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6 15:34:50

자동차정비기능사

{{{+2 {{{#FFFFFF 자동차 분야 자격증}}}}}}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동차정비기사 차량기술사
자동차정비기능장

자동차정비기능사
自動車整備技能士
Craftsman Motor Vehicles Maintenance
중분류 166. 자동차
관련부처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2. 필기3. 실기
3.1. 시동3.2. 답안지 작성3.3. 회로도 점검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험을 관리한다. 상위 자격으로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동차정비기사, 자동차정비기능장, 차량기술사가 있다.

예전엔 자동차검사기능사라는 자격증이 따로 있었으나[1] 서로 겹치는게 있어선지 하나로 통합해 난이도가 상승했다. 검사 기준이나 자동차 관련 법령을 빠삭하게 익혀야 하다보니 검사관련 문제가 거의 안 나왔던 2011년까지의 시험보다 더 어렵다. 정비만 다루며 판금, 도장쪽 자격증으로 각각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가 있다.


과정평가형 기술자격시험제도를 통해서도 취득할 수 있다.

2. 필기

필기시험은 전기, 엔진, 섀시, 각종 안전 수칙 등을 CBT로 시험을 친다. 2021년까진 기출의 재출제율이 높아 기출만 외워도 합격하는 사례가 많았으나 2022년 들어 문제의 재출제율이 매우 떨어졌다. 따라서 기출 위주의 학습보단 전반적인 이론 학습과 NCS 학습모듈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그러니 자신이 자동차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다면 자동차에 대한 기초 기식을 먼저 쌓는것이 좋다.

2003~2019 기출문제를 몇 문제 제외하고 거의 다 암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필기 시험장에선 거의 다 생소한 문제가 나왔다는 수검자도 있었다.

농도.속도,시간 ,온도 계산, 행정체적 계산, 압축비 계산, 브레이크 압력비 계산, 감속 기어비 계산, 배터리 전해액 농도 계산 등의 수학 문제 비중도 있으니 공학용 계산기를 챙겨가는것을 추천한다.

3. 실기

실기는 자동차 관련 특성화고대학교에서 1주일 동안, 하루에도 오전, 오후 따로 진행되는데 유출 방지를 위해 전날과 오전에 봤었던 거랑은 시험 내용이나 검사&정비 부위가 달라지며 그리고 친목질에 의한 불법 부정 합격을 방지하고자 어지간한 경우가 아닌 한 감독관들은 해당 학교 교사 대신 다른 학교에서 복불복으로 충원된다.

3.1. 시동

자동차 정비 자격증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항목은 엔진 시동에 성공하는 것. 배점이 제일 높다.

파일:external/media.moddb.com/10644404_612583678859206_2201461576783104398_o.jpg

대략 이렇게 생겨먹은 시뮬레이터를 시동 후 정상적으로 돌아가게끔 만드는 것인데 시험장에 따라 시뮬레이터의 방식이 다르므로 주의.


빠른 진행을 위해 통상적으로 앵간해선 내부까진 망가뜨리진 않고[2] 보통 점화장치[3]연료장치[4]시동장치[5] 3개 항목 중 1개 혹은 2개소를 고장내어 놓는다.
퓨즈나 릴레이 점검시에는 겉보기에 멀쩡한 퓨즈나 릴레이가 꽂혀있는 경우가 있어 멀티테스터 등으로 테스트해보는것이 좋으며, 고장났거나 없을 시, 근처에 있는 감독관이나 조교에게 ○○를 달라고 말하자. 그러면 줄 것이다.

고장개소를 찾은 후, 별 문제점이 없겠다 싶으면 시동을 걸어 시동이 걸리면 성공, 반응이 없거나 크랭킹 수준이면 실패이다.

아무리 시동이 배점이 제일 높다고는 하지만, 시동이 시험의 전부는 아니다. 실제로 시동을 걸지 못했음에도 합격한 사례가 있다.

3.2. 답안지 작성

답안지작성은 크게 검사 파트와 측정 파트로 나뉜다.

기준값은 검사문제를 제외하고는 주어지므로 자신이 측정한 값과 기준값을 보고 양호인지 불량인지 판단내릴수 있어야하며, 올바른 정비및 조치사항을 기입하여야하므로 시중에서 답안지작성법 교재를 참고하여 암기해두도록 하자. 단위기재나 범위(이상, 이하, 미만)를 빼먹을경우 답안지가 0점처리될수있으니 주의.

답안지작성만 잘 연습해놔도 반은 먹고들어가며,
나중에 상위 자격증인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실기에서도 기능사에서 답안지 작성 연습한게 도움이 되니 잘 대비해두도록 하자.

3.3. 회로도 점검

시험장에 주어진 전장회로도를 보며, 와이퍼, 경음기, 전조&후미등 등을 점검 후 이상 부위를 찾아서 답안지에 작성하는 항목이다.

간혹가다 탈거된 부위를 끼워넣거나 멀쩡한 배선을 뽑아놓는 이들이 있는데 이는 명백한 트롤링이므로 지양하도록 하자.

4. 관련 문서



[1] 각종 규정값이나 조치 등을 달달 외워야 하니 암기에 자신이 없다면 나름대로 어려웠다.[2] 행여나 렌치 등으로 내부를 뜯으려고 하면 감독관이나 조교가 다가가 내부는 안건드렸다고 보통 말한다.[3] 점화코일 퓨즈, 점화플러그 배선, 점화코일 커넥터 등[4] 연료펌프 커넥터, 연료 릴레이, 인젝터 커넥터 등.[5] CKPS(혹은 CAS), 시동 릴레이, 기동전동기 ST단자, 배터리 등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