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0:57:18

전은수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c96 16.6%, #003c96 16.6%, #003c96 33.2%, #5a1b87 33.2%, #5a1b87 49.8%, #5a1b87 49.8%, #5a1b87 66.4%, #006464 66.4%, #006464 83%, #006464 8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c96 16.6%, #003c96 33.2%, #5a1b87 33.2%, #5a1b87 49.8%, #5a1b87 49.8%, #5a1b87 66.4%, #006464 66.4%, #006464 83%);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5px -1px;"
대의기관 (전국대의원대회·중앙위원회)
<colbgcolor=#152484>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김상희 중앙위원회
의장
변재일
전국대의원대회
부의장
이용선
최혜영
중앙위원회
부의장
어기구
집행기구 (당무위원회·최고위원회)
당대표
(당무위원회 의장)
이재명
원내대표 박찬대
수석최고위원
정청래
최고위원 고민정 · 서영교 · 장경태
박정현 (지명) · 전은수 (지명)
독립기구
윤리심판원장 위철환 <colbgcolor=#152484> 당무감사원장 이학영
교육연수원장 김정호 민주연구원장 이한주
당대표·최고위원회 소속기구
중앙당후원회장
문희상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 송기도
윤리감찰단장 김석담 특보단장 -
국민응답센터장
강준현 수석대변인 이해식
대변인 한민수 · 황정아 · 최택용 · 최민석[1] (청년) · 김도균 (국방) · 이영수 (민생)
상근부대변인 서용주 · 선다윗[2] (청년)
당대표비서실 (당대표 소속)
당대표 비서실장
천준호
당대표 정조실장
김우영
전국위원회 위원장
전국여성위원장
이재정
전국노인위원장
최락도
전국청년위원장
전용기
전국대학생위원장
-
전국장애인위원장
-
전국노동위원장
유주동
전국농어민위원장
이원택 을지로위원장 박주민
사회적경제위원장
진선미
소상공인위원장
민병덕
이동주
상설위원회
국가경제자문회의 의장 변재일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 윤호중
자치분권정책협의회 의장 이재명 세계한인민주회의 수석부의장 -
국제위원장 황희 전국직능대표자회의 의장 안규백
민생연석회의 수석부의장 - 참좋은지방정부위원장 양승조
정원오
당헌당규위원장
유동수 인권위원장 주철현
다문화위원장 - 재정위원장 임호선
예산결산위원장
고용진 청년미래연석회의 의장 -
인재위원장 이재명
탄소중립위원장
김정호
특별위원회 (상설)
중소기업특별위원장 신영대 사회복지특별위원장 최종윤
보육특별위원장
인재근
교육특별위원장
박경미
보건의료특별위원장 신현영 주거복지특별위원장 홍기원
평화경제특별위원장 김경협 국방안보특별위원장 김병주
이철휘
황인권
동북아평협특별위원장
- 문화예술특별위원장 유정주
환경특별위원장
-
체육특별위원장
임오경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장 조승래
김상선
정보통신특별위원장 정필모
해양수산특별위원장 윤재갑 재해대책특별위원장 -
종교특별위원장
김회재
김영배
문정복
북한이탈주민특별위원장 김병기
4050특별위원장 -
특별위원회 (비상설)
민생경제위기대책위원장 김태년 검찰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장 박범계
국민안전재난대책위원장 - 여성정치참여확대위원장 송옥주
국민통합특별위원장 - 검찰개혁특별위원장 윤호중
전통문화발전특별위원장 김영배
사무처
사무총장 김윤덕
수석사무부총장
강득구
조직사무부총장
황명선
미래사무부총장
박지혜
전략기획위원장
민형배
홍보소통위원장
한웅현
국민소통위원장
최민희
대외협력위원장
박해철
법률위원장 박균택
이용우
정책위원회
의장 진성준
수석부의장 민병덕
제1정조위원장
제2정조위원장
제3정조위원장
제4정조위원장
제5정조위원장
제6정조위원장
제7정조위원장
파일:국회휘장.svg 원내기구 (의원총회)
원내대표 박찬대
원내운영수석 박성준 원내정책수석 김용민
원내대표 비서실장
정진욱
원내부대표 곽상언 · 김남희 · 김용만 · 김태선 · 모경종 · 박민규 · 백승아 · 부승찬 · 서미화 · 송재봉 · 안태준 · 임광현 · 정을호 · 정준호 · 조계원
원내대변인 강유정 · 노종면 · 윤종군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svg
상임고문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svg
역대 당대표

[1] 청년대변인 선발오디션 더블루스피커 우승[2] 청년대변인 선발오디션 더블루스피커 준우승
}}}}}}}}}}}}}}}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 상하대칭.svg 울산광역시 지역위원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C96 16.6%, #003C96 33.2%, #5a1b87 33.2%, #5a1b87 49.8%, #5a1b87 49.8%, #5a1b87 66.4%, #006464 66.4%, #006464 83%);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시당위원장
이선호
남 갑 남 을
오상택 전은수 박성진
울주
김태선 이동권 이선호
}}}}}}}}}}}}}}}

