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17:41:51

이원(196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color: #b22222;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b22222> 초대 제2대 제3대
고종 태황제 순종 효황제 의민황태자
<rowcolor=#b22222> 제4대 제5대
회은황세손 이원
}}}}}}}}}}}} ||
<colbgcolor=#29176e><colcolor=#fff>
대한제국 고종의 증손
이원 | 李源
파일:황사손 이원.jpg
본관 전주(全州)
이름 상협(相協) → 원(源)[1]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2]
출생 1962년 9월 23일 ([age(1962-09-23)]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학력 상문고등학교 (졸업 / 6회)
뉴욕 공과대학교 (신문방송학 / 학사)
재임기간 대한황실문화원 황태손
2005년 7월 16일 ~ 현재
경력 HBO 프로듀서
현대방송 프로듀서
현대홈쇼핑 디지털 방송 본부장
대한황실문화원 이사장
가족 관계 양부: 이구
생부: 이갑[3]
생모: 이경숙
남동생: 이정
여동생: 이은영
부인: 최희정
장남: 이권(1998년생)
차남: 이영(1999년생)
링크[4]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제정복고에 관한 시각3. 생애
3.1. 이구 사망 이전3.2. 이구 사망 이후
4. 가족과 후계5. 황실적통에 대한 논란6. 여담7. 참고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 황실의 황통을 이은자로 황태손(皇太孫) 이라한다. 조선, 대한제국의 3대 의례인 종묘대제, 환구대제, 사직대제와 조선 왕릉에서 지내는 제사를 관장하는 제주의 역할을 말한다.

고종의 둘째 황자 의친왕의 9남 이갑의 아들로 태어났고, 2005년 7월에 이구양자가 되었다.

대한제국 황실의 의민황태자 영친왕의 아들이였던 이구의 양자고, 이구는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혈통상 가장 가까운 황실 가문인 이구의 큰 아버지 의친왕계에서 양자를 들여야 했고, 이구의 유지를 받들고 황족과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의 회의를 거쳐 이원이 황사손(皇嗣孫)으로 정해졌다.
그러나 황사손(皇嗣孫)의 명칭은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만들어진 용어로 황실(皇)의 대를 이어가는(嗣) 자손(孫)이란 뜻으로 황실의 용어도 아닐뿐더러 그의 양부인 이구를 황세손(皇世孫)이라고 칭하는것 조차 황실과 왕실의 용어를 바로 알지 못한 자들에 의해 정해진 명칭이므로 이구부터 이후 황실의 법통을 이어가는 자는 황태손(皇太孫)으로 칭해야 맞다.

2. 제정복고에 관한 시각

2020년, 문화재청이 주최하는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 https://www.kh.or.kr/fest 에서 이원은 본인을 황태자로 칭한적이 있다. 하지만 이는 대중들에게 황실의 문화와 역사를 쉽게 이해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이원은 황실 복원을 주장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정영진, 최욱의 매불쇼인터뷰에서 자신은 '민주주의 틀 안에서 대한민국 국민으로 본인의 책임을 다한다'고 말했다.

이원과 달리 황실 복원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사람은 의친왕의 10남인 이석[5]이나 의친왕의 차녀인 이해원[6] [7] 정도가 있다. 대한제국 황실의 대통이었던 이구의 사망으로 대한제국 황실의 상징적 가치와 정통성을 이원이 물려받아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모든 제례를 '봉행(奉行)'하는 제주(祭主)로서, 우리의 전통과 역사의 정수인 왕실과 황실의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

3. 생애

3.1. 이구 사망 이전

1962년 9월 23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에서 태어났다. 1981년 상문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이듬해 아버지 이갑을 따라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공과대학교(New York Institute of Technology, 약칭 NYIT)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졸업 후 미국 케이블 회사인 HBO에서 2년간 PD로 일했다. 1990년 귀국 후엔 광고 회사 금강기획[8]에서 5년 동안 방송 제작업무를 담당했으며, 이후에는 케이블 채널 현대방송에서 책임 PD로 일했다. 당시 정보통신 발달과 함께 발전한 뉴미디어와 케이블방송에서 가능성을 보았다고 한다. 여담으로 뉴미디어 사업본부로 들어갈때 면접을 본 사람이 다름아닌 정몽헌현대그룹 회장(당시에는 현대전자 대표이사)이었다고 한다.#

