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1:13:12

임실군

임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24694>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군산시 CI.svg
군산시
파일:김제시 CI.svg
김제시
파일:남원시 CI.svg
남원시
파일:익산시 CI.svg
익산시
파일:전주시 CI.svg
[[전북특별자치도청|
도청
]] 전주시
파일:정읍시 CI.svg
정읍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자치군
파일:고창군 CI.svg
고창군
파일:무주군 CI.svg
무주군
파일:부안군 CI.svg
부안군
파일:순창군 CI.svg
순창군
파일:완주군 CI.svg
완주군
파일:임실군 CI.svg
임실군
파일:장수군 CI.svg
장수군
파일:진안군 CI.svg
진안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9c7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9c74>
파일:임실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임실읍
{{{#!wiki style="margin: -16px -11px" 신평면 오수면 운암면 지사면 청웅면 }}}
}}}}}}}}} ||
<colbgcolor=#00bc7e> 전북특별자치도자치군{{{#!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240><tablebordercolor=#fff,#191919> 파일:임실군 CI.svg임실군
任實郡
Imsil County
}}}
군청 소재지 임실읍 수정로 30 (이도리)
광역자치단체 전북특별자치도
하위 행정구역 1읍 11면
면적 597.22㎢
인구 25,815명[1]
인구밀도 43.22명/㎢[2]
군수
심민 (3선)
군의회

파일:zsdkl3gasdg.svg
4석[3]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svg
2석[4]

2석[5]
도의원
파일:zsdkl3gasdg.svg
박정규[6]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박희승 (초선)
상징 <colbgcolor=#00bc7e> 군화 개나리
군목 은행나무
군조 왜가리
군가 군민의 노래
슬로건 하나되어 모두가 행복한 임실
마스코트 파일:임실군 마스코트.png
시리, 이미
지역번호 063
웹사이트 www.imsil.go.kr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리
3.1. 인구
4. 교통5. 경제
5.1. 금융
6. 관광
6.1. 관광지6.2. 축제
7. 교육8. 정치9. 군사10. 하위 행정구역11. 기타12. 자매우호도시13.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static.panoramio.com/57275939.jpg
임실군청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동쪽이 장수군남원시, 서쪽이 정읍시, 남쪽이 순창군, 북쪽이 완주군과 접해 있다. 전주시남원시 사이에 끼어있어서 두 도시의 생활권에 포함되어 있다. 낙농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외지인들이 임실군하면 대부분 치즈를 떠올린다. 요새는 옥정호와 임실 치즈를 활용한 관광 산업을 극도로 발전시키고 있어 "천만 관광"을 목전에 두고 있다.

2. 역사

백제시대 때는 잉힐군(仍肹郡)이었다.[7] 대가야가 전성기였던 5세기에 소백산맥을 넘어 호남 동부를 복속시킬 때[8] 임실 지역도 포함됐던 것으로 보이는데, 관촌면 금성리 고분군에서 대가야 양식 가야토기가 다수 출토되었기 때문이다.

통일신라 때에 임실군이 되었다. 고려 때는 전라도 전주목 밑에 임실군을 두었고 조선시대에는 임실현이 되었다. 1896년 다시 임실군이 되어 남원부의 6개 면이 편입되었다.

1906년 지사면, 둔남면 등이 남원군에서 임실군에 편입되어 24면이 되었다. 1935년 오천면을 관촌면으로 개칭하였다.

1965년 섬진강 다목적댐의 건설에 따라서 운암면이 갈담저수지를 사이하여 2개로 분단되면서 갈담저수지 남쪽에 하운암출장소를 신설하였다(12면 1출장소). 1979년 임실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읍 11면 1출장소) 1992년 둔남면을 오수면으로 개칭하였다.

3. 지리

전반적으로 산이 많은 지역이다. 관촌면, 임실읍, 오수면 일대는 비교적 평탄하지만 나머지 지역은 산이 많다. 특히 순창군과 경계를 이루는 지점에 있는 회문산은 6.25 전쟁 당시에 험준한 지세에 의지하여 빨치산 활동을 한 남부군의 주요 거점이기도 했다. 임실군과 정읍시의 경계에는 섬진강댐이 있으며 이 댐으로 생겨난 옥정호가 임실군 운암면과 정읍시 산내면 일대에 걸쳐 있다. 원래 운암면에 댐식 수력발전소가 있었으나 섬진강댐이 건설되면서 기존의 댐은 수몰되고 발전소는 폐쇄되었다. 현재 옥정호 물은 동진강 수계로 넘어가 정읍시 칠보면의 유역 변경식 수력발전소에서 전력 생산 및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3.1. 인구

