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3 22:31:39

이의명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양궁 선수에 대한 내용은 이의명(양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의명(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17년 9월 7일~1950년 6월 27일

1. 개요2. 생애3. 참고자료

[clearfix]

1. 개요


광복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1963년 대통령표창)추서.

2. 생애


1917년 충청남도 천안군 목천에서 태어났다.[1] 본명은 이명이고 이의명은 가명으로 썼지만 전쟁기념관 전사자명부 및 6.25 전쟁 관련자료에 이의명으로 되어있어 본 문서에서는 이의명으로 기록한다.

일찍이 중국으로 건너가 1933년 11월 안춘생, 노태준, 김동수, 고시복 등과 함께 중국 중국중앙군관학교 낙양분교에서 훈련을 받았고, 중국중앙군관학교 낙양분교에 진학해 중국군 장교로 임관했다. 1941년 한청반 훈련을 수료하였다. 그 후 광복군 제2지대에서 활동하였으며, 선우기, 장재민, 김중호, 구자민과 함께 제3구대 제1분대에 소속되었다. 1945년 OSS 훈련을 받고 장준하, 박승헌과 함께 국내진공작전 경기도반에 소속되어 국내진공작전을 기다리다가 광복을 맞이했다.

광복 후 귀국하여 광복군 출신인 송호성, 고시복과 함께 육군사관학교 2기로 임관하였다. 6.25 전쟁 당시 수도사단 제1연대 제2대대장으로 동두천 전투에서 북한군 제4사단의 남하를 방어하였다. 수도사단 제1연대 제2대대는 북한군 남침 당시 서부전선에서 제일 먼저 북한군과 교전을 한 부대이며, 이의명 대대장은 연대장 함준호 대령의 관사를 찾아 전황을 보고 후 소요산에서 북한군과 직접 교전하였다.

당시 소요산에서 북한군을 막다가 탄약 부족으로 동두천으로 밀려나고 동두천에서 시가전을 펼치며 북한군의 진격을 막다가 양주군 덕정리로 후퇴하였고, 이 과정에서 전사하였다.[2] 사후 1963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

3. 참고자료


독립유공자 공훈록
독립운동사 제6권
전사자 정보 검색
[1] 전쟁기념관 전사자명부에는 서울 출생으로 되어있다. 공훈록에 천안은 본적으로 되어있어 추가적인 사실확인이 필요하다.[2] 당시 북한군 2개 사단의 진격을 막던 제7보병사단은 중과부적으로 궤멸에 가까운 병력손실이 있었고, 제1연대는 연대장 함준호 등 지휘관급 장교들이 전사하였다. 그 결과 제7보병사단은 일시적으로 해체하고 수도사단 명칭과 제1연대 명칭을 수도경비사령부제1기계화보병여단에 넘겨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