또한 결혼 관련 케이블 채널인 뷰티TV에 설립 멤버로 참여했고, HOT가 한창 인기가 있을 때는 관련 캐릭터 사업을 담당했으며 그들이 주연으로 나온 3차원 입체영화 〈평화의 시대〉 제작에도 참여했다. 이후 2001년 현대홈쇼핑 개국과 동시에 창립멤버로 합류했고 여러 팀의 부장으로 재직했다.[9]# 2002년 경부터는 당시 첨단 기술로 촉망받던 유비쿼터스DMB 관련 공부도 열심히 했고# 간간히 언론과 사업 관련 인터뷰도 했다.##
2005년 황태손 이구 서거 이후, 온전히 제주(祭主)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2006년 디지털 방송 본부장으로 퇴임하였다.

3.2. 이구 사망 이후

2005년 7월 16일 황족과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의 회의 후, 사전에 협의된 협의서에 따라 슬하에 후손없이 사망한 이구[10] 양자로 지명받았다. 이구의 양자로서 대통(大統)을 계승했기에 홍유릉 내의 회인원 제향에서도 직접 초헌(初獻)하며, 공석에서는 이구를 공식적으로 '아버님'으로 호칭한다.] 양자가 된 이후 황태손(皇太孫)으로서 현재 대한황실문화원을 통하여 시민들과 함께하는 각종문화행사를 추진중이며 조선왕릉이나 종묘에 대한 전반적인 제사/제례를 모두 맡고 있다.

순종황제와 황태자영친왕의 후사가 다 끊긴 상황에서, 그들의 유일한 형제인 의친왕의 손자가 (명목상이나마) 황실 후계자가 되는 것 자체는 적절했다. 그 중에서도 9남 이갑의 장남이기에 이원이 황태손이 되었다.
의친왕의 장남 이건(일본명 모모야마 켄이치)은 일본으로 귀화했고, 의친왕가를 계승한 6남 이곤 외에 2남부터 7남까지는 이미 각각 출계하여 법적으로는 다른 방계 황족의 후사를 이었고(2남 이우, 3남 이방, 4남 이창, 5남 이주, 7남 이광), 8남 이현은 독신이었기 때문이다. 의친왕의 6남 이곤의 아들 이준은 의친왕가의 종손으로 사동궁을 이어야 했고, 이원이 대한제국 황실 법통 후계자가 된 이유는 이구 서거 이전 전주이씨대동종약원과 사전에 협의된 약정서에 의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양자 입적 후 삼년상을 치렀고, 현재는 조선왕조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5대 제향과 왕릉 제향 등에서 모든 제향의 주재(主宰)자로서 일임하고 있다. 2015년 부터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총재 직을 수행하였고, 2020년부터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에서 정관에 총재직을 삭제하고, 황사손 직함만을 사용하고 있다. 이원은 지금까지도 조선왕실과 대한제국황실의 적통을 이은 자로 조선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모든 주재자(主宰者) 그 소임을 다하고 있다.[11]

이원은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측에 이구의 호칭을 황세손 이구 대신 황태손 이구로 변경하고자 한다. 하지만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은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원래 전공인 미디어 컨텐츠를 바탕으로 황실 문화를 대중들에게 널리 알릴 목적으로 사단법인 대한황실문화원을 세워 총재를 맡고 있다.

