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7:24:47

양난적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37000, #A67F00 20%, #A67F00 80%, #937000);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구지 前仇池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양무수 양난적 양의 양초 양국
제6대 제7대 말대 비정통
양준 양세 양찬 양통
후구지 後仇池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양정 양성 양현 양보종 양난당
제6대 말대
양문덕 양보치
탕창 宕昌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양근 양미홀 양호자 양미지 양미기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양미박 양미힐 양미승 양미합 양미옹
제11대 제12대 제13대 말대
양미태 양헌정 양미정 양노감
등지 鄧至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상서치 상서자 상굴탐 상서팽 상남제
등지 鄧至 염위 冉魏
말대 추존 추존 초대 말대
상첨함 원제 고제 평제 해빈후
환초 桓楚 서연 西燕
항목 참조 항목 참조
대 代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목제 보근왕 대왕 평문제 혜제
제6대 제7대 제8대 말대 부흥
양제 열제 소성제 헌명제 탁발규
초촉 譙蜀 적위 翟魏 선우조 鮮于趙 왕씨 정권 王氏
초대 초대 초대 추존 초대
성도왕 하남공 선우걸 태상황 태평제
우문부 宇文部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보회 막나 막괴 보발 구불권
제6대 제7대
막규 실독관 걸득귀 일두귀
단부 段部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일륙권 걸진 무목진 취륙권 섭부진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말파 단아 단료 단란 단감
말대
단근
}}}}}}}}}

<colbgcolor=#826E64><colcolor=#ece5b6>
전구지 2대 군주
양난적 | 楊難敵
출생 불명
서진 무도군 구지산
(現 간쑤성 룽난시 청현)
사망 334년 1월
구지 무도군 구지산
(現 간쑤성 룽난시 청현)
능묘 불명
재위기간 백경저왕(百頃氐王)
317년 12월 ~ 322년 2월
무도왕(武都王)
322년 2월 ~ 323년 8월
무도왕(武都王)
323년 8월 ~ 334년 1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26E64><colcolor=#ece5b6> 성씨 양(楊)
난적(難敵)
부친 양무수(楊茂搜)
형제자매 2남 중 장남
자녀 2남
불명
작호 무도왕(武都王)
시호 없음
}}}}}}}}} ||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전구지의 2대 군주. 무도군 저족 수령 양무수의 장남. 양견두(楊堅頭)의 형.

2. 생애

원강 6년(296년) 12월, 아버지 양무수를 따라 여러 저족 부락을 이끌고 제만년의 난을 피해 구지산으로 들어갔다. 이후 상규(上邽)에서 할거하고 있던 남양왕 사마보에 의해 정남장군에 임명되었다.

일찍이 양난적은 자신의 양아들을 양주(梁州)로 보내 어느 양인의 아들을 밀매하게끔 하였는데, 이를 알게된 서진의 양주자사 장광이 그 양아들을 체포해 채찍질형을 집행했다가 죽이고 말았다. 이 소식을 들은 양난적은 크게 노하여
"사군이 처음 부임하였을 때만 해도 양주는 매우 황폐하여서 우리 저족의 노고로 그 병사와 백성이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거늘, 이런 은혜도 망각하고 사소한 죄조차 봐주지 않는단 말인가!"
라며 장광을 무척 원망하였다.

건흥 원년(313년) 8월, 장광과 왕여로부터 떨어져 나온 유민 무리의 수장 양호(楊虎)가 한중(漢中)에서 권력을 다투면서 두 세력 모두 양무수에게 사신을 보내 도움을 청하자, 양무수는 양난적을 파견해 장광을 돕게 하였다. 양난적은 장광에게 뇌물을 요구했다가 거절당했는데, 그때 양호가 후한 뇌물을 바치며 말했다.
"유민의 보물은 모두 장광의 처소에 보관되어 있소. 나보다는 장광을 토벌하는 것이 훨씬 수익이 좋을 것이오."
양난적은 이 말을 듣고 매우 기뻐하면서 겉으로는 장광을 구원해줄 것이라 크게 떠들고, 안으로는 양호의 사람들과 내통하였다. 장광은 이러한 사정을 아예 모르고, 아들 장맹장(張孟萇)과 장원(張援)에게 군사를 주어 양호를 토벌케 하고, 양난적으로 하여금 그 후미를 받치게 하였다. 이윽고 전투가 시작되자 양난적은 곧바로 배반해 양호와 더불어 장광의 군사를 협격하고, 장맹장과 장원을 전사시켰다.

