선사하는데[10], 종로회관에서 옛 우미관 식구들과의 술자리를 가지면서 장경근 폭행사건을 설명하는 장면이나, 시라소니가 민주당 경호책임자로 일할 당시 풀어놓은 넥타이를 능청스레 다시 조여매기도 했으며[11],독사 패거리가 김두한을 습격했다 신나게 얻어터지기만 하자 상황종료 후 "아따 그거 으디 고런 실력들을 갖고 으따대고 우리 큰성님한테 달려들어 달려들긴, 아따 참으로 큰일날 친구들이로구먼 에이 확."이라 한 소리하고, 파고다 공원에서 을 퍼갈 때 순찰 나온 공원 경비원하고 작은 만담을 하기도 했으며[12] 그 외에도 가끔씩 깐죽거리거나 얼빠진 행동을 하기도 한다.

3. 야인시대 합성물에서

인자는 나도 못해! 이거는 말도안돼! 나가 뭐이 좋아서 이러고 있는지 참말로 좃같다이? 쓰잘데기 없는 고놈마 병SIN을 만들어주마! 하하하하하
(나레이션의 갈굼에 못이기고 배신을 하는 정대발)[13]
야유로봇이 된 심영

시간이 지나면서 합성물의 범위가 야인시대 전 에피소드로 확장되면서, 이 인물도 야인시대 합성물에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1] 107화에선 미등장.[2] 단 1부 1회 초반에 나온 국회 오물 투척사건 당시에 채원기와 함께 이미 김두한의 비서로 나왔다. 즉 야인시대 처음 촬영할 때 이미 정대발과 채원기는 캐스팅이 되어있던 것이다.[3] 실제로 배우 정종준의 고향이 전라남도 고흥군이다.[4] 다만 채원기가 연하여서 별 무리없이 정리된 듯 하다. 참고로 정대발을 맡은 정종준은 1956년생이고, 채원기를 맡은 이승형은 1969년생이다.[5] 이는 김두한에게 경제적으로 지원을 해 주는 홍영철도 마찬가지다.[6] 아구가 김두한을 처음 찾아왔을 때 술 냄새가 심하다고 갈구긴 했다.[7] 123화에서 정대발은 영락교회 앞에서 시라소니를 만났지만 시라소니는 사도행전 16장 31절을 인용하며 거절했다.[8] 정비서-정비소의 발음이 비슷한 점을 이용한 개그성 설정으로 보인다[9] 그와 함께 김두한을 모신 이찬오는 현대건설에 취직하고, 채원기는 작은 사업을 시작했다고 나온다.[10] 따져보면 사실 이쪽 개그가 좀 보기가 편하다. 눈물의 곡절은 하도 임화수에게 맞다보니 보기 불편하기도 하다.[11] 이 때문에 정대발이 시라소니 담당 일진이라는 우스개도 있다.[12] 경비원과의 만담은 이 드라마 맨 처음과 맨 마지막의 개그씬이기도 하다.[13] 해당영상에서 정대발은 나레이션의 비서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