원래는 회사 생활과 황실 의례를 병행하려 했지만 황실의 그 많은 제례 행사와 회사 일을 도저히 같이 하기 힘들어 퇴사했다. 그렇지만 당연히 이런 행사만으로는 생계가 힘들기 때문에 생계는 여러 회사경영컨설팅(management consulting)을 하며 유지하고 있다.#

종묘제례 등 전통의식 수행 외에 황실 관련 문화재 반환 문제 등에 관심을 갖고 활발한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인터뷰 기사 #1, #2, #3. 이원은 황태손 직위에 오른 이래 대한제국 황실 복원을 직접적으로 주장하지는 않고 있지만 황실의 문화를 전통이자 문화콘텐츠의 일종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 생각의 연장선에서 2015년부터 개최된 《궁중문화축전》도 기획했다.

이원 본인이 창덕궁 낙선재[12]를 활용하면서 MICE 또는 외국 왕실/황실 관광을 가이드 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나 문화재청 측에게 거절당했다고 한다.# 이러한 아이디어의 배경은 '살아 있는 궁(宮)'을 만들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황실 복원 및 입헌군주제 관련 정치적으로 민감한 발언은 거의 하지 않았던 이원의 활동 중 꽤나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13]

4. 가족과 후계

슬하에 아들이 2명 있다. 아들들은 이원이 황태손이 되었을 때까지 자신들이 대한제국 황실의 후손인 것 자체를 전혀 몰랐다고 한다. 애초에 이원 본인도 1981년 미국에 이민을 가던 시점에서야 자신의 뿌리에 대해 제대로 알았다고 한다. 이민을 가면서 한국에 언제 다시 돌아올지 장담할 수 없어 아버지 이갑이 그때서야 제대로 얘기를 해줬다고 한다.#

이원은 아들들이 자신의 뒤를 이어 황태손이 될 것인지는 전적으로 아들들의 뜻에 맡기겠다고 밝혔다. 만약 승계 의사가 있다면 이원의 장남인 이권이 황태손이 될 것이고, 승계 의사가 없다면 차남 이영이 될 것이다.

5. 황실적통에 대한 논란

그를 대한황실의 수장으로 인정하지 않는 측에서는 민간 종친단체에 불과한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이 그를 황사손으로 지명하여 5대 제향 및 왕릉제향의 초헌관을 일임하는 제주 역할은 인정하나 그가 조선왕실과 대한황실의 적통을 이은 인물이라는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그를 황실의 적통으로 인정하지 않는 대표적 인물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의 지원을 받고 있는 황실문화재단의 총재이자 의친왕의 10남인 이석이 있다. 그는 애초 순종황제 다음 황위가 바로 손 아래 동생인 의친왕이 아닌 당시 10살에 불과한 영친왕을 옹립한 것 자체가 일본의 결정이었고, 황실의 위계질서를 무너뜨리는 일이었으며, 그 황태자로 책봉된 영친왕이 침략국 일본의 왕족인 이방자 여사와 강제결혼하여 일본인 혼혈 아들을 낳아 대한황실의 적통을 잇게 하는 것은 일제 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석은 본인이 황실 적통이라 주장하고 있고[14] 아들이 없이 딸만 둘[15]인 이석은 2018년 재미교포 앤드류 리(한국명 이상민)을 양자로 들여 미국 캘리포니아 베벌리힐즈에서 그를 황태자로 임명하는 의식을 치르며 이원이 황실의 수장이라는 것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있다.한국일보:대한제국 황세손 남가주 대저택 사다. 조선일보:138억 미국 대저택 매입 알고보니 대한제국 황태자

이원을 대한황실의 적통으로 인정하지 않는 또 다른 단체로는 대한제국황족회라[16]는 이름의 기독교계열 종교단체가 있다. 2005년 이구 황세손이 후사없이 죽고 이원을 양자로 들여 황실 적통을 잇게 하자 의친왕의 차녀 이해원은 이원의 아버지 이갑(아명 이충길)의 어머니 함씨가 당호를 받지 못한 첩이라는 점과 의친왕의 아들인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이원이 황실의 적통을 잇는 것을 반대하였다. 이 단체는 2006년 당시 살아있는 황실의 후손 중 가장 연장자였던 이해원(의친왕의 차녀)를 여황제로 옹립하고 대관식을 열어 대한황실이 부활했다고 선언하였다.KBS뉴스:대한제국 황위 이해원 옹주 승계…‘황실 부활’ 선언 그러나 대한제국황족회라는 단체는 정작 대한황실 후손은 없이 기독교계열 종교단체가 주축이 된 것으로 논란이 있었다.

