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4:29:33

울산 버스 708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bc00><tablewidth=100%>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
[[틀:울산광역시의 리무진(급행)버스|
급행
]]ㆍ[[틀:울산광역시의 직행좌석버스|
직행
]]ㆍ[[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
일반
]]ㆍ[[틀:울산광역시의 시내지선버스|
지선
]]ㆍ[[틀:울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울산광역시의 마실버스|
마실
]] ㆍ[[틀:울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1 102 103 104 106 107
108 111 112 114 121 122
123 124 126 127 131 132
133 134 147 203 205 206
207 214 216 225 226 233
235 236 246 256 257 266
304 307 308[1] 313[1] 318[1] 323[1]
327 328[1] 337 338[1] 343[1] 348[1]
357[1] 358 401 402 405 406
407 408 411 412 413 415
417 421 422 426 427 431
432 442 453 472 482 492
504 527 537 701 702 705
707 708 712 713 714 715
718 724 728 733 743 744
754 802[1] 807 808 817[1] 824
827 837 847 857
[1]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노선
}}}}}}}}} ||
파일:울산708달동사거리.jpg
파일:PSX_20210214_105834.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708번
기점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태화강역) 종점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산리(대신.녹동)
종점행 첫차 05:10 기점행 첫차 06:05
막차 21:55(공휴일) /22:10(평일, 토) 막차 22:50(공휴일) /23:10(평일, 토)
배차간격 25~30분
운수사명 대우여객 인가대수 6대[1]
노선 태화강역 - 시외고속버스터미널.신세계안과의원 - 달동사거리 - 울산시청 - 태화로터리 - 태화루 - 학성여중 - 삼호교 - 다운중.고등학교 - 내사 - (내사회관) - 들꽃학습원 - 구룡삼거리 - 대신.녹동

2. 개요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내사, 척과 경유)

3. 역사

  • 구 318번이 전신이다.
  • 2003년 개편 때 번호가 708번으로 바뀌었다.
  • 예전에는 708번이나 718번 모두 공업탑을 왕복으로 경유했지만 2010년 3월 1일에 708번은 공업탑 경유 없이 바로 달동사거리를 통해 삼산로에서 중앙로로 진입하도록 변경되었고, 718번은 공업탑을 들린 후 산업은행을 경유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언제부턴가 내사회관 지원 시간에 더 이상 척과초교로 가지 않게 되었다.

4. 특징

  • 다운동 주민들의 교통(특히 삼산 방면)을 책임지는 노선 중의 하나며 형제 노선으로 척과삼거리에서 반용으로 향하는 718번이 있었으나 718번의 기점이 덕하공영차고지로 바뀐 이후에는 별개의 노선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다운동에서 시청을 가려면 413번이나 708번을 이용해야 한다.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성저마을 주민들도 울산갈려면 이 노선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울산과 경주와의 도경계 이다보니 경계선 옆에 울산버스 회차지이기도 한다.
  • 일부 시간대에 내사를 들어갔다 나온다.
  • 울산에서 경주를 갈 때 시간만 맞으면 모화역보다 이 버스를 타고 성저(대신종점)에서 내려 경주 버스 609로 갈아타는 것이 더 빠르다.
  • 대신종점은 울산시와 경주시의 경계에 있는 곳이며 여기서 조금만 북쪽으로 가면 나오는 성저마을 정류장에서 모화와 입실, 불국사역, 경주시내로 가는 609번과 연계된다. 단, 609번은 배차가 극히 적으므로 시간에 유의를 해야한다. 시간대가 맞지 않을 때는 3.3km 정도 내려가면 석계1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605번과도 연계된다.
  • 해당 노선에 2021년 11월 29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산타버스 1대가 운행을 했었다.

4.1. 노선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708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관문로
신척과 ▼▲ 연동
두산로
내사 ▼▲ 들꽃학습원
다운로
삼호교 ▼▲ 다운동행정복지센터앞
태화로
▲ 태화루
명륜로
태화로터리 ▼
중앙로
롯데마트 ▼▲ 달동사거리
삼산로
태화강역(종점) ▼▲ 이마트앞
산업로
}}}}}}}}}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708번(지원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관문로
신척과 ▼▲ 연동
두산로
내사회관 ▼▲ 들꽃학습원
서사로
내사 ▼▲ 내사회관
다운로
삼호교 ▼▲ 다운동행정복지센터앞
태화로
▲ 태화루
명륜로
태화로터리 ▼
중앙로
롯데마트 ▼▲ 달동사거리
삼산로
태화강역(종점) ▼▲ 이마트앞
산업로
}}}}}}}}}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파일:경주시 CI.svg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파일:포항시 CI.svg파일:영천시 CI.svg파일:청도군 CI.svg파일:양산시 CI.svg
경주 - 타 시 · 군 간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울산광역시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울산광역시 환승지 경주시
701 <colbgcolor=#808080,#7f7f7f> 양남 130 150 150-1
151 152 153
154 160 1150
112 402 412 모화 600 604 605
482 712 609 1600
708 대신·녹동 609
308 802 봉계 500
338 태종 2 355
언양터미널 정차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언양 355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포항시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포항시 환승지 경주시
800 <colbgcolor=#808080,#7f7f7f> 감포 100 100-1 130
160 700 1100
600 강동 200 201 202
203 205 206
207 208 212
217 260 1200
206 위덕대 212 222 260
700 기계1 기계 200
900 9000 포항경주공항 100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영천시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영천시 환승지 경주시
753 760번대 763 <colbgcolor=#808080,#7f7f7f> 임포 305
753 아화 300 300-1 301
302 303 304
305 130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청도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청도군 환승지 경주시
동곡순환동곡 <colbgcolor=#808080,#7f7f7f> 지촌 2-1산내
동곡: 동곡터미널에서 청도군 농어촌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산내: 산내정류소에서 경주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양산시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양산시 환승지 경주시
13 3000 3100 <colbgcolor=#808080,#7f7f7f> 언양 355
}}}}}}}}} ||

[1] 일요일, 공휴일에는 5대만 운행.[2] 317번 노선이 폐선되면서 나온 블루시티 차량이 투입되었으나 2021년 6월에 236번의 2252호와 트레이드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