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7 18:20:34

월드뉴스

1. 개요2. KBS NEWS
2.1. KBS 930 뉴스의 코너2.2. KBS 뉴스월드2.3. KBS 월드뉴스2.4. KBS 월드 24
3. MBC NEWS
3.1. MBC 월드뉴스3.2. MBC 마감뉴스의 前 코너
4. KNN 월드 리포트의 前 코너5. kbc 모닝 730의 前 코너6. OBS의 오늘의 월드뉴스7. OBS의 월드 브리핑 톡8. MBN
8.1. 굿모닝 MBN의 코너
9. MBN의 굿모닝 월드10. MBN의 월드 투데이11. MBN의 월드 투데이12. 개그콘서트의 前 코너1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각 방송사에서 월드뉴스라는 타이틀로 방송되는 국제뉴스 프로그램의 총칭.

2. KBS NEWS

2.1. KBS 930 뉴스의 코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930 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KBS 뉴스월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뉴스월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KBS 월드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월드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KBS 월드 2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월드 24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MBC NEWS

3.1. MBC 월드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월드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MBC 마감뉴스의 前 코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마감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KNN 월드 리포트의 前 코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리포트(KN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kbc 모닝 730의 前 코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c 모닝와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OBS의 오늘의 월드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늘의 월드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OBS의 월드 브리핑 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브리핑 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MBN

8.1. 굿모닝 MBN의 코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굿모닝 MB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MBN의 굿모닝 월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굿모닝 월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MBN의 월드 투데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투데이(MB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MBN의 월드 투데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투데이(MB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개그콘서트의 前 코너



출연진은 김준호샘 해밍턴.

방송 기간은 2005년 10월 23일 ~ 2005년 11월 27일까지이며, 샘의 고정 코너 데뷔작이다.

김준호는 한국인 앵커 역할이며, 샘은 동시통역사 역할이다.

내용은 김준호가 진행하는 한국어 뉴스를 샘이 영어로 번역하는 것인데, 잘 나가다가 샘이 비속어스런 표현이나 엉뚱한 한국어나 사적인 얘기를 내뱉어서 뉴스를 망친다.[1]

총 6회밖에 하지 않았지만, 갓 데뷔한 샘의 당시 한국에서의 활동 초기 시절의 풋풋함을 엿볼 수 있는 코너 중 하나이다.

13.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딱 한번은 읽는 법을 틀리는 경우도 있는데 깻잎을 깨십이라고 발음한다거나 김준호가 깨십이 뭐냐고 묻자 샘 해밍턴이 고기에 싸먹는 거라고 대답한다. 김준호는 알겠다는 눈치로 '아 깻잎(깬닢)~!'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