6. 여담

  • 현대홈쇼핑 아동레포츠팀 부장으로 있던 시절에는 부하 직원들에게 젊은 감각으로 대했다고 한다. 회식 자리에서도 분위기 메이커로서 이승철의 〈희야〉와 클론의 〈꿍따리 샤바라〉를 불렀다고 한다. 그리고 회식 때 술을 많이 마시면 주사 없이 조용히 잤다고 한다. 물론 일할 때는 프로다운 면모를 보였다고 한다.#
  • 현대홈쇼핑에 재직하던 시절에는 쉬는 날마다 맛집 탐방하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
  • 2020년 10월 개최된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 중 하나인 〈헬로우 황태자〉에 출연하여 여러 이야기를 들려주었다.[17]
}}} ||
||
<colbgcolor=#29176e> 〈헬로우 황태자〉 Ep2) 〈오상진, 낙선재에 무슨 일로 오셨소? - 낙선재, 슬프지만 아름다운〉 <colbgcolor=#29176e> 〈헬로우 황태자〉 Ep3) 〈전하! 대한제국 오얏꽃에 무슨 일이? - 못다 핀 오얏꽃, 대한제국〉
}}} ||
<colbgcolor=#29176e> 〈정영진, 최욱의 매불쇼〉에 출연한 황사손(이원)
  • 증조할아버지인 고종을 개명군주로 평가했다. # 다만 "내 할아버지가 나라를 제대로 못 지켰다"는 말을 한 적도 있어서 # 고종을 마냥 긍정적으로 평가하는건 아닌듯 하다. 두 기사 사이에 8년의 시차가 있어서 그 사이에 생각이 바뀌었을 수도 있다. 왕으로써 좀 적극적으로 잘했어야지 정도의 아쉬움의 표현으로 해석하면 말은 된다.

