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00:27:39

오정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애정만만세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오정희(애정만만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트라이앵글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오정희(트라이앵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 파일:대한민국예술원.gif}}}{{{#!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02829><tablebgcolor=#502829>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한말숙 박광진 박노경 윤대성
김후란 엄태정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김숙진 나덕성 손숙
김주연 강찬균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현종 정상화 김민 박명숙
유안진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 백병동 정지영
김주영 - 장혜원 이호재
오정희 - 김성길 신영균
신달자 - 윤미용 -
윤흥길 - 정진우 -
천양희 - 이만방 -
전상국 - 김우진 -
최동호 - - -
권영민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김기덕
신동집 남관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김종길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윤
성찬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
오정희의 수상 내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제3회 이상문학상 수상
이청준
(1978)
오정희
저녁의 게임
(1979)[1]
유재용
(1980)
제15회 동인문학상 수상
전상국
(1980)
오정희, 이문열
동경
금시조
(1982)
김원일
(1984)
}}} ||
<colbgcolor=#502829><colcolor=#fff>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오정희
吳貞姬 | Oh Jung-hee
파일:external/06d98601381c1a1b79b3b70c37ece20069fc40e5cf7ef59f9f8a265294c3a562.jpg
출생 1947년 11월 9일 ([age(1947-11-09)]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거주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퇴계동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가족 남편 박용수, 슬하 1남 1녀
학력 이화여자고등학교 (졸업)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 / 학사)
첫 작품 완구점 여인(1968)
종교 천주교(세례명 : 실비아)

1. 개요2. 논란3. 작품 목록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소설가. 1968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등단했다. 이화여자고등학교,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소설집 '불의 강'(1975), '유년의 뜰'(1981), '바람의 넋'(1986), '옛우물'(1994), '불꽃놀이'(1995)와 장편소설 '새'(1996)를 출간했다. 이 밖에도 짧은 소설들을 모은 '술꾼의 아내'(1993)와 '돼지꿈'(2008), '가을 여자'(2009)와 동화 '나무꾼과 선녀', '견우와 직녀' 등을 쓰기도 했다.

'저녁의 게임'으로 이상문학상을, '동경'으로 동인문학상을, '구부러진 길 저쪽'으로 오영수문학상을, '불꽃놀이'로 동서문학상을 수상했다. 2003년 '새'로 독일 리베라투르상을 수상했는데, 이 것은 해외에서 최초로 한국인이 문학상을 받은 사례다.

대표적인 여성주의 작가로 꼽힌다. 그녀의 작품들이 전부 페미니즘에 천착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정희 이전에는 이토록 굴곡 많은 근현대사 속 한국 여성의 실제 삶과 느낌을 가감없이, 자주적이면 자주적인대로 수동적이면 수동적인대로 사실적으로 그려낸 작가는 거의 없었다. 오정희 작품 속 여성들은 아버지의 부재, 다른 남자 가족들의 폭력, 무기력한 어머니 등에게 고통받으면서도 억세게 상황을 헤쳐나가기도 하고, 성적인 일탈을 벌이기도 하며, 생계유지를 위해 미군에게 매춘을 하면서 창녀라는 멸시와 더불어 외화벌이의 산업역군이라는 칭찬 아닌 칭찬을 들으며 그 속에서 방황하기도 한다. 특정한 메시지를 애써 선동하려 하지 않으면서도 여성의 목소리가 제대로 나온다는 느낌이 묻어나게 글을 쓰는 그녀의 문체는 한국 문학에서의 '여성적 글쓰기'의 표본이라고 할 수 있을 만하다. 소설가 편혜영은 그녀를 두고 한국에서 여성 작가가 겪어야 할 소설의 시작이고, 오정희를 읽지 않고 소설을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평을 내린 바 있다.

그녀의 문체는 매우 개성적이고 특이한 것으로(물론 좋은 의미로) 정평이 나 있어 이에 대한 논문도 다수 존재한다. 여성스러움과 섬세함, 묘사의 상세함과 더불어 다소 일반적이지 않은 등장인물들의 심리 묘사, 불안감, 초조함, 긴장감 등의 감정 묘사로 유명하다.

초고를 완성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녹음기에 녹음해 그걸 다시 재생해 듣고 문장을 수정하는 버릇이 있다. 본인의 모든 소설을 다 외우고 있다고 한다.

현재 동인문학상, 김유정문학상심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2. 논란

2014년 문화예술위원회 위원으로 재직 당시 박근혜 정부블랙리스트 작가 배제 지시를 적극적으로 이행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오정희 작가는 이로 인해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립한국문학관 설립추진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다가 문학계와 언론의 비판으로 자진사퇴해야 했다. 오정희 작가는 2023년 서울국제도서전의 홍보대사 6인 중 한 명으로 위촉되었는데, 문화예술계에서는 사과 한 번 하지 않은 오작가를 국제도서전의 얼굴로 내세운 것은 잘못이라면서 지속적으로 비판하였다. (뉴스아트 #에서 인용)

2023년 서울국제도서전 홍보대사로 위촉됐다. 행사 첫날 이를 항의하는 사람들에 의해 잠시 소동이 있었다.# #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단 참고.

3. 작품 목록

  • 가을 여자
  • 불의 강
  • 바람의 넋
  • 불꽃놀이
  • 유년의 뜰
  • 저녁의 게임
  • 활란
  • 중국인 거리
    그녀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 중 하나로 1958년~1960년의 인천 연안부두 앞 차이나타운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작가 본인의 유년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자전적인 소설로 그 당시 어두컴컴했던 분위기의 차이나타운과 미군 주둔지의 현실을 담은 작품이다.[2]
  • 소음 공해
    층간소음을 통해 현대사회에 만연한 이웃 간의 무관심을 비판했다.


[1] 역대 최연소 수상자. 수상 당시 나이가 만 31세로 37회 수상자인 김애란(만 32세)보다 빨랐다.[2] 2004년 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에 출제되기도 했으며, 창비 고등학교 국어I 교과서,2019학년도 수능특강에도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