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15:27:16

장진영(배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명이 장진영인 2001년생 배우에 대한 내용은 장다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장진영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hite 역대}}} 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
파일:bluedragonawards3.png
여우주연상
제21회
(2000년)
제22회
(2001년)
제23회
(2002년)
이미연
(물고기자리)
장진영
(소름)
김윤진
(밀애)
제23회
(2002년)
제24회
(2003년)
제25회
(2004년)
김윤진
(밀애)
장진영
(싱글즈)
이나영
(아는 여자)

파일:대한민국 영화대상 로고 (2).png
파일:대한민국 영화대상 트로피.png
여우주연상
<rowcolor=#fff> 제4회
(2005년)
제5회
(2006년)
제6회
(2007년)
전도연
(너는 내 운명)
장진영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전도연
(밀양)

미스코리아 대전-충남
1992 1993 1994
이명희 장진영 송인정

}}} ||
<colbgcolor=#647378><colcolor=#ffffff> 장진영
張眞英 | Jang Jin-young
파일:0001515100_001_20170901083910514.jpg
출생 1972년 6월 14일[1]
전라북도 임실군[2]
(現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사망 2009년 9월 1일 (향년 37세)
서울특별시 서초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69cm, 49kg[3], O형
본관 인동 장씨 (仁同 張氏)
가족 아버지 장길남(1935 ~ 2024), 어머니 백귀자, 언니 장진이
배우자 김영균(1966년생)
학력 전주초등학교 (졸업)
전주기전여자중학교 (졸업)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 (졸업)
상명여자대학교 (의상학 / 학사)
데뷔 1997년 드라마 내 안의 천사

1. 개요2. 생애3. 출연작
3.1. 드라마3.2. 영화3.3. 뮤직비디오3.4. 광고
4. 수상5. 사건사고6.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배우.

2. 생애

1993년 미스코리아 대전-충남 대회에서 진에 입상해 미스코리아 본선에 진출했으나 입상하지 못했다. 이후 모델 활동을 하다 1997년 KBS 드라마 내 안의 천사에 출연하며 배우로 데뷔했고 2000년 영화 반칙왕을 통해 대중들에게 이름을 알렸다. 그 뒤 영화 소름, 싱글즈를 통해 스타급 연기자[4]로 발돋움했다. 영화 청연이 흥행에 실패했으나 연기력 자체는 긍정적인 평을 받았고, 로맨스 장르 위주에서 드라마 로비스트 등의 출연으로 스펙트럼을 넓혀갔다.[5]

그러나 2008년에 위암 4기 진단을 받아 배우 활동에 제약이 걸렸다.[6] 이에 활동을 중단, 항암 치료에 매진했고 2009년 7월에는 6살 연상의 남자친구 김영균[7]과 미국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하지만 호전되지 못해 판정 이후 채 1년이 안된 2009년 9월 1일에 사망했다.

당시 소속사 예당엔터테인먼트는 투병 중인 장진영과 조건 없이 재계약하며 투병 의지를 불어 넣어 준 것은 물론, 투병 중인 배우의 자존심을 지켜주고 싶다는 뜻에서 장진영의 사진이 유출되지 않도록 대처했다. 덕분에 추측성 기사나 병석에 누운 사진이 나오지 않았고, 장례도 정중하게 치러졌다. 이에 가족 측에서 공개한 웨딩 사진이 투병 당시의 유일한 사진으로 남았다.

3. 출연작

3.1. 드라마

연도 방송사 제목 배역
1997년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내 안의 천사
파일:MBC 로고(1986-2005).svg파일:MBC 로고(1986-2005) 컬러 화이트.svg 남자셋 여자셋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전설의 고향 도미의 처
1998년 아빠를 찾아주세요
파일:SBS 로고(1994-2000).svg파일:SBS 로고(1994-2000) 화이트.svg 순풍산부인과 장진영[8]
파일:MBC 로고(1986-2005).svg파일:MBC 로고(1986-2005) 컬러 화이트.svg 마음이 고와야지 이현지
베스트극장 - 그와 함께 타이타닉을 보다 정희
적과의 동거 - 당신이 죽어버리면 좋겠어
수줍은 연인 강은혜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싱싱 손자병법 한송이
파일:MBC 로고(1986-2005).svg파일:MBC 로고(1986-2005) 컬러 화이트.svg 꿈꾸는 크리스마스
1999년 토끼, 여우를 부르다
흐르는 것이 세월뿐이랴 영주
2007년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로비스트 마리아 유(유소영)

