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15:42:01

워터파크역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워터파크역
파일: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아이콘.svg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1터미널 방면
]]파라다이스시티
← 3.1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M05)
다른 문자 표기
영어 Water Park
한자 워터파크
간체자 水上公园
가나 親水公園
주소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2877-2
운영기관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인천공항시설관리(주)
개업일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2016년 2월 3일

파일:워터파크역.png
역 조감도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M05번.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해 있다.

2. 역 정보

인천국제공항철도용유차량사업소 끝단 맞은편에 위치한 고가역. 역명과 달리 제대로 된 워터파크는 파라다이스시티의 '씨메르'에 있다는 게 함정. 그마저도 전역인 파라다이스시티역에서 내리는 게 더 가깝다.

2.1. 승강장

파라다이스시티
용유
파일: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아이콘.svg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인천공항1터미널역 방면
용유 방면

3. 역 주변 정보

남측유수지와 국민체육진흥공단 경정훈련원을 제외하면 역 주변에는 아무것도 없고 갈대숲만 무성하게 나있다. 본래는 워터파크를 만들 계획이었으나... 아래 참조.

3.1. 워터파크 없는 워터파크역

파일:인천공항 워터파크 조성사업.jpg
원래는 본 역 앞에 위치한 남측유수지를[1]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사업시행자로 나서 총 사업비 254억 원을 투입, 국제적인 경정훈련 및 수상레저 시설을 갖춘 워터파크로 조성하고 2008년 11월 18일, 건설에 착수하였으나 예산 확충 문제로 사업이 차일피일 미뤄지더니 지금은 사실상 좌초되어 13년 가까이 수풀이 우거진 공터로 방치돼 있다. 현재 유수지 수면 40만㎡를 제외한 나머지 부지 14만 3천㎡에 들어선 시설은 경정훈련원(4만 8천㎡)과 네스트호텔(2만 5천㎡)이 전부다.

인천시에서는 본 역 인근에 위치한 경정훈련원 등의 수상체육시설이 사전상 '워터파크'의 조건을 충족한다고 보기 때문에 역명을 변경할 계획은 없다고 한다.

신길온천역과 상황이 약간 비슷하다.


이에 대해 2020년 7월 14일, JTBC 뉴스룸에서 이 문단의 타이틀과 동일한 제목으로 리포트를 만들어 저격했다. 다만 현장에 대한 리포트만 이루어져 문제제기만 되었을 뿐 필요한 조치나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현재 알려진 것 이상으로 더 전달되진 않았다. 리포트의 내용이 다소 부실하다고 볼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이에 대한 진전이 없는 공무원이나 행정처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볼 수도 있다.

2022년 자기부상열차가 운행중단되면서 워터파크도 없고 열차도 없어 '역'의 역할도 못하는 워터파크역(...)이 되어버렸다.

4. 기타

파라다이스시티역과는 상당히 멀고 용유역과는 가깝다. 인천공항1터미널역에서 용유역까지 가는 열차에서 이 역이 보일 정도다. 주위에 아무것도 없는 평지 위에 있는 고가가, 그것도 거의 직선 구간인데 잘 안 보일 리가 없다. 역간거리는 1km 남짓이다.

개찰 시설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승하차량 집계가 불가능해서 그렇지, 집계한다면 달월역을 넘어서 대한민국에서 가장 승하차량이 낮은 도시·광역철도역이 될 가능성이 높다. 역세권이 없다시피 하고, 연계 버스 노선도 전무하기 때문.

[1] 인천공항의 홍수조절용 저수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평상시에는 1.5m 수위(깊이)로 관리되고 있다.

5. 둘러보기

파일: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아이콘.svg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