파일:임실군 CI.svg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8,175명
1970년 107,787명
1973년 7월 1일 남원군 덕과면 금암리 → 임실군 둔남면(현 오수면) 편입
1975년 104,272명
1980년 83,955명
1985년 68,468명
1987년 1월 1일 정읍군 산내면 종성3리 → 임실군 강진면 편입
1990년 48,327명
1995년 44,612명
2000년 37,514명
2005년 32,511명
2010년 30,593명
2015년 30,271명
2020년 27,314명
2024년 4월 25,81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임실읍 7,222명
오수면 3,497명
관촌면 3,196명
성수면 1,597명
운암면 1,589명
강진면 1,450명
삼계면 1,448명
신평면 1,423명
신덕면 1,311명
청웅면 1,235명
지사면 1,203명
덕치면 1,164명
2023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 ||

이 중 만 65세 이상 인구가 10,170명(전체의 약 38%)이다.(2022년 2월) 2022년 기준 출산율은 다양한 정책으로[9] 1.55명을 기록하며 영광군의 뒤를 이은 2위이지만 정작 인구는 꾸준히 감소중이다.

4.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임실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경제

대표적인 산업은 낙농업으로, 한국에 귀화한 벨기에 출신 가톨릭 신부 지정환[10]의 노력으로 1967년 임실읍 성가리에 한국 최초의 치즈 공장이 설립되었고, 이후 임실 치즈가 임실을 대표하는 특산물로 자리잡게 되었다.[11] 임실읍 금성리에 치즈를 테마로 한 임실 치즈마을이 있으며 임실치즈피자 체인점이 도내 곳곳에 개설되어 있다.

지정환 신부 인터뷰기사 : 1, 2

2016년 2월 4일, 임실치즈를 뿌리내리게 한 지정환 신부가 법무부로부터 특별 귀화허가를 받아 한국인이 되었다. 한국에 온지 57년 만의 일이라고.

참고로 임실 치즈 관련 브랜드들이 난립하고 있는 가운데, 임실군 및 임실치즈농협에서 인증받은 업체는 임실치즈피자[12]와 임실N치즈피자[13] 두 곳뿐이다. 지정환 신부와는 정작 아무 관련이 없는 지정환임실치즈피자는 한때 임실치즈를 사용하지 않았던 경우도 있다.[14] 이 외의 브랜드 역시 임실치즈 이름만 걸어놓고 다른 종류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임실N"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여 임실N복숭아, 임실N토마토, 임실N홍고추 등의 특산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 임실N복숭아의 경우 당도가 매우 높아 주요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 납품되기도 하여 효자상품으로 톡톡히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외에도 푸르밀우유 가공공장이 관촌에 있다. 정확히는 신평면 대리에 위치해 있지만,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관촌면과 인접해 있다.

35사단이 임실로 이전하면서 35사단 장병들의 소비 활동도 임실군 경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군사 항목 참조.

최근 임실군에 흰다리새우 양식연구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15] 치즈와 더불어서 임실군의 새로운 소득 창출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조업으로는 임실읍의 임실농공단지와 신평면의 임실신평농공단지, 오수면의 오수농공단지와 오수제2농공단지등이 들어서 그나마 지역살림에 보탬이 되고 있다.

5.1. 금융

임실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임실우체국 (13)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지방은행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임실농협 (5) 오수관촌농협 (6) 임실치즈농협 (3)
새마을금고
임실새마을금고 (4)
신용협동조합
한올신용협동조합 (1) 성수신용협동조합 (1)
임실군산림조합 (1)

6. 관광

6.1. 관광지

파일:붕어섬(축소).jpg 파일:치즈테마파크(축소).jpg
옥정호 붕어섬 임실치즈테마파크
  • 임실치즈테마파크 & 임실치즈마을
임실치즈테마파크는 임실군 성수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로 앞에 임실IC가 있어 접근성이 좋다. 임실역임실읍내와도 매우 가까워 서부 지역에서도 접근하기에 편하다. 지정환 신부의 임실치즈를 바탕으로 유럽풍 테마파크가 운영되고 있으며 매년 10월에는 임실N치즈축제가 열려 대한민국 치즈의 장을 만드는 곳이다. 테마파크 내부에는 임실치즈역사관, 치즈캐슬, 치즈레스토랑 등이 있으며 현재는 테마파크 앞에 유럽형 장미정원이, 뒤편에는 치즈키즈랜드와 임실치즈팜랜드가 조성 중에 있다.