3.2. 영화

연도 제목 배역 관객수(명)
1999년 자귀모 서영은 362,935(서울 기준)
2000년 반칙왕 장민영 787,423(서울 기준)
싸이렌 하예린 62,135(서울 기준)
2001년 소름 선영 78,545(서울 기준)
2002년 오버 더 레인보우 강연희 240,110(서울 기준)
2003년 국화꽃 향기 민희재[9] 837,236
싱글즈 나난 2,203,042
2005년 청연 박경원 543,597
2006년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연아 668,104

3.3. 뮤직비디오

연도 가수 제목 비고
1998년 윤오 이젠
이현우 Good Night
2000년 김장훈 세상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주영훈 노을의 연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1년 김건모 미안해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 광고

연도 기업 브랜드 비고
1996년 LG생활건강 세이
1997년 동아오츠카 포카리스웨트
오뚜기 스낵면
1998년 SK텔레콤 스피드 011 with 한석규
1999년 대우전자 에어컨 수피아
2000년~2001년 CJ엔프라니 엔프라니
2002년 더베이직하우스 베이직하우스
2002년~2005년 현대카드
2003년 에넥스
KT 국제전화 001 블루 with 엄정화
2003년~2008년 삼성전자 하우젠
2004년 효성그룹 주얼리시티
온미디어 ONSTYLE
LG생활건강 테크
2004년~2005년 비너스
2004년~2008년 SK-II
2005년 S-OIL
2005년~2006년 롯데건설 롯데캐슬
2006년 한국네슬레 테이스터스 초이스
한국야쿠르트 보네떼 쿽

4. 수상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1993년 미스코리아 대전-충남
2001년 제22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소름
제4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올해의 여자배우상
제2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여우상
2002년 판타스포르토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2003년 제24회 청룡영화상 싱글즈
2003년 인기스타상
2006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청연
대한민국 영화대상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2007년 황금촬영상 최우수 여우주연상
그리메상 최우수여자연기자상 로비스트
2009년 제30회 청룡영화상 특별상

5. 사건사고

2000년 8월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되었고, 2002년 7월 3일 무면허 상태에서 음주운전을 하다 재적발되었다. # 경찰에 음주운전으로 적발되면서 실제 나이가 밝혀졌다.

6. 여담

  • 영화 국화꽃 향기에서 연기한 배역 민희재와 같은 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일설에 따르면 해당 영화의 감독은 자신이 그런 영화를 찍어 세상을 떠났다고 자책했다고 한다.
  • 아버지 장길남은 장진영 생전에 연예계 활동을 강하게 반대했다고 한다. 그러나 참척 이후 1주기 당시 인터뷰에서는 "지금와서 후회가 된다. 연예인으로서 빨리 성장하도록 도와주지 못한 것에 대해 후회가 깊다"며 "그걸(열망을) 빨리 풀어줬더라면 죽지도 않았으려나 하는 생각이 든다"는 언급을 했다. 장진영 사후 장길남은 2011년 5월에 딸의 출생지 전라북도 임실군에 사재를 털어 장진영기념관을 건립했고, 딸의 인 계암을 딴 "계암장학회"를 설립했다. 2024년 5월 16일 딸의 15주기 행사를 준비하기 위해 장진영기념관에 방문했다 발을 헛디딘 탓에 사망했다. 향년 89세. #


[1] 생전에는 1974년생으로 활동했는데, 당시 1971년생이라는 얘기도 있었다.[2] 출생만 임실에서 했고 성장은 전라북도(現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에서 했다. #[3] 네이버 프로필 기준.[4] 두 영화로 각각 2001년과 2003년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우연찮게도 당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가 둘 다 최민식이다.[5] 이후 영화 김복남 살인 사건의 전말 출연 제의를 받았으나, 위암 발병으로 출연을 고사해 서영희가 출연했다. #[6] 위 점막 아래에 점 형태로 증식 및 전이되어 내시경으로도 발견이 쉽지 않은 미만형 위암(Borrmann type)이라고 한다. 유채영도 같은 종류의 위암으로 사망했다.[7] 전 국회부의장 김봉호의 차남.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소속으로 본인 고향인 전남 해남군·완도군·진도군 선거구에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감사원 출신 윤영일에 밀려 낙천하였다. 장진영 사후 장진영을 기리는 작은 기념사업 비슷한 것을 한다고 알려졌다.[8] 간호사 역.[9] 성시경이 부른 해당 영화의 OST 희재가 이 이름에서 따온 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