건흥 원년(313년) 9월, 장광은 성문을 굳게 닫고 양난적과 양호의 공격에 맞서 농성하였으나, 울분을 참지 못하고 이내 병에 걸려 사망하였다. 장광의 부하들은 장광의 어린 아들을 양주자사로 옹립하였지만, 얼마 못가 그조차도 양난적에게 살해당하니, 다시 시평(始平) 태수 호자서(胡子序)를 추대하였다.

건흥 원년(313년) 10월, 호자서를 격파하여 그를 양주에서 내쫓은 양난적은 한중을 점거하고 스스로 양주자사를 칭하였다.

건흥 2년(314년) 정월, 양호가 구지를 배반하고 한중의 관리와 백성을 약취하여 성한으로 달아났다. 이때 양주(梁州) 사람 장함(張咸)이 거병하여 한중을 들어 성한으로 귀부하였고, 양난적은 도망쳐 다시 구지산으로 돌아갔다.

건흥 5년(317년) 12월, 아버지 양무수가 사망하자, 양난적은 아버지의 자리를 계승하고 동생 양견두와 부곡(部曲)을 나누어 다스렸다. 양난적은 좌현왕에 올라 하변(下辨)을 점거하였고, 양견두는 우현왕에 올라 하지(河池)를 점거하였다.

영창 원년(322년) 2월, 전조의 황제 유요가 친히 군대를 이끌고 하변의 양난적을 정벌하였다. 양난적은 유요의 공세를 막아내지 못하고 구지로 도망쳤다. 유요는 농서(隴西)의 백성 10,000여 호를 장안으로 이주시키고, 구지로 진격할 준비를 하였으나, 갑자기 군영 내에 역병이 돌아 하는 수 없이 회군을 결정하였다. 유요는 돌아갈 때, 양난적에 의해 뒤가 습격당할 것을 우려하여 광국중랑장 왕광(王獷)을 보내 이해득실을 따져가며 양난적을 설득하게 하였고, 양난적은 왕광의 말에 넘어가 사자를 보내 전조에 칭번하였다. 이에 유요는 사지절•시중•가황월•도독익녕남진량양파6주농상서역제군사(都督益寧南秦涼梁巴六州隴上西域諸軍事)•상대장군•익녕남진3주목(益寧南秦三州牧)•영 호남저교위(領護南氐校尉)•녕강중랑장(寧羌中郎將)으로 삼은 뒤, 무도왕(武都王)에 봉하였고, 그 자제 15명을 모두 공, 후나 장군, 2,000석의 관직에 임명하였다.

광초 6년(323년) 8월, 진주(秦州)에서 할거하던 군벌 진안이 유요에게 토벌당했다는 소식을 들은 양난적은 자신이 진안을 몰래 지원하고 있었다는 것이 들킬까 두려워, 구지를 포기하고 양견두와 함께 한중으로 도망쳤다. 이에 유요는 진서장군 유후(劉厚)를 보내 양난적 무리를 추격케 하여 많은 포로를 사로잡고, 대홍려 전숭을 익주자사로 삼아 구지에 남겼다.

유후의 추격을 뿌리치고 성한의 영역으로 진입한 양난적은 인질을 보내며 성한에 항복하였다. 이때 양난적은 성한의 안북장군 이치(李稚)에게 뇌물을 주어 성도(成都)로 호송당하는 신세만은 면하였다. 이후 전조군이 다시 장안으로 돌아가자, 이치는 즉시 양난적을 무도로 돌려보냈다. 성한을 빠져나온 양난적이 다시 험난한 지역을 끼고서 복종하지 않으니, 이치는 성도로 호송하지 않았던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고, 성한 조정에 상표하여 양난적 토벌을 주청하였다. 이에 성한의 무제 이웅은 이치의 형인 중령군 이함(李琀), 장수 악차(樂次), 비타(費佗), 이건(李乾)을 보내 이치와 함께 백수(白水)로 진군케 하고, 정동장군 이수와 이함의 동생 이오(李玝)로 하여금 음평(陰平)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양난적은 이함 등이 이끄는 군대를 막기 위해 직접 출격하면서 별동대를 따로 보내 이수와 이오의 진격을 막았다. 이함 등이 하변(下辨)에 이르자, 양난적은 군대를 따로 떼어내어서 그들의 퇴로를 끊은 뒤, 사방면으로 성한군을 공격하여 마침내 대파하고, 이함, 이치 등 수천 명을 죽였다.