<colbgcolor=#152484><colcolor=#ffffff>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전은수
全恩秀 | Jeon Eun-soo
파일:전은수(더불어민주당).jpg
출생 1984년 10월 17일 ([age(1984-10-17)]세)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
현직 더불어민주당 울산 남구 갑 지역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울산남구협의회 자문위원
노무현재단 울산지역위원회 운영위원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학력 태화초등학교 (졸업)
학성여자중학교 (졸업)
우신고등학교 (졸업)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 / 학사)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 / 법무석사)
소속 정당
파일:zsdkl3gasdg.svg
경력 초등학교 교사
제4회 변호사시험 합격
울산인재평생교육원 이사
울산여성가족개발원 이사
ubc 울산방송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울산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한국광물자원공사 비상임이사 및 감사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청년교육분과 상임위원
한국에너지공단 상임감사
제22대 더불어민주당 울산 남구 갑 국회의원 후보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정치 활동4. 논란5. 소속 정당6.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교육인, 법조인 출신 정치인.

2. 생애

1984년 10월 17일,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서 태어나 2살부터 울산에 거주했다. 태화초등학교, 학성여자중학교, 우신고등학교공주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초등학교 교사로서 사회에 첫 걸음을 내딛는다.

교사로 재직하던 5년 째 되는 해, 학생들과 보내는 시간도 매우 가치있는 일이었지만 교실을 벗어나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싶은 의욕이 생겼고 고심 끝에 변호사의 길에 도전하여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을 거쳐 2015년 제4회 변호사시험에 합격했다. 이후 지역변호사로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활동하며 울산지방변호사회 이사를 역임하던 시기에는 시민들의 원정재판 불편을 해소하고자 원외재판부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활동에 나선 결과 울산지방법원부산고등법원 원외재판부 설치를 확정하는 쾌거를 거뒀다.

또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화하는데도 역량을 발휘해왔다. 울주군 청년정책네트워크 위원으로 청년문화, 주거, 복지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청년대책을 제안하고 과제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구축과 운영에도 적극 참여하며 청년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담아내고자 노력했다. 민선 7기 울산광역시 미래비전위원회 위원도 맡아 생활밀착형 시민복지 정책을 설계하고 맞춤형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수립하는 등 지역주민의 복지와 사회보장 증진에도 일조했다.

한국성폭력위기센터 무료 법률지원사업 전문변호사로서 가정폭력과 성폭력 피해구제를 위한 각종 소송 지원활동에 힘써왔으며, 울산하나센터 법률자문위원을 역임하던 시기에는 북한이탈주민을 자문하는 것은 물론 후원회를 조직하여 탈북민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했고 현재까지도 후원을 이어나가고 있다.

3. 정치 활동

2024년 1월 10일, 더불어민주당 7호 영입인재로 영입되었다. 이어 기자회견에서 본인이 자란 곳인 울산에 출마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결국 2024년 2월 15일 울산 남구 갑에 전략공천되었다. 상대인 국민의힘 김상욱 후보와 부산대 로스쿨 동문이다. 3월 23일에 후원계좌 한도가 초과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월 1일 여론조사꽃에서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은수 39.6%, 김상욱 39.8%로 불과 0.2%p 차이가 났다는 것이 후보의 경쟁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여론조사와 별개로 방송3사 출구조사부터 크게 질 것으로 나오고#, 결국 국민의힘 김상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24년 5월 29일, 서은숙 부산시당위원장의 뒤를 이어 지명직 최고위원에 임명되었다. #

4. 논란

과거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를 다수 변호한 이력이 보도되었다. # #

이에 대해 전은수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자신은 수임결정 권한과 거부권이 없는 고용변호사였고,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 된다는 발언과 동시에, 기사의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며 주장했다. 단순 폭행범을 변호한 것을 두고 자신이 신체를 불법 촬영해 사진을 돌려 본 피고인을 변호한 것처럼 기사를 쓴 점과, 법인에서 수임하였으나 자신에게 배당조차 되지 않은 사건을 두고 자신이 변호한 사건인 양 기사를 쓴 점[1]을 설명하며 기자가 허위사실을 퍼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2]

서민민생대책위원회는 2024년 3월 26일 전은수를 고발했다. #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파일:zsdkl3gasdg.svg
2024 - 현재 정계 입문

6.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울산 남 갑
파일:zsdkl3gasdg.svg
39,687 (42.69%) 낙선 (2위)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전은수 22대 총선(임시).jpg
22대 총선 (울산 남구 갑) }}}}}}}}}


[1] 위 기사에서 '2020년엔 스마트폰 채팅으로 만난 지적장애 3급 여성을 상대로 성폭행을 시도하고 1650만 원을 편취한 B 씨 일가의 민사소송을 대리하기도 했다'고 쓰여진 사건을 말한다.[2] 다만 모든 것을 반박한 것은 아니며, 위 동아일보 기자가 쓴 내용 중 마사지 업소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인 40대 여성을 308회에 걸쳐 성폭행 상습 성폭행한 A 씨를 변호했다는 부분에 대한 해명은 따로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