또한 임실치즈테마파크가 2023년 한국 관광의 최고 권위인 "한국 관광의 별" 지속가능한 프로그램 부문에 선정되어 전북특별자치도를 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관광 명소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임실의 대표적인 관광지가 되었다.

그리고 테마파크 좌측에는 임실 치즈를 테마로 하는 농촌체험휴양마을인 임실치즈마을이 있으며 치즈 및 피자만들기 체험도 가능하다.
옥정호는 임실군 운암면 일원에 섬진강으로 인해 생긴 인공호이며 주변으로 뷰가 좋은 여러 카페 및 식당이 영업 중에 있다. 2015년 임실군 지역의 상수원보호구역이 해제되어 옥정호 개발사업인 "섬진강 르네상스"가 시작하였으며 2023년 3월, 섬진강 르네상스의 핵심인 옥정호 내 붕어섬을 연결하는 출렁다리가 개통되어 도보로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옥정호 주번에는 물안개길, 생태탐방로가 조성되어 있고 옥정호 수변도로에는 벚꽃길이 형성되어있어 매년 봄 벚꽃 향연을 볼 수 있어 2024년 제1회 옥정호 벚꽃축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앞으로도 짚라인, 케이블카, 수상레저 조성 등을 계획하고 있어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큰 관광지이기도 하다.

또한 옥정호 출렁다리가 개통되어 붕어섬에 생태공원을 조성, 봄에는 튤립과 작약과 철쭉, 여름에는 수국, 가을에는 국화가 아름답게 조성되어 관광객에게 멋진 경관을 선사하고 있다. 마침내 2024년 5월 2024년 공원 방문객 100만명을 달성하는 등 임실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로 톡톡히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사선대 & 도화지도예문화원
사선대는 임실군 관촌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주와 가까워 전주시민이 자주 찾는 휴양지로 개발되어있다. 현재는 야간 조명이 설치되어있고 조각공원에 계절별 꽃이 식재되어있어 "한 여름밤의 음악회"가 열리기도 한다. 사선대 인근 산 정상에 운서정이라는 문화유산이 있는데 여기서 바라보는 뷰가 멋있다고 한다

또한 관촌면에 조선백자제작의 전통을 지켜오는 도예문화센터인 도화지도예문화원이 있다.
도화지는 "도자기가 꽃피우는 땅"이라는 의미로 도예 체험 및 도예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 곳으로 현장학습으로 인기가 높아 도예에 관심이 많은 사람은 들려볼 만한 곳이다.
  • 성수산 왕의 숲
임실군 성수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민간에서 운영하던 휴양림 시설을 임실군이 매입하여 휴양 자원 개발 및 보수를 거쳐 "성수산 왕의 숲"이라는 자연휴양림으로 재탄생하여 운영하고 있다. 성수산에 있는 암자인 상이암에 전해져 내려오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전설이 있어 자연 휴양림 명칭을 왕의 숲이라고 명명했다 한다. 부대시설로 오토캠핑장, 카라반, 산림욕장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임실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쉼터가 되어주고 있다.
  • 오수의견관광지
임실군 오수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여 주인을 살리고 산화한 오수 의견을 기리고 전국의 애견인을 위하여 애견관광지로 운영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매년 5월마다 오수의견을 기리는 의견문화제가 진행되며 앞으로 반려동물 지원센터, 세계 명견 테마랜드 등이 개발되고 있어 애견인의 성지가 될 예정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종합사격장 & 국제양궁장 & 119 안전체험관
임실군에는 여러 전북특별자치도 도립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체험도 가능하다. 청웅면에 있는 종합사격장에서는 클레이사격 체험, 오수면에 있는 국제 양궁장에서는 양궁 체험이 가능하다. 또한 임실읍에 119안전체험관이 있으며 각종 사고와 화재상황 등을 직접 몸으로 체험해볼 수 있어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많은 관광지이다

6.2. 축제

  • 임실N치즈축제
지정환 신부의 임실 치즈를 바탕으로 2015년 제1회 임실N치즈축제를 개최하며 임실 치즈를 전국에 알린 축제이다. 치즈축제 기간 동안 전 세계의 다양한 치즈를 맛보고 즐길 수 있으며, 치즈 할인 행사도 동시에 진행한다.

