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09:32:59

자크 오디아르

자크 오디아르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황금종려상
<rowcolor=#000000> 제67회
(2014년)
제68회
(2015년)
제69회
(2016년)
누리 빌게 제일란
(윈터 슬립)
자크 오디아르
(디판)
켄 로치
(나, 다니엘 블레이크)
그랑프리
<rowcolor=#000000> 제61회
(2008년)
제62회
(2009년)
제63회
(2010년)
마테오 가로네
(고모라)
자크 오디아르
(예언자)
그자비에 보부아
(신과 인간)
각본상
<rowcolor=#000000> 제48회
(1995년)
제49회
(1996년)
제50회
(1997년)
수상자 없음 자크 오디아르, 알랭 르 앙리
(위선적 영웅)
제임스 샤머스
(아이스 스톰)

역대 베니스 영화제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감독상
<rowcolor=#000000> 제74회
(2017년)
제75회
(2018년)
제76회
(2019년)
자비에 르그랑
(아직 끝나지 않았다)
자크 오디아르
(시스터스 브라더스)
로이 앤더슨
(끝없음에 관하여)

}}} ||

파일:external/www.newscani.com/109653_88322_4523.jpg

1. 개요2. 소개3. 필모그래피

1. 개요

Jacques Audiard

1952년 4월 30일 생의 프랑스 영화 감독. 21세기 프랑스 대표 감독 중 하나이다. 각본가이자 영화 감독으로 유명했던 미셸 오디아르[1]의 아들이다.

하지만 처음부터 감독에 뜻을 두고 있었던 게 아니라 1980년대에는 주로 각본으로 활동했다. 본격적으로 감독을 데뷔하게 된 계기는 1994년 <그들이 어떻게 추락하는지 보아라>부터. 이때가 41세로 상당히 늦게 데뷔한 편이다. 다음 작인 <위선적 영웅>으로 칸 영화제에서 각본상을 수상하는 등 데뷔 초부터 나름 주목을 받으며 시작했다.

2. 소개

오디아르 감독의 영화는 주로 사회 밑바닥 계층인 범죄자나 이민자, 인생이 망가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그럼에도 대체적으로 해피엔딩을 지향하고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에서 희망을 믿는 편이다. 주로 범죄/느와르 장르 등 상당히 거친 영화를 만들며, 시적이고 몽환적인 연출과 삽입곡을 사용한 연출도 능한 편.

작품 클리셰로는 무정한 아버지, 혹은 아버지의 부재가 나오는데 감독의 실제 삶이 반영된 것이다.

<예언자>로는 칸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고 2015년에는 <디판> 으로 심사위원이었던 코엔 형제에게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았다.[2] 그의 말로는 '내가 상을 받을 줄 몰랐다' 고. 《디판》은 최악의 황금종려상을 꼽을 때 자주 소환되기는 하지만 디판 이전이나 이후나 오디아르의 작품들이 준수한 평가를 받는 편이라 감독의 명성에 흠집이 가진 않은 편이다.

갓 데뷔해 경력을 쌓던 영화음악가 알렉상드르 데스플라를 발굴한 감독이기도 하다. 한땐 데이비드 크로넨버그하워드 쇼어 급의 소울메이트로 유명했지만 <디판>에는 참여하지 않았다가, 2018년에 개봉되는 <시스터스 브라더스>에서 다시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

자식이 세 명이며, 이혼 후 그, 그리고 그들의 아이들 감독 레베카 즐로토브스키랑 사귀었다고 한다. 해당 영화 역시 즐로토브스키가 사귀었을 당시 경험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

3. 필모그래피

연도 제목 역할 비고
연출 각본 제작 기타
1981 프로페셔널 O
1983 데들리 런 O
1987 영광의 재즈 O
1990 아기의 피 O
1994 그들이 어떻게 추락하는지 보라 O O 연출 데뷔작
1996 위선적 영웅 O O 1996년 칸 영화제 각본상 수상작
2001 내 마음을 읽어봐 O O
2005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 O O
2009 예언자 O O 2009년 칸 영화제 그랑프리(심사위원 대상) 수상작
2009 아임 글래드 댓 마이 마더 이즈 얼라이브 O 공동제작
2012 러스트 앤 본 O O O 2012년 칸 영화제 경쟁 초청작
2012 꿈꾸는 자들
2015 디판 O O 2015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2018 시스터스 브라더스 O O 제75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은사자상 수상작
2021 파리, 13구 O O 2021년 칸 영화제 경쟁 초청작
2024 에밀리아 페레스 O O 제77회 칸 영화제 경쟁 초청작


[1] 프랑스 영화사에 굵직한 작품을 여럿 남겼으며, 대표작으로 지하실의 멜로디데들리 런이 있다.[2] 심사위원 대상과 달리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은 영화제 주최 측의 입김이 많이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