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22 16:06:10

장광현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666,#191919><tablebgcolor=#666,#191919>
파일:골든 항작사.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666,#191919><tablebgcolor=#666,#191919>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e3bf4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초대
김판규
2대
김희중
3대
오현구
4대
5대
최해필
6대
7대
곽상하
8대
김호중
9대
이희원
10대
최해필
11대
백병기
12대
최용주
13대
이태만
14대
배명헌
15대
이덕춘
16대
김학주
17대
이순진
18대
김영식
19대
장광현
20대
장경석
21대
허건영
22대
이정기
23대
강선영
24대
이보형
직무대리
조재식
※ 초대~23대: 육군항공작전사령관, 소장(항공병과)~중장(보병병과) ▸ 24대: 육군항공사령관, 소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F0067>
파일:육군 제51보병사단_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F0067>
대한민국 육군
제51보병사단장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제1대
조성욱
제2대
김기성
제3대
송응섭
제4대
임헌표
제5대
김형선
제6대
김동신
제7대
전상배
제8대
홍순호
제9대
박준근
제10대
이희원
제11대
문영환
제12대
조영래
제13대
권용원
제14대
명충식
제15대
권태오
제16대
배봉원
제17대
장광현
제18대
김일수
제19대
황인권
제20대
김인건
제21대
손대권
제22대
류승민
}}}}}}}}}}}}}}} ||

제19대 육군항공작전사령관
장광현
Chang Kwanghyun
파일:장광현.jpg
복무 대한민국 육군
기간 1983년 ~ 2016년
임관 육군사관학교 39기
최종 계급 소장
최종 보직 육군항공작전사령관
주요 보직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겸임]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참모차장
제1야전군사령부 참모장
제51보병사단
합동참모본부 작전1처장
육군본부 비서실장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과장
제17보병사단 제102보병연대

1. 개요2. 생애3. 주요 직위4. 저서5. 주요 논문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예비역 육군소장. 제51보병사단장과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 겸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에 이어 육군항공작전사령관을 끝으로 소장 계급으로 예편했다.

2. 생애

1983년에 육군사관학교(39기)를 졸업하고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3. 주요 직위

  • 소위 1983년 3월 28일 임관
  • 중위 1984년 4월 1일 진급
  • 중령 1997년 12월 1일 진급
  • 전역 2017년 1월
  • 전역 후 2017년 5월 이후
    • 군인공제회 관리부문 부이사장 (2017.5-2020.5)
    • 아시아태평양전략센터(Center for Asia Pacific Strategy) 한국이사
    • 미 미드웨스트(Midwest)대학 국방대학원 주임교수
    • (사)한국-유엔사 친선협회(KOREA United Nations Command Friendship Association) 사무총장

임관 후 소장 1차 보직까지는 합참 합동작전과, 3야전군 작전처, 합참 작전본부 작전1처, 1야전군사령부 참모장 등 육사출신 선두주자로서 전후방 각급 제대 및 정책부서를 비롯한 최요직을 두루 거쳤다. 중장 진급 비선 후에도 한미연합사 작전참모차장에 이어 한미연합사 부참모장 겸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로서 한미동맹과 군사외교를 위해 힘을 쏟았으며, 육군항공작전사령관 등 핵심요직을 두루 거친 인물로서, 특히 항공작전사령관 시절에는 대형공격헬기 사업인 아파치 가디언(AH-64E) 전력화를 성공적으로 완료함으로써 군 전투력 증강에 큰 획을 그었다. 전역 이후 군인공제회 관리부문 부이사장을 역임하였으며, 이후에도 집필, 강의, 학회 참석 등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4. 저서

  • 다시 유엔사를 논하다 (2019, 굿프렌드정우)
  • 유엔군사령부 인사이트 (2022, 선진상사)

5. 주요 논문

  • 한반도 유사시 유엔사(UNC)의 전력 창출에 관한 연구(2017)
  •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따른 유엔군사령부 재활성활화에 관한 연구(2019)
  • 한반도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의 허와 실, 그리고 과제(2021)
  • 한국방위에 미치는 유엔사(UNC)의 전략적 가치(2021)
  • 동상이몽적 한반도 종전선언의 위험성과 한계(2022)

[겸임]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