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21:28:53

윌리엄 터브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35, #002868 20%, #002868 80%, #0D16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조셉 젠킨스 로버츠스티븐 앨런 벤슨다니엘 바시엘 워너제임스 스프릭스 페인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에드워드 제임스 로이제임스 스키브링 스미스조셉 젠킨스 로버츠제임스 스프릭스 페인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앤서니 W. 가디너알프레드 프랜시스 러셀힐러리 R. W. 존슨조셉 제임스 치즈먼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윌리엄 D. 콜먼가렛슨 W. 깁슨아서 바클레이다니엘 에드워드 하워드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찰스 D. B. 킹에드윈 바클레이윌리엄 터브먼윌리엄 톨버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새뮤얼 케니언 도찰스 테일러모세 블라엘런 존슨 설리프
제25대제26대
조지 웨아조셉 보아카이}}}}}}}}}}}}

라이베리아 공화국 제19대 대통령
윌리엄 바카나랏 샤드락 터브먼
William Vacanarat Shadrach Tubman
파일:OAU.jpg
<colbgcolor=#0D1635><colcolor=#ffffff> 출생 1895년 11월 29일
라이베리아 하퍼
사망 1971년 7월 23일 (향년 75세)
영국 런던
재임기간 제19대 대통령
1944년 1월 3일 ~ 1971년 7월 23일
약력 메릴랜드 주 상원의원
1923년 ~ 1931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colbgcolor=#0D1635> 배우자 <colcolor=#373a3c,#ddd>마사 알레사 로다 프랫-터브먼
앙투아네트 루이스 패드모어 터브먼 (1948년 결혼)
정당 }}}}}}}}}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라이베리아의 19대 대통령으로, 1944년 ~ 1971년까지 라이베리아 대통령을 역임했다.

2. 생애

윌리엄 터브먼은 20세기 초까지 보호무역이 주를 이루던 라이베리아를, 재임 이후 몬로비아자유무역 항구로 개방하고 외자를 유치하는 등 개방경제로 전환하려 했다.

또 라이베리아에 살던 토착 원주민들과 본인이 속하기도 한 트루휘그당의 기존 주요 지지층이던 아메리카 대륙 출신 라이베리안들의 갈등, 사회경제적 격차를[1] 줄이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그는 임기를 늘리는 개헌을 하는 등 장기집권을 꾀했고, 그의 전 동맹자이자 나중에 정치적 반대자가 된 S. David Coleman과 그의 아들 John을 탄압하는 등 정적 제거에 있어 비판받기도 했다.

한편, 그의 이런 자유무역적 기조가 통했는지 집권기간 라이베리아는 경제적으로 성장기를 맞이했었다고 평가받는다.[2] 덕분에 '현대 라이베리아의 아버지'라는 일각의 평가도 받는 모양.

임기 도중 1971년 75세의 나이에 고령으로 사망했고, 당시 부통령이었던 윌리엄 톨버트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3]

3. 기타

파일:L$20.jpg
라이베리아 20달러 지폐의 인물이다.
[1] 아메리코 라이베리안 대비 원주민들은 차별받는 구조라 참정권도 제대로 보장받지 못했다. 이게 사실 트루휘그당이 장기집권한 주요 요인 중 하나기도 했고.[2] 다만 이후 내전이 벌어지면서 라이베리아는 오늘날에도 가난한 나라긴 하다.[3] 톨버트는 이후 대통령 임기를 미국처럼 4년 2번으로 제한하고 공산권과 수교, 원주민 참정권 학대 등의 행보를 보였으나, 1980년 쿠데타를 일으킨 원주민 출신 새뮤얼 케니언 도에게 사형당하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