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20:47:51

자코타 삼각지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농민운동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
사고
미군정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박정희 정부6.3 항쟁
문민정부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원정녀 AV 유포 사건 ·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한솔동 삼일절 일장기 게양 사건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 강남 일본인 원정 성매매 사건
외교한일관계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3월·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기타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롯데/국적 논란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서울-도쿄 항공노선(인천-나리타 · 김포-하네다 · 인천-하네다) · 인천-간사이 항공노선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중화권 관계 관련 문서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공통
한자문화권
외교 한국-대만 관계(2020년대),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주한국대만대표부, 재한 화교, 화교협회, 중국계 한국인,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사건사고 대만의 아시안 게임 반한 사태, 대만 택시기사 한국인 관광객 강간 사건,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외교 한중관계(2010년대, 2020년대), 한중일, 한중러관계,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주중대사, 주 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한중국대사관, 6자회담, 한중일 정상회의
사건사고 동북공정, 불법조업 문제, 한한령, 6.25 전쟁, 위장 한류, 박경조 경위 살해사건, 이청호 경사 살해사건, 허재 중국 기자회견 사건, 수원 토막 살인 사건, 화웨이의 한국 내 통신장비 납품 관련 논란, 정동진 차이나드림시티 건설 논란, 박근혜 대통령 중국 전승절 참석 논란, 주한미군 THAAD 배치 논란, 송영선 의원 혐중 발언 논란, 한국 기자단 폭행사건, 2.13 중국 네티즌 네이버 댓글 점령사태, 태안 보트 밀입국 사건, 디앤씨미디어/비랩 관련 논란,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 중국의 김치 왜곡, 샤이닝니키 한복 사태, 중국의 유튜브 허위 저작권 등록 사건, 중국 국수주의 네티즌의 한국 연예계 비방,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중국 관련 검열 논란, 조선구마사/논란 및 사건 사고/고증 오류 및 역사 왜곡, PUBG 파트너 리그 한중전 중국 선수 핵 사용 사건, 주한 벨기에 대사 아내의 옷가게 점원 폭행 사건, 2021년 요소수 대란, 강원도 중국복합문화타운 건설 논란, 신세계그룹 정용진 SNS 멸공 발언 게시 논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문화공정 논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국내 사례), 코로나19 확진 중국인 도주 사건, 이재명-싱하이밍 회동 논란 , BJ아영 사망 사건, Gen.G 중국 주권 및 영토의 무결성 지지 포스팅 논란, 중국의 대한 여론 공작
한홍관계,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한국-마카오 관계
한국-티베트 관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티베트 방문 논란
한국-위구르 관계
기타
반한, 혐한/중국, 친한, 중뽕, 혐중(한국), 반중(한국), 친중(한국), 대한민국/외교, 중국/외교(홍콩/대외관계), 대만/외교, 한국군 vs 중국군, 한국군 vs 대만군, 타이완 넘버원, 한국-만주 관계, 주한청국공사관, 중국발 미세먼지 논란 }}}}}}}}}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일본 관계 관련 문서
파일:일본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공통
한자문화권
외교 대만-일본 관계, 한국-대만-일본 관계, 일본대만교류협회, 대만일본관계협회, 자코타 삼각지대
역사 대만일치시기, 타이완 민주국, 대만총독부, 우서 사건
사건사고 hololive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 야스쿠니 신사/사건사고
외교 청일관계, 중일관계(2020년대), 한중일, 6자회담, 한중일 정상회의, 중일평화우호조약
사건사고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
일본-홍콩 관계
일본-티베트 관계
기타
반중(일본), 반일(중국), 친중, 친일, 혐중, 혐일, 중국/외교(홍콩/대외관계), 대만/외교, 일본/외교, 타이완 섬, 중화민족(중화사상), 중국/경제(홍콩/경제, 마카오/경제), 대만/경제, 일본/경제, 자위대 vs 중국군, 일본-만주 관계, 센카쿠 열도, 중일전쟁 }}}}}}}}}

파일:자코타 삼각지대.png

1. 개요2. 관련 문서

1. 개요

the JAKOTA triangle

일본(JApan), 한국(KOrea), 대만(TAiwan)을 묶어서 부르는 표현.

