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3:08:06

이경일(조선)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이경일
제311대

한용구
제312대

서용보
제313대

이시수
제314대

김재찬
제315대

한용구
제316대

김재찬
제317대

김사목
제318대

남공철
제319·320대

이상황
제321대

이존수
제322·323·324대

이상황
제325대

심상규
제326대

홍석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26대

홍석주
제327대

박종훈
제328대

김홍근
제329대

정원용
제330대

권돈인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1·332대

김도희
제333대

박종훈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김홍근
제336대

이헌구
제337대

조두순
제338대

박회수
제339대

조두순
제340대

이유원
제341대

김병학
제342대

강로
제343대

이최응
제344·345대

김병국
제346대

송근수
제347대

김병국
제348대

김홍집
제349대

김병시
제350대

김홍집
제351대

김병시
제352대

김홍집
제353대

조병세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이서구
제350대

심상규
제351대

이존수
제352대

정만석
제353대

김이교
제354·355대

박종훈
제354·355대

박종훈
제356대

이지연
제357대

조인영
제358대

정원용
제359대

권돈인
제360대

김도희
제361대

박회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2대

박영원
제363대

김좌근
제364·365·366대

조두순
}}}
제367대

이경재
제368대

임백경
제369대

류후조
제370대

홍순목
제371대

한계원
제372대

박규수
제373대

김병국
제374대

김병덕
제375대

심순택
제376대

김병시
제377대

김유연
제378대

조병세
제379·380·381·382대

정범조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오은군(鰲恩君) 효정공(孝定公)
이경일
李敬一
출생 1734년 9월 20일
(음력 영조 10년 8월 23일)
사망 1820년 3월 2일 (향년 85세)
(음력 순조 20년 1월 18일)
봉호 오은군(鰲恩君)[1]
시호 효정(孝定)
본관 경주 이씨
원회(元會)
청헌(聽軒)
붕당 소론, 시파
부모 부: 이종악(李宗岳) - 의빈부도사 증 영의정
모: 증 정경부인 진주 강씨[2]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관료, 정승.

2. 생애

1786년(정조 10) 대사간, 1791년(정조 15) 황해도 관찰사를 지냈다. 1793년(정조 17) 우의정 김이소의 건의로 호조 참판[3]이 될 때 품계가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라 오은군(鰲恩君)에 봉해지고 연달아 병조·형조 참판을 지냈다. 1794년(정조 18) 공조 참판을 거쳐 1795년(정조 19) 예조 참판, 1796년(정조 20) 병조·이조 참판을 지냈고, 1791년(정조 21) 다시 이조 참판을 지냈다. 1798년(정조 22) 영흥 부사로 나갔다가 1799년(정조 23) 도총관(오위)이 되었다. 1800년(정조 24) 공조판서를 지내고 강화부 유수로 나갔다. 1800년(순조 즉위) 순조가 즉위하자 의정부 좌참찬이 되었다. 1801년(순조 1) 다시 공조 판서에 임명되었고, 이후 형조판서를 지내고 광주 유수로 나갔다. 1802년(순조 2) 한성부판윤을 지내고, 1803년(순조 3) 기로소에 들어갔다. 1804년(순조 4) 병조판서를 지내고 수원 유수로 나갔다가 그 해 가을 우의정에 임명되었다. 1805년(순조 5) 좌의정으로 승진하였으나 55번이나 사직을 청한 끝에 정승에서 물러났다. 1808년(순조 8) 치사 봉조하(奉朝賀)가 되었고, 1820년(순조 20) 사망하였다. 시호는 효정(孝定)이다.

3. 가족관계

이경일은 선조영의정 오성부원군 이항복의 6대손이자 봉사손으로 이항복의 장남 증 이조판서 오흥군 이성남(李星男)의 5대손이다. 증조부는 오천군 이세장(李世章)이고, 조부는 증 좌찬성 오릉군 이문좌(李文佐)[4]이며, 부친은 의빈부도사 증 영의정 오풍군 이종악(李宗岳)이다.[5] 생조부는 사도검정 증 이조참의 이홍좌(李弘佐)[6]이고 생부는 성균생원 증 이조참판 이종열(李宗說)이다. 이경일이 귀하게 되자 양가(養家)와 생가(生家)가 모두 추영(追榮)을 입었다.[7]
  • 처: 정경부인 반남 박씨 - 박사은(朴師殷)[8]의 3녀.
    • 장남: 이수영(李受永, 1763~1782) - 증 비서원 승
    • 자부: 증 숙부인 청송 심씨 - 참판 심기태(沈基泰)의 딸
    • 차남: 이진규(李進奎) - 군수
    • 3남: 이병규(李秉奎, 1770~1831) - 군수

[1] 평난·호성공신 오성부원군 이항복 6대손 승습(承襲)[2] 부사 강석창(姜碩昌)의 딸.[3] 육조의 차관 벼슬. 아경(亞卿)이라고도 한다. 장관인 정2품 판서는 정경(正卿)이라고 불렀다.[4] 이세장의 장남.[5] 이상의 군호는 이항복의 적장 직계이므로 추증으로 품계가 오르자 봉군된 것이다.[6] 이세장의 차남.[7] 1789년(정조 13) 광주 부윤(廣州府尹)이었을 때 양가(養家)가 추증되었다가 1794년(정조 18) 공조참판으로 있을 때 좌의정 김이소의 건의에 따라 전례에 따른 특별한 은전으로 본생가(本生家)까지 양대(兩代)가 추증되었다. 1804년(순조 4) 우의정에 올라 품계가 정1품에 이르자 양가의 부·조부·증조부 3대는 재추증되었으나 생가의 경우 더 이상 추증되지 못했다. 규례에 따라 부친은 이경일의 품계에 맞춰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조부와 증조부는 한 등급씩 순차대로 강등하여 추증되었다.[8] 반남박씨세보(潘南 朴氏世譜) 및 우의정오은군이공시장(右議政鰲恩君李公謚狀)의 기록. 경주이씨백사공파가승(慶州李氏白沙公派家乘)에는 박사은(朴師)으로 기록함.[9] 생부는 이병규(李秉奎)로 이경일의 3남.[10] 생부는 이계년(李啓年)으로 이항복의 차남 이정남(李井男)의 7대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