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7 10:42:04

시카고 베어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91022d><tablebgcolor=#91022d> 파일:NFL 로고.svg내셔널 풋볼 리그
NFL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파일:아메리칸 풋볼 컨퍼런스 로고.svg 아메리칸 풋볼 컨퍼런스
동부 파일:뉴욕 제츠 로고.svg 파일: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돌핀스 로고.svg 파일:버팔로 빌스 로고.svg
북부 파일:볼티모어 레이븐스 로고.svg 파일:신시내티 벵골스 로고.svg 파일:클리블랜드 브라운스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스틸러스 로고.svg
남부 파일:인디애나폴리스 콜츠 로고.svg 파일:잭슨빌 재규어스 로고.svg 파일:테네시 타이탄스 로고.svg 파일:휴스턴 텍산스 로고.svg
서부 파일:덴버 브롱코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파일: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로고.svg 파일:캔자스시티 치프스 로고.svg
파일:내셔널 풋볼 컨퍼런스 로고.svg 내셔널 풋볼 컨퍼런스
동부 파일:뉴욕 자이언츠 로고.png 파일:댈러스 카우보이스 로고.svg 파일:워싱턴 커맨더스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이글스 로고.svg
북부 파일:그린베이 패커스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라이언스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바이킹스 로고.svg 파일:시카고 베어스 로고.svg
남부 파일:뉴올리언스 세인츠 로고.svg 파일:애틀랜타 팰컨스 로고.svg 파일:캐롤라이나 팬서스 로고.svg 파일:탬파베이 버커니어스 로고.svg
서부 파일: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 파일:시애틀 시호크스 로고.svg 파일:애리조나 카디널스 로고.svg
}}}}}}}}}}}}}}} ||
파일:시카고 베어스 로고.svg 파일:시카고 베어스 워드마크.png
로고 워드마크
<colbgcolor=#0b162a><colcolor=#ffffff> 시카고 베어스
Chicago Bears
창단 1920년 9월 17일([age(1920-09-17)]주년)
NFL 가입 1920년([age(1920-09-17)]주년)
연고지 일리노이 시카고
연고지 변천 디케이터[1] (1919~1920)
시카고 (1921~)
구단명 변천 디케이터 스테일리스 (1920)
시카고 스테일리스 (1921)
시카고 베어스 (1922~)
소속 변천 내셔널 풋볼 리그 (1920~)
서부 지구 (1933~1949)
내셔널 컨퍼런스 (1950~1952)
서부 컨퍼런스 (1953~1966)
- 중부 지구 (1967~1969)
내셔널 풋볼 컨퍼런스 (1970~)
- 중부 지구 (1970~2001)
- 북부 지구 (2002~)
홈 구장 스테일리 필드 (Staly Field, 1919~1920)
리글리 필드 (Wrigly Field, 1921~1970)[2]
솔저 필드 (Soldier Field, 1971~2001, 2003~)[3]
메모리얼 스타디움 (Memorial Stadium, 2002)[4]
구단주 버지니아 할라스 맥카스키 (Virginia Halas McCaskey)[5]
사장 테드 필립스 (Ted Phillips)
단장 라이언 폴스 (Ryan Poles)
감독 맷 에버플루스 (Matt Eberflus)
약칭 CHI
파일:시카고 베어스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 9회
NFL
(8회)
1921, 1932, 1933, 1940, 1941, 1943, 1946, 1963
슈퍼볼 우승
(1회)
XX(1985)
컨퍼런스 우승 : 4회
NFL Western
(2회)
1956, 1963
NFC
(2회)
1985, 2006
디비전 우승 : 19회
NFL West
(8회)
1933, 1934, 1937, 1940, 1941, 1942, 1943, 1946
NFC Central
(7회)
1984, 1985, 1986, 1987, 1988, 1990, 2001
NFC North
(4회)
2005, 2006, 2010, 2018
플레이오프 진출 : 27회
NFL 1933, 1934, 1937, 1940, 1941, 1942, 1943, 1946, 1950, 1956, 1963, 1977,
1979, 1984, 1985, 1986, 1987, 1988, 1990, 1991, 1994, 2001, 2005, 2006,
2010, 2018, 2020
팀 컬러 / 유니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팀 컬러
네이비 블루 번트 오렌지 흰색
유니폼
파일:Helmet_CHI_1983.png 파일:Bears_Home_Jersey_2021.jpg 파일:Bears_Away_Jersey_2021.jpg 파일:Bears_Alternate_Jersey_2021.jpg
<rowcolor=#c83803> Helmet Home Away Alternate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슈퍼볼 XX 우승팀
XIX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colbgcolor=#c83803><colcolor=#ffffff> 시카고 베어스 XXI
뉴욕 자이언츠
}}}}}}}}}}}} ||

1. 개요2. 역사3. 홈구장4. 선수단5. 영구결번6. 기타7. 개별 문서가 있는 소속 선수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FL미식축구팀. NFC 북부지구 소속. 연고지는 시카고.