이들 세 나라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다.
  • 일본과 대만은 섬나라이고, 한국은 북쪽에 군사분계선이 있어 아시아 대륙과의 출입이 완전 차단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섬나라와 같은 조건을 갖고 있다.
  • 천연 자원이 희박하기에 인적 자원과 첨단 기술을 중심으로 경제를 운영해 왔으며, 내수 시장이 큰 일본조차도 타 선진국에 비해 수출 비중이 높다. 석유, 천연가스, 펄프, 목재, 철광석, 티타늄을 수입해서 가공하는 가공 무역 구조를 갖추고 있다. 제조업의 경우 전체 GDP의 20%를 넘으며, 경상수지 흑자국이다. 대표적인 동아시아 경제 모델의 예시로 타 선진국에 비해 정부의 경제 개입이 강함 + 상대적으로 긴 노동 시간 + 교육열 + 유교, 불교의 영향 + 입시 위주 교육 + 복지에 대한 저투자로 대표되며, 홍콩, 싱가포르와 같은 유교 자본주의 국가로 분류된다.
제조업 분야도 한국과 일본은 자동차, 일반 기계, 조선, 기계 부품 및 장비, 석유화학, 철강 등으로 겹치며, 한국, 대만, 일본 모두 반도체 등 전자제품 수출 비중이 높다. 경공업에서 중공업으로 성장한 구조도 같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스위스홍콩, 싱가포르에 비해 금융업이 약하다.
  • 외교 · 안보적으로 세 국가 모두 친미 국가로서 냉전 시절부터 제1세계에 소속되어 왔다. 대양 진출 및 기술 패권 장악을 시도하는 중국 견제의 최전선이다보니 냉전 이후 군비가 오히려 확장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한편으론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은 편이기도 하다. 당장 일본조차도 영국, 미국에 비해서는 대중 온건적이며, 쿠릴 열도 갖고 러시아분쟁을 겪음에도 미국, 영국에 비해 러우전쟁에서 상대적으로 유화적인 모습을 보인다. 한국 역시 불곰협정 때문에 어느 정도 제한적 지원만 우크라이나에 제공한다.
한국이 한영관계, EU, 한국-캐나다 관계, 한호관계, 한국-뉴질랜드 관계, NATO와 사실상 동맹을 체결한 것과 파이브 아이즈AUKUS II 가입을 염두에 둔 것도 한미관계와의 연계성에 의한 것이며, 일본영국, 이탈리아GCAP를 구성한 것 등도 미일관계의 연장선이다. 대만이 최근 영국, EU,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의 지지를 받는 거도 미국-대만 관계에 근거를 둔 것이다.

2. 관련 문서



[1] 일본에는 재일 한국-조선인이 거주하지만 인종차별 문제가 남아있고, 일본 역시 비슷한 시기에 선진국이 된 독일에 비해 이민을 받은 시기가 늦다. 한국2010년대 되야 본격적으로 외국계 한국인들이 어느 정도 입지를 다졌고, 이민을 받기 시작했다. 이민 순유입국이 된 것도 2015년 이후 이야기이다. 대만홍콩인, 마카오인, 중국계 싱가포르인 등 한족계 주민이나 화교가 아닌 이상 이민을 잘 받지 않는다. 홍콩인이 대만에 정착한 시기도 홍콩 보안법 이후 발생한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이다.[2] 중국한족이 인구의 90%를 차지하기 때문에 비슷하다고 볼 수도 있으나 일단 선진국이 아닌지라 한국, 일본과 달리 이민 유출국이다. 중국은 소수민족 집단이 100개를 넘는지라 공식적으로 다민족국가를 표방하는 나라다. 중국은 인구가 워낙 많기 때문에 전체의 10%에 불과한 소수민족 인구가 일본 인구와 비슷할 정도다.[3] 한국과 대만은 2020년대 들어 출산율이 0명대로 추락했다. 일본 또한 G7 국가 중 출산율 꼴찌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 중 노인 비율은 무려 30%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된 나라다.[4] 대만[5] 일본, 한국[6] 로마법 + 게르만법[7]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독일 법안을 차용했고, 중화민국 정부도 대륙 시기에 독일 법안을 차용했다. 물론 일제강점기, 대만일치시기일본의 법률 체계가 정착되기도 했다.[8] 헌법, 형법, 민법, 상법, 형사소송법, 민사소송법[9] 남아프리카 공화국 제외[10]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튀르키예, 벨기에, 스위스, 포르투갈,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아이슬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