축제는 10월 초, 임실치즈테마파크 및 임실치즈마을에서 진행하며 축제장 내에는 천만송이의 국화꽃이 배치되어 관광객에게 치즈 향과 국화 향을 동시에 선보인다. 대형 쌀 피자 만들기 및 치즈 퍼레이드, 치즈 경매 등의 주요 프로그램이 있어 아이들과 부모님과 함께 방문하기 좋은 축제이다.
  • 임실N펫스타(의견문화제)
주인을 위해 산화한 오수 의견을 기리며 시작한 축제로 1980년대 시작하여 지금까지 이어져 오는 문화축제이다. 시작은 의견문화제로 시작하였으나 반려동물 인구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명실상부한 반려동물 축제로 성장하여 임실N펫스타로 이어져 오고 있다.

축제는 5월 초, 오수 의견관광지에서 진행하며 축제장 내에 반려동물 산업박람회 및 전국 대학 반려동물학과의 미용 등의 봉사활동도 행해지며 수의학과의 출장 진료소를 통하여 반려동물 진료도 받을 수 있다. 또한 행사 프로그램에 임실군 출신 가수였던 최갑석을 기리는 최갑석 가요제와 반려동물 패션쇼, 반려동물 토크쇼가 있으며 프로그램 내 다양한 초대 셀럽을 통해 반려동물계의 거장들을 가깝게 만나볼 수 있다.
  • 옥정호 벚꽃축제
옥정호에 식재된 수려한 벚꽃을 주제로 진행하는 축제이며, 2024년 3월 벚꽃 개화시기에 처음으로 대중에게 선보인 축제이다. 옥정호 출렁다리와 붕어섬 생태공원이 개발되고 현재까지 옥정호를 활용한 다양한 관광 상품을 선보이는 등 앞으로 더 멋진 축제로 성장할 가능성이 농후하며 봄꽃으로 물들은 옥정호 출렁다리와 붕어섬 생태공원을 감상할 수 있는 축제이다.

옥정호 벚꽃축제의 배경이 되는 옥정호 순환도로는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된 곳이며 벚꽃 만개 시기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한다. 축제 기간 사이클 대회인 옥정호 그란폰도, 메디오폰도 대회도 개최하는데 벚꽃이 흩날리는 옥정호 순환도로를 통과하여 선수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임실산타축제
성탄절을 맞아 진행하는 겨울축제로 매년 12월 말 임실치즈테마파크에서 열린다. 전북특별자치도 내에서 가장 큰 겨울 축제이며 군밤 만들기, 치즈 컬링, 산타 체험 등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옥정호 붕어섬과 임실 치즈를 연계한 임실치즈붕어빵을 먹어볼 수 있다. 저녁에는 치즈캐슬과 대형 트리에 경관등이 밝혀져 아름다운 임실치즈테마파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임실치즈테마파크에서 여름에 진행하는 아쿠아페스티벌, 국가무형유산인 필봉농악을 보존하고 농악을 널리 알리기 위한 필봉마을 굿축제, 사선대의 사선녀 설화를 바탕으로 진행하는 사선문화제 등이 있다.

7. 교육

파일:임실군 CI.svg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초등학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갈담초등학교 관촌초등학교 대리초등학교 덕치초등학교
마암초등학교 삼계초등학교 성수초등학교 신덕초등학교
신평초등학교 오수초등학교 운암초등학교 임실기림초등학교
임실초등학교 지사초등학교 청웅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임실군 CI.svg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중학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관촌중학교 삼계중학교 섬진중학교 성수중학교
오수중학교 운암중학교 임실동중학교 지사중학교
청웅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임실군 CI.svg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고등학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오수고등학교 임실고등학교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임실군 CI_White.svg 임실군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사립 파일:예원예술대학교 교표.svg 예원예술대학교 }}}}}}}}}

대학교로 신평면에 예원예술대학교 희망캠퍼스가 있다.

8.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임실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군사


전주시에 있었던 제35보병사단 사령부가 2013년 12월에 임실읍으로 이전했다. 본래 이전계획은 2008년 전후로 이미 다 나와 있었지만 군부대가 주둔하는 도시가 늘 그렇듯이 재산권 침해나 소음 문제 등으로 군민들이 계속 반대해 왔고 그로 인한 보상 문제 협상 등으로 이전이 늦어졌다. 그 후에도 간간이 반대 시위를 하는 주민이 있었지만, 현재는 모두 해결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는 오히려 접경지역의 지자체처럼 35사단 장병들의 소비 활동이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면서, 임실군 차원에서도 장병들에게 해당 군 내에서만 쓸 수 있는 지역상품권 지급, 군인 할인, 무료 교통수단 제공 등의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상권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언론 기사 계급에 상관 없이 군인이라고 하면 다들 굉장히 친절하게 대한다. 그래서인지 민간과 군의 상생모델을 말하라면 임실군의 사례가 항상 가장 먼저 거론될 정도이다.[19]

35사단 이외에도 신평면에 육군 산하 모 부대가 대규모로 주둔중인데, 언론에 여러차례 등장하곤 한다.

