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8:57:12

이경웅

<colbgcolor=#cc101f>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cc101f>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cc101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ffd8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대
윤길용
2대
박병화
3대
이우섭
4대
김원호
5대
변인철
6대
노석조
7대
김두혁
8대
김창현
9대
이춘옥
10대
조기락
11대
김무덕
12대
김강흥
13대
김태숙
14대
황병호
15대
이태우
16대
서정도
17대
곽광섭
18대
송연근
19대
현대인
20대
서인호
21대
정용문
22대
박종옥
23대
박규철
24대
이정삼
25대
이경웅
26대
전종익
27대
양병장
28대
이제룡
29대
윤상균
※ 관련 직위 둘러보기}}}}}}}}}

대한민국 제25대 해병대주임원사
이경웅
Lee Kyungwoong
파일:25대 이경웅.jpg
복무 대한민국 해병대
1981년 ~ 2017년
재임기간 제25대 해병대주임원사
2015년 4월 30일 ~ 2017년 9월 21일
임관 해병부사관 154기
최종계급 원사
최종보직 해병대주임원사
주요보직 해병대교육훈련단 훈련교관(DI)

1. 개요2. 상세3. 여담4. 어록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해병대의 전 군인. 최종계급은 원사. 제25대 해병대주임원사를 역임했다.

2. 상세

1981년 8월 3일 해병 부사관후보생 154기로 임관했다. 30년 동안 해병대교육훈련단 훈련교관 등을 비롯한 부사관 주요 직책을 두루 거쳐 2015년 4월 30일 24대 이정삼 주임원사에 이어 25대 해병대주임원사로 취임했다.[1] 2017년 9월 20일 전종익 원사에게 주임원사직을 이임 후 36년간의 군 생활을 마무리 짓고 전역했다.

3. 여담

  • 포항 스틸러스김원일해병으로 복무할 당시에 옆 중대 행정관이어서 아는 사이라고 한다. 관련 글 김원일 해병은 1사단 72기습대대 선봉 7중대 소속이고(김흥국 출신), 당시 계급 상사 이경웅은 6중대 행정관이었다고 한다.
  • 방송에서는 굉장히 온화하고 부드럽게 나온 편이지만 실제 교관시절에는 한 성깔 했었다고 한다. 현재 같으면 징계를 받고도 남을 행동을 서슴없이 했다는듯...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5092505720001303_P2.jpg
북한 지뢰도발 부상자를 위문하는 이경웅 주임원사와 김천용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

4. 어록

준비자세 안 취해, 거기 뭐야?????!!!!!
분대장 목소리가 작기 때문에 분대원들에게 전달이 안되는거야??
그렇게 해서 해병이 되겠나?
다시 한번 소대장이 얘기하지만 해병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고난과 역경도 다 이겨내야 한다. 알겠나?
해병은 태어나는게 아니다! 만든다, 만들어! 알겠나?
운동화 착용하고, 중대 사열대 앞에 집합한다. 아직까지도 운동화를 CS복으로 갈아입지 않은 훈병이 있어?
나 혼자 편하기 위해서 옆에 있는 동기는 죽든 살든 나 혼자 편해보겠다 이건데 12명이 똑같이 움직여야 한다. 알겠나?
소대장도 물론 너희들한테 빨간 명찰을 수여는 해주지만 그동안 고생한 것... 소대장이 눈물이 나오려고 소대장이 그런다. 너를 볼 때마다.[6]
모든 교육은, 교육훈련단에서 시작이 된다![7]

* 파일:FMeNejH.png

[1] 당시 임명자는 이상훈 해병대사령관이다.[2] 당시 계급이 상사였다.[3] 지금은 KBS 뭉클TV 채널에서 업로드를 해놔서 다시 볼 수 있다.[4] 인간극장에도 나왔듯 결혼하고 15년동안 부부가 아침상을 함께 먹은건 손에 꼽을정도라고 한다. DI의 경우 보직의 특성상 부대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고, 출근 시간도 아침 6시경으로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5] 고향도 다르고 배우 이경영(1960) 4남2녀 중 막내이고, 영짜 돌림 사용한다. 고향도 서로 다르다. 배우 이경영(1960) 충주시 해병원사 이경웅 용인시 출신이다.[6] 유난히 체력이 약한 훈병에게 빨간명찰을 수여해주면서 가슴 아파하는 모습을 비추었다.[7] 906기가 처음 들어왔을 때 설명하는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