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21:43:04

신경전

1. 개요2. 양상
2.1. 행태적 측면2.2. 구도적 측면
3. 사례4. 여담

1. 개요


개인이나 단체 사이에서 상황의 주도권을 가지기 위해 벌이는 심리적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싸움이라고도 불린다.

2. 양상

2.1. 행태적 측면

몸싸움이나 폭행과 달리 행위자가 상대방보다 더 높은 주도권을 갖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려고 한다는 점에서부터 순수악과 달리 고의성이 있는 행동이다.[1] 단, 이러한 의도 자체를 파악하는 역량이 주관적이기도 하고, 진짜로 눈치가 없는 사람은 이를 신경전이라고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역효과를 내기도 한다. 그래서 대한민국과 같은 '고맥락(high-context) 문화' 국가에서는 타문화 국가보다 악질적인 기싸움이 일어난다.

일상에서는 돌려 까는 화법을 주로 사용하거나 수동공격[2]을 교묘히 활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나아가 사실 검증 혹은 절차가 명확한 상황까지 가게 될 경우, 평소 관심 없던 기사나 사실관계·규범 등을 눈에 불을 켜고 찾아내거나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하면서까지 상대를 반박하려는 행동 양식을 띠게 된다.

2.2. 구도적 측면

친한 사람끼리는 터놓고 불편함을 표출할 가능성이 좀 더 큰 반면에, 안 친한 사이끼리 혹은 형식적인 관계끼리는 방식의 유치함을 어떻게든 최소화하려는 방식으로 가다 보니 이러한 기싸움이 벌어진다. 그중에서도 썩 친하지 않으면서도 동등한 지위로 인식하거나 해볼 만한 상대라고 여겨졌을 때 이런 일이 벌어진다. 한편 상하 지위 관계 사이에서 하급자가 이러한 기싸움에서 밀렸어도 대외적인 영향은 미미하지만, 당하는 쪽이 상급자인 경우 그 대미지가 어마어마하다. 이는 특히 실질적인 권능을 하급자가 쥐고 있는 구도에서 종종 발견할 수 있다.

남성들은 바로 몸싸움으로 번지는 경우가 많지만 여성들은 그렇지 않기에 상대적으로 여성들 사이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다만, Z세대 들어서는 젠더 갈등의 영향으로 인해 이성 사이의 기싸움도 빈번하게 볼 수 있다. 그래서인지 2020년대 들어서는 신입 사원들일수록 남녀 사이를 막론한 기싸움을 자주 구경할 수 있게 됐다.

심리학 전문가 오은영은 외향인끼리 기싸움이 벌어지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내향인 사이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언급했다. 내향인-내향인들 간의 기싸움은 암투 형식으로 진행되거나 장기화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편 내향인들은 신경전에 피로감을 느끼지만, 외향인은 오히려 그 의도를 눈치 채고 즐기는 변태들이 많다고 한다. 그래서 외향인-내향인 간의 기싸움 구도에서는 내향인이 불리한 편에 속한다.[3]

3. 사례

기사로 다뤄진 내용만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4. 여담

  • 규정을 어느 정도 숙지한 나무위키 이용자 간의 편집 분쟁에서도 종종 발견된다. '신규 서술 측의 3회 편집' → '토론 개시' → '토론으로도 해결되지 않는 상황까지 치닫음'이라는 전형적인 루트를 따라 끝내는 법정 다툼을 방불케할 정도까지 이어지는데, 주로 중재자 개입이나 관리자의 유권 해석까지 가는 기싸움 사례가 많다.
  • 특유의 기싸움 표정으로 유명해진 유튜버, 틱톡커, 인플루언서엔 에디 실바가 있다. 보는 사람에 따라 거부감이 강할 수 있다.
  • 주로 젊은 여자나 나이든 남자들에게서 발생한다. 젊은 남자들은 어렸을때 부터 무술 1개 정도는 배운다. 예) 태권도, 유도, 주짓수, 권투, 킥복싱, 검도 등. 그렇기에 싸울 경우 둘다 매우 치명적인 걸 알고 대부분 양보 하려고 하며, 심지어 대부분이 군대를 다녀오며 하다 못해 훈련소라도 갔다 오기에 이럴일이 별로 없다.


[1] 예를 들면 타인에게 없는 것 혹은 평소 상대가 갖고 싶어 했던 물건 등 상대방이 욕심낼 만한 것들을 자랑하거나, 은근히 상대방을 폄하하는 어법을 구사한다. 집단 따돌림으로 심화되는 경우도 있다.[2] 이와 관련된 일본어 표현 중에 이케즈라는 것이 있는데 우회적 수단으로 상대를 열 받게 하면서도 상대가 그것을 지적하면 되레 상대가 곤란해지게 하는 얄미운 행동을 일컫는다.[3] 주로 내향인 측에서 기싸움 시비를 먼저 걸었어도 결과적으로 내향인 측이 지쳐서 외향인 측을 차단하는 양상으로 전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