광초 8년(325년) 3월, 구지를 습격해 전조의 익주자사 전숭을 죽이고, 다시 구지를 장악하여 2년만에 탈환하였다.

광초 10년(327년) 5월, 전조의 무위장군 유랑(劉朗)이 30,000여 기병을 거느리고 구지를 습격했으나, 이기지 못하고 3,000여 호만 약탈한 채 돌아갔다.

옥형 21년(331년) 7월, 성한의 대장군 이수가 무도와 음평을 공격하자, 양난적은 사람을 보내 투항하였다.

옥형 24년(334년) 정월, 사망하고 그 아들 양의가 그 자리를 계승하였다.

3. 둘러보기

전구지의 역대 군주
초대 백경저왕 양무수 2대 무도왕 양난적 3대 하변공 양의
송서(宋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d1d5e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2·3권 「무제기(武帝紀)」 4권 「소제기(少帝紀)」 5권 「문제기(文帝紀)」
유유(劉裕) 유의부 유의륭
6권 「효무제기(孝武帝紀)」 7권 전폐제기(前廢帝紀)」 8권 「명제기(明帝紀)」
유준(劉駿) 유자업 유욱(劉彧)
9권 「후폐제기(後廢帝紀)」 10권 「순제기(順帝紀)」
유욱(劉昱) 유준(劉準)
※ 11권 ~ 40권은 志에 해당. 송서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6><tablewidth=100%><tablebgcolor=#3f51ba> 41권 「후비전(后妃傳)」 ||
조안종 · 소문수 · 장애친 · 장궐 · 사마무영 · 호도안 · 원제규 · 노혜남 · 왕헌원 · 하영완 · 심용희 · 왕정풍 · 진묘등 · 강간규 · 진법용 · 사범경
42권 「유목지등전(劉穆之等傳)」 43권 「서선지등전(徐羨之等傳)」 44권 「사회전(謝晦傳)」
유목지 · 왕홍 서선지 · 부량 · 단도제 사회
45권 「왕진악등전(王鎮惡等傳)」 46권 「조륜지등전(趙倫之等傳)」 47권 「유회숙등전(劉懷肅等傳)」
왕진악 · 단소 · 상정 · 유회신 · 유수 조륜지 · 왕의 · 장소 유회숙 · 맹회옥 ,맹용부, · 유경선 · 단지
48권 「주령석등전(朱齡石等傳)」 49권 「손처등전(孫處等傳)」 50권 「호번등전(胡藩等傳)」
주령석 · 모수지 · 부홍지 손처 · 괴은 · 유종 · 우구진 호번 · 유강조 · 원호지 · 장흥세
51권 「종실전(宗室傳)」
유도린 · 유도규 · 유준고
52권 「유열등전(庾悅等傳)」 53권 「장무도등전(張茂度等傳)」 54권 「공계공등전(孔季恭等傳)」
유열 · 왕탄 · 사경인(1) · 원담 · 저숙도(2) 장무도(3) ,장영, · 유등지 ,유병지, · 사방명 · 강이 공계공 · 양현보 · 심담경
55권 「장도등전(臧燾等傳)」 56권 「사첨등전(謝瞻等傳)」 57권 「채곽전(蔡廓傳)」
장도 · 서광 · 부륭 사첨 · 공림지 채곽
58권 「왕혜등전(王惠等傳)」 59권 「은순등전(殷淳 等傳)」 60권 「범태등전(范泰等傳)」
왕혜 · 사홍미 · 왕구 은순 · 장창 · 하언 · 강지연 범태 · 왕준지 · 왕소지 · 순백자
61권 「무삼왕전(武三王傳)」
유의진 · 유의공 · 유의계
62권 「양흔등전(羊欣等傳)」 63권 「왕화등전(王華等傳)」 64권 「정선지등전(鄭鮮之等傳)」
양흔 · 장부 · 왕미 왕화 · 왕담수 · 은경인 · 심연지 정선지 · 배송지 · 하승천
65권 「길한등전(吉翰等傳)」 66권 「왕경홍등전(王敬弘等傳)」 67권 「사령운전(謝靈運傳)」
길한 · 유도산 · 두기 · 신념 왕경홍(4) · 하상지 사령운
