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09:46:20

인천원당역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2024-11-13 13:10:59)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인천원당역
파일:Incheonmetro1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D.svg
GTX-D
(미개통)
역명 표기
인천 1호선 인천원당
Incheon Wondang
仁川元堂 / [ruby(仁川元堂, ruby=インチョンウォンダン)]
GTX-D
주소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동
운영 기관
인천 1호선 인천교통공사
GTX-D 미정
개업일
인천 1호선 2025년 5월 예정
GTX-D 2030년 예정
역사 구조
미정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
2.1. 역명 논쟁
3. 승강장4. 일평균 이용객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I108번,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동에 건설중인 역이다.

2. 역 정보

2023년 12월 인천광역시 역명제정위원회는 이 역의 이름을 "인천원당역"이라고 발표하고 시민 의견 수렴을 진행했다.

2024년 1월 25일 윤석열 대통령 공약이었던 GTX-D 본선이 지나기로 노선안이 나왔고 5호선 김포-인천 연장긔 2024년 대광위 중재안이 여길 지난다.

2.1. 역명 논쟁

2023년 12월 인천광역시 역명제정위원회는 이 역의 이름을 "인천원당역"이라고 발표하고 시민 의견 수렴을 진행했다. 그런데 인천원당역은 인천시청 홈페이지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역명선호도 조사에서 검단중앙역, 검단역, 이음역에 이어 선호도 4위를 기록했었던 이름이다. 이에 검단신도시 입주예정자들이 역명선호도 조사 1위인 검단중앙역으로 할 것을 촉구하는 시민청원을 진행했다. 특히 검단신도시 아파트 수분양자들이 격렬히 반발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검단중앙'이라고 하기엔 이곳은 검단의 중앙으로 오랫동안 면내였던 곳도 아니고[1], 지리적 위치도 검단신도시의 중앙이 아닐 뿐더러 위상도 향후 검단신도시의 주요 행정 및 상업시설이 검단호수공원역에 들어갈 예정인 만큼 오히려 검단호수공원역이 검단중앙역에 어울리는 상황이다. 또한 역명은 지명을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하고 공공기관, 상징적인 시설 순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검단중앙역이 아무리 선호도가 높다고 해도 인천원당역의 역명 제정은 분명 지침대로 한 것이기 때문이다.

역명심의위원회의 회의록에서 한 심의위원이 원당 주민의 바람으로 102역 추가 건설에 원당 피해 주민들을 위해 720억의 매립지 특별 회계를 들였기 때문에 인천원당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매립지 특별회계 및 인천시 추가 예산은 1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90%는 수분양자들의 교통분담금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수분양자들이 원성을 자아내고 있다. 한편 교통분담금이라는 제도는 주택지구의 교통대책에 필요한 재원을 해당 주택지구 개발업자가 부담하는 제도로 아파트 수분양자들이 직접적으로 도시철도 건설비를 부담하는 것이 아니며, 도시철도 건설비가 수분양자에게서 나왔다 해도 민주적으로 제정된 지명 조례를 어기고 검단중앙역이라는 역명을 써야 할 이유가 될 수 없는 반론도 있다.

인천광역시는 2024년 5월 역명심의위원회를 개최해 역명을 재심의하기로 했다.

3. 승강장

검단호수공원
아라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호수공원 방면
부평·인천시청·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4. 일평균 이용객

5. 둘러보기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601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f601f>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서울교통공사] 파일:Seoulmetro7_icon.svg 독골사거리(762)[미개통(7)], 가현(763)[미개통(7)], 심곡천(764)[미개통(7)], 커낼웨이(765)[미개통(7)], 청라시티타워(766)[미개통(7)], 청라국제업무단지(767)[미개통(7)], 정서진(768)[미개통(7)]
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 파일:Incheonmetro1_icon.svg 검단호수공원(I107)[미개통(인천1)], 인천원당(I108)[미개통(인천1)], 아라(I109)[미개통(인천1)]
파일:Incheonmetro2_icon.svg 검단오류(I201), 왕길(I202), 검단사거리(I203), 마전(I204), 완정(I205), 독정(I206), 검바위(I208), 아시아드경기장(I209), 서구청(I210), 가정(I211), 가정중앙시장(I212), 서부여성회관(I214), 인천가좌(I215), 가재울(I216), 주안국가산단(I217)
파일:삼태극.svg 석남(761, I213)
7호선, 인천 2호선
검암(A07, I207)
공항철도, 인천 2호선
파일:공항철도 CI.svg 파일:AREX_icon.svg 청라국제도시(A071)

[서울교통공사] 이 노선은 인천교통공사 관리 하에 있으나, 서울교통공사 차량이 노선을 경유한다.[미개통(7)] 2027년 개통 예정[미개통(7)] [미개통(7)] [미개통(7)] [미개통(7)] [미개통(7)] [미개통(7)] [미개통(인천1)] 2025년 개통 예정[미개통(인천1)] [미개통(인천1)]
}}}}}}}}}



[1] 검단 면내는 왕길동 일부와 마전동 일부로 현 검단사거리역 역세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