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5:32:31

아나스타스 미코얀

<colbgcolor=#cd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국가원수
<rowcolor=#ffd700> 소비에트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초대 초대 제2대 제3대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 니콜라이 시베르니크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아나스타스 미코얀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안드레이 그로미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초대 초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정부수반
<rowcolor=#ffd700> 소련 인민위원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이오시프 스탈린 게오르기 말렌코프 니콜라이 불가닌 니키타 흐루쇼프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총리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티호노프 니콜라이 리시코프 발렌틴 파블로프
<rowcolor=#ffd700> 서기장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술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주석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옐레나 스타소바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옐레나 스타소바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 ||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5대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아나스타스 이바노비치 미코얀[1]
Анаста́с Ива́нович Микоя́н
Anastas Ivanovich Mikoyan
파일:아나스타스 미코얀.jpg
출생 1895년 11월 25일
러시아 제국 티플리스현 보르찰라구 사나힌
(現 아르메니아 로리주 사나힌)
사망 1978년 10월 21일 (향년 82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現 러시아 모스크바)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재임기간 제5대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1964년 7월 15일 ~ 1965년 12월 9일
부모 아버지 호브하네스 네르세소비치 미코얀
어머니 타마라 오타로브나 미코얀
형제자매 누나 아쉬헨
남동생 아르툠
배우자 아슈켄 투마냔
자녀 세르고, 스테판, 바노, 알렉세이, 블라디미르
종교 무종교 (무신론)
소속 정당
[[소련 공산당|]]
주요 서훈 사회주의노력영웅
10월 혁명 훈장
레닌훈장 (6회)
적기훈장

1. 개요2. 약력3. 생애4. 여담

[clearfix]

1. 개요

소련의 정치인이자 제5대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2. 약력

  • 1953.3. 소련 국내외무역부 장관 (1953.3.15.~1953.8.24.)
  • 1953.8. 제3대 대외무역부 장관 (1953.8.24.~1955.1.22.)

3. 생애

1895년 지금의 아르메니아 로리주에서 빈농이었던 호반네스 미코얀과 타마라 미코얀의 3남매 중 둘째이자 장남으로 태어났다.

1906년 성모 에치마이진 교회에서 아르메니아 정교회 사도로서 신학 교육을 받았으나 교육을 받으면 받을수록 종교에 대해 회의감을 느꼈고 1915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입당해 볼셰비키파에 가입하였다.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이 일어나자 이에 대한 영향으로 바쿠 혁명을 주도했으나 체포되었고 1919년 2월이 되어서야 석방된다.

같은 해 10월 모스크바로 소환되어 전러시아의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2년부터 1924년까지 로스토프나도누의 당비서로 재임했다.

4. 여담

  • 온화하고 상식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약삭빠르고 처세술에 능한 성격이었다고 한다. 게다가 운까지 좋아서[2] 덕분인지 소련의 고위 정치인 중에서는 레닌, 스탈린, 흐루쇼프, 브레즈네프의 시대를 모두 겪으면서도 큰 고초를 겪지 않고 말년까지 자리를 유지하며 편안히 천수를 누린 몇 안되는 인물이다. 이런 인물들이 대개 그렇듯이 일반인들에게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 끝내 스탈린의 눈 밖에 나고도 숙청당하지 않고 무사히 천수를 누렸다는 점에서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
  • 미식가였으며 직접 요리도 즐겨 하는 등 식문화에 관심이 많았다. 1936년 무역부 장관으로 미국을 방문했을 당시 각종 미국 요리들을 접하고는 호평하여 소련에 햄버거, 도넛, 시리얼, 아이스크림, 팝콘, 토마토 주스 등을 소개하였다. 특히 햄버거는 '미코얀 커틀릿'이라는 이름까지 붙었다. 다만 곧이어 터진 제2차 세계 대전 때문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그 외에 급식 시스템 확립에도 애썼으며 소련 고위 정치인으로는 이색적으로 요리책을 쓰기도 했다.
  • 특히 아이스크림을 좋아했으며 스탈린으로부터 "동무는 공산주의보다 아이스크림에 더 관심이 많은 것 같다"섬짓한 농담을 듣기도 했다.
  • 미그의 공동 설립자 아르툠 미코얀의 형이다.


[1] 아르메니아어: 아나스타스 호바네시 미코얀(Անաստաս Հովհաննեսի Միկոյան).[2] 스탈린의 친구였으나 그가 죽기 직전에는 거의 눈 밖에 난 상태였다. 스탈린이 조금만 더 오래 살았다면 미코얀도 숙청당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