68권 「무이왕전(武二王傳)」
유의강 · 유의선
69권 「유담등전(劉湛等傳)」 70권 「원숙전(袁淑傳)」 71권 「서담지등전(徐湛之等傳)」
유담 · 범엽 원숙 서담지 · 강담 · 왕승작
72권 「문구왕전(文九王傳)」
유삭 · 유굉 · 유창 · 유휴인 · 유휴우 · 유휴업 · 유휴천 · 유이부 · 유휴약
73권 「안연지전(顏延之傳)」 74권 「장질등전(臧質等傳)」 75권 「왕승달등전(王僧達等傳)」
안연지 장질 · 노상 · 심유지 왕승달 · 안준
76권 「주수지등전(朱脩之等傳)」 77권 「유원경등전(柳元景等傳)」 78권 「소사화등전(蕭思話等傳)」
주수지 · 종각 · 왕현모 유원경 · 안사백 · 심경지 소사화 · 유연손
79권 「문오왕전(文五王傳)」
유탄 · 유위 · 유혼 · 유휴무 · 유휴범
80권 「효무십사왕전(孝武十四王傳)」
유자상 · 유자훈 · 유자방 · 유자욱 · 유자란 · 유자인 · 유자진 · 유자원 · 유자우 · 유자맹 · 유자운 · 유자사(劉子師) · 유자소 · 유자사(劉子嗣) · 유찬
81권 「유수지등전(劉秀之等傳)」 82권 「주랑등전(周朗等傳)」 83권 「종월등전(宗越等傳)」
유수지 · 고침 · 고기지 주랑 · 심회문 종월 · 오희 · 황회
84권 「등완등전(鄧琬等傳)」 85권 「사장등전(謝莊等傳)」 86권 「은효조등전(殷孝祖等傳)」
등완 · 원의 · 공기(孔覬) 사장 · 왕경문(5) 은효조 · 유면
87권 「소혜개등전(蕭惠開等傳)」 88권 「설안도등전(薛安都等傳)」 89권 「원찬전(袁粲傳)」
소혜개 · 은염 설안도 · 심문수 · 최도고 원찬
90권 「명사왕전(明四王傳)」
유우 · 유홰 · 유숭 · 유희
91권 「효의전(孝義傳)」
공영 · 유유(劉瑜) · 가은 · 곽세도 · 자원평 · 엄세기 · 오규 · 반종 · 장진지 · 왕팽 · 장공 · 서경 · 손법종 · 범숙손 · 복천여 · 허소선 · 여제민 · 손극 · 하자평
92권 「양리전(良吏傳)」
왕진지 · 두혜도 · 서활 · 육휘 · 완장지 · 강병지 · 왕흠지
93권 「은일전(隱逸傳)」
대옹 · 종병 · 주속지 · 왕홍지 · 완만영 · 공순지 · 유응지 · 공기(龚祈) · 적법사 · 도잠 · 종욱지 · 심도건 · 곽희림 · 뇌차종 · 주백년 · 왕소 · 관강지
94권 「은행전(恩倖傳)」
대법흥 · 완전부 · 왕도륭 · 양운장
95권 「삭로전(索虜傳)」 96권 「선비토욕혼(鮮卑吐谷渾)」
삭로 토욕혼
97권 「이만전(夷蠻傳)」
임읍국 · 부남국 · 가라타국 · 가라단국 · 반황국 · 반달국 · 사파파달국 · 사자국 · 가비려국 · 고구려 · 백제국 · 왜국 · 형옹주만 · 예주만
98권 「저호전(氐胡傳)」 99권 「이흉전(二凶傳)」
구지 · 저거몽손 유소(劉劭) · 유준(劉濬)
100권 「자서전(自序傳)」
심약
(1) 본명이 사유(謝裕)로 유유의 휘를 범하여 자인 경인(景仁)으로 표기되었다.
(2)본명이 저유지(褚裕之)로 유유의 휘를 범하여 자인 숙도(叔度)로 표기되었다.
(3) 본명이 장유(張裕)로 유유의 휘를 범하여 자인 무도(茂度)로 표기되었다.
(4) 본명이 왕유지(王裕之)로 유유의 휘를 범하여 자인 경홍(敬弘)으로 표기되었다.
(5) 본명이 왕욱(王彧)으로 유욱의 휘를 범하여 자인 경문(景文)으로 표기되었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f51ba><tablebgcolor=#3f51ba>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