10.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임실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기타

임실군 강진면 필봉리는 호남좌도 농악을 대표하는 필봉농악의 터전이다. 강진공용버스터미널에서 내려서 20분 정도 산을 올라가면 필봉농악 전수관이 있다. 방학마다 대학생들이 하도 많이 와서 그런지 장구 들고 있으면 다들 전수 왔냐고 묻는다. 서울 학생들이 여기로 하도 왔다갔다 해서 직행 버스까지 생겼다.

오수면은 잘 알려진 바대로 자기를 희생시켜 주인을 구한 오수의견 전설의 고장이다. 명칭 자체가 獒樹(큰개 오, 나무 수)인데 주인이 충견을 애도하며 심은 나무에서 지명을 따왔다. 과거에는 오수의견이 임실군 마스코트로 사용된 적도 있었다.

임실군은 전북특별자치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개신교가 강세인데, 특히 관내 개신교 교회 중 한국기독교장로회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전국 지자체 중 인구 대비 기장의 교세가 가장 강한 지역이다.

2023년 7월 임실 소방서가 신설되어 운영중에 있다

2020년부터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영화 이장과 군수에 나오는 강덕군은 임실군 지도를 쓰고 있으며 실제로 임실군에서 촬영되었다. 다만 작중에서는 강원도라는 설정으로 나온다.

12. 자매우호도시

13. 출신 인물


[1]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2] 2024년 4월 기준.[3] 임실군 가선거구 (임실읍, 성수면): 김정흠
임실군 다선거구 (청웅, 오수, 삼계, 강진, 덕치, 지사면): 김종규, 이성재
임실군 비례대표: 정일윤
[4] 임실군 나선거구 (운암, 신평, 신덕, 관촌면): 장종민, 정칠성[5] 임실군 가선거구 (임실읍, 성수면): 양주영
임실군 다선거구 (청웅, 오수, 삼계, 강진, 덕치, 지사면): 김왕중
[6] 임실군 전체선거구[7] 단 한화정책을 실시한 건 신라시대 때부터이므로 실제 무엇이라 불렸는지는 알 수 없다.[8] 임실군뿐 아니라 호남 동부 전반, 예를 들어 남원시, 진안군 쪽 고분군에서도 가야 유물이 백제계 유물보다 우세한 양상이 드러난다.[9] 물론 대부분은 첫째아 300만원, 둘째와 셋째아는 500만원, 넷째 이상은 800만원이라는 출산 지원금이 가장 크다.[10] 벨기에 이름은 디디에 세스테벤스[11] 1986년 임실읍 갈마리로 공장을 신축·이전하였다.[12] 임실낙농업협동조합 브랜드. 반원형로고[13] 임실군 합동브랜드. 개그맨 박명수가 광고했던 브랜드이다.[14] 지정환임실치즈피자는 어처구니없게도 사기로 만든 기업이다. 한국에 대하여 잘 몰랐던 지정환 신부에게 거짓말로 이름 특허권을 낸 자가 멋대로 상표 등록해버렸는데, 덕분에 임실치즈피자와 서로 갈등이 심했고 애꿎은 지정환 신부가 별별 악성 루머에 시달려야 했다. 작은 인과응보라면 상표등록 한 자가 법정 싸움이라든지 여러가지로 시달렸다가 지정환 임실치즈피자 상표를 팔아 버렸는데(2005년경) 판매 수익 대부분을 주식투자로 날려 버리고 빚쟁이에게 시달렸고 결국 잠적했다고 한다. 《치즈로 만든 무지개-지정환 신부의 아름다운 도전-》 참조.[15]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9] 임실군 주변에는 정읍시, 전주시남원시가 있다. 특히 2작사 예하부대들은 과거부터 출타제한범위가 거의 없다시피 했다. 때문에 만약 양구마냥 군인들을 호구 취급했다가는 지금까지 쌓아온 이미지와 매출이 나락가는 건 한 순간이다.[20] 박세경의 아들.[21]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22] 저서: 문집탐독(우리 문장가들의 고전문집을 읽다), 옛글의 풍경에 취하다.[23] 종북주의 성향으로 2010년 무단 방북으로 징역 3년 형을 선고 받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