7. 참고


[1] 2005년 7월 16일 황세손 이구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황실의 후손들과 상의 끝에 전주이씨대동종약원으로부터 공식 양자로 지명받고, 황태손이 되면서 항렬에 맞춰 개명하였다.[2] 미국 국적이라는 말도 있었으나 실제로는 미국 영주권을 갖고 있었다가 1989년 포기했다고 한다. #[3] 의친왕의 9남으로 아명은 충길(忠吉)이다. 호적명은 항렬에 따라 해룡(海龍)이다.[4] 대한황실문화원 홈페이지 및 SNS[5] 황실 복원 및 본인 황위 계승을 가장 열정적으로 주장하며 BBC 인터뷰 등에서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다. 대표적으로 상술한 BBC 인터뷰와 채널A 〈쾌도난마〉에서의 낭설 주장 등 구 황실의 이미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많이 남겼다.[6] 2020년 사망했다. 드라마 〈〉 열풍이 불던 2006년 9월 29일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대한제국황족회'라는 정체불명의 단체에 의해 '제30대 대한제국 여제'로 옹립되었지만 당연히 대한민국 정부는 아무 반응도 하지 않았다. 대수가 '30대'인 것은 순종(27대)에 이어 영친왕이구를 각각 28대, 29대 황제로 간주한 것.[7] 엄밀히 말하면 족보와 계보도가 중요한 선원계보기략에 의하면 이해원은 의친왕의 차녀로 태어나긴 했지만, 계동궁의 이기용에게 양녀로 가면서 황실 계보도에서는 의친왕의 딸이 아닌 남연군의 종가인 이기용의 딸이다. 어차피 의미는 없지만, 설사 여황제를 인정하더라도 황실족보상 의친왕의 딸이 아닌 이해원이 대통을 잇는 것은 문제가 있었다. 딸 중에선 의친왕의 5녀인 이해경이 의친왕 '가문'의 첫 딸이 된다. 이해경이 미혼이었기에 의친왕비 김씨의 호적으로 들어간 유일한 딸이기 때문이다.[8] 정주영 시절 현대그룹의 광고기획을 위해 1982년에 설립된 기업.[9] 후술할 황태손 결정 당시에는 상품 제2본부 아동레포츠팀 부장이었다.#[10] 자신이 태어난 도쿄 구저택이 있었던 아카사카 프린스호텔 신관 객실에 머물다 갑작스럽게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1] 조선 왕실과 단순 전주 이씨의 종친회는 이미 조선시대부터 족보와 제향 모두 분리되어 있었으나 도리어 현재는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에서 이화문(오얏꽃🌸)을 심벌로 사용하고 조선의 5대 제향 및 조선 왕릉 제향 전반을 도맡는다. 더욱이 2000년대 중반 - 2010년대 초반에 황실 숭모 사업을 시도한 민간 단체가 여럿 생기며 황손 가계의 영향력이 강해지자, 오히려 종약원에서는 "황손들을 일반 전주 이씨 방계처럼 의친왕파로 분파시키자!"는 성토까지 있었다. 전주 이씨 종친회인 대동종약원은 일찍부터 왕실에서 분파해 그 후손의 수가 많은 파, 그중 특히 효령대군파의 입김이 강하다.[12] 순정효황후가 1966년까지, 덕혜옹주, 이방자 여사가 1989년까지 여기서 거주했다.[13] 이것도 나름의 이유가 있는 것이, 현재 황실 일원이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야가 있다면 문화재 분야이다. 과거 수탈과 식민지 시절 수탈된 문화재 환수 작업은 문화재청에서도 고심하고 있는 사안이나 예산 문제로 환수가 쉽지만은 않다. 라이엇 게임즈 코리아와 같은 민간기업들도 힘을 보태주며 몇몇 문화재를 국내로 가져올 순 있었는데, 황실 일원에게 이와 같은 역할을 부여하면, 최소한 황실 문화재와 관련해선 다시 돌려달라고 말하는 것에 보다 설득력이 붙을게 되는 것. 실제로 본인 역시 이를 잘 알고 있어, "일본 내 일부 기관들은 시민단체 소속 신분으로는 유물을 관람하는 것조차 불가능할 때가 있다. 그럴 때 황태손으로서 직계 조상들의 유물을 보러 왔다고 말하면 적어도 실체는 확인할 수 있어 환수 활동에 도움을 받았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특사 혹은 홍보대사 자격으로 임명한다면 정부 휘하에서 움직이는 일원이기에 왕정복고 등에 대한 비판도 어느 정도는 무마할 수 있을 것이다. 이원 본인도 자신은 민주국가 대한민국의 민주 시민의 권리와 의무만 가지지 왕정복고는 추호도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대한제국 황태손 역시 이런 지위와 비슷하게 되어 일종의 인간문화재 같은 기능만 하도록 하는 것이다.[14] 그의 주장은 자신이 황실복원운동을 가장 활발히 한 점, 그리고 현 시점에서 의친왕의 생존해 있는 아들 중에서 가장 연장자라는 점에서 본인이 황실 적통이라고 하지만, 이는 일반 양반집의 계보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당연히 본인의 장조카가 본인보다 황실 승계 서열이 높다.그의 직계 조상인 수양대군처럼 단종을 몰아내 죽이지 않는 한.[15] 장녀 이홍, 차녀 이진[16] 정작 진짜 황족들은 아무도 참석하지 않았다.[17] 첫 번째 에피소드인 〈살아있다! 대한민국에 황태자가? - 종묘제례 주관자로서의 삶〉은 다른 사이트를 통해 볼 수 없고 궁중문화축전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만 시청이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