NFL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는 팀이며, 라이벌 그린베이 패커스와 함께 NFL 출범 당시의 이름을 지금도 유지하고 있는 구단이다. 2002년부터 NFC 북부지구에 소속되어 있다.

별명 중에서는 90년대 초의 SNL 스케치 "빌 스워스키의 슈퍼 팬들"(Bill Swerski's Superfans)[6]에서 유래한 'Da Bears'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시즌이 지날수록 곰돌이화 하는 중이며, 특히 구단주를 같은 지구에 모시고 있다(…)[7]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카고 베어스/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홈구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솔저 필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6e90cf50c2ff5c761ca6037c80e75452.jpg

4.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b162a><tablebgcolor=#0b162a> 파일:시카고 베어스 로고.svg시카고 베어스
2024시즌 53인 로스터
}}} ||
{{{#!wiki style="margin: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b162a,#fff
OFFENSE
<colbgcolor=#c83803><colcolor=#fff> QB 14 네이선 피터먼 · 17 타이슨 배전트 · 18 케일럽 윌리엄스
RB 20 트래비스 호머 · 21 디온타 포먼 · 23 로션 존슨 · 24 칼릴 허버트 · 25 대린턴 에반스 · 35 카리 블래싱게임FB
WR 2 D.J. 무어 · 11 다넬 무니 · 12 벨러스 존스 · 13 타일러 스캇 · 15 트렌트 테일러 · 19 에콰니미어스 세인트브라운
TE 18 로버트 톤얀 · 84 마르세데스 루이스 · 85 콜 크멧
OL 58 다넬 라이트OT · 62 루카스 패트릭C · 64 네이트 데이비스OG · 65 코디 화이트헤어C · 67 댄 피니OG · 68 더그 크라머C · 69 재타이리 카터OG · 70 브랙스턴 존스OT · 74 아비안테 콜린스OT · 75 래리 보롬OT · 76 테븐 젠킨스OT
DEFENSE
DL 52 칼리드 카림DE · 90 도미니크 로빈슨DE · 91 야닉 은가쿠웨DE · 93 저스틴 존스DT · 94 라심 그린DE · 95 드마커스 워커DE · 96 잭 피켄스DT · 97 앤드루 빌링스DT · 98 몬테즈 스웨트DE · 99 저본 덱스터DT
LB 44 노아 스웰MLB · 49 트레메인 에드먼즈MLB · 53 T.J. 에드워즈OLB · 55 딜런 콜OLB · 57 잭 샌본OLB
CB 6 카일러 고든 · 27 그렉 스트로먼 · 31 제일런 존스 · 32 터렐 스미스 · 33 제일런 존슨 · 39 조시 블랙웰
S 4 에디 잭슨FS · 9 제이콴 브리스커SS · 22 일라이저 힉스FS · 26 퀸델 존슨SS · 37 듀런 하먼SS
SPECIAL TEAM
K 8 카이로 산투스
P 16 트렌턴 길
H
LS 48 패트릭 스케일스
R 13 타일러 스캇KR · 15 트렌트 테일러PR
COACHING STAFF
감독 맷 에버플루스
OC 셰인 왈드론
DC 에릭 워싱턴
STC 리차드 하이타워
코치 QB 코치 공석 · RB 코치 데이비드 워커 · WR 코치 타이크 톨버트 · TE 코치 팀 드레이 · OL 코치 크리스 모건
DL 코치 트래비스 스미스 · LB 코치 데이브 보르곤지 · DB 코치 존 호크 · S 코치 안드레 커티스
용어 일람
FB · OT(LT/RT) · OG(LG/RG) · DE · DT · WLB/SLB · MLB · SS · FS · PK · P · H · LS
NFL 타 구단 선수단 보기
}}}}}}}}}}}} ||

5. 영구결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b162a> 파일:시카고 베어스 로고.svg시카고 베어스
영구결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ccac00> No.3 No.5 No.7 No.28 No.34
<rowcolor=#ffffff> 브롱코 나구르스키 조지 매카피 조지 할라스 윌리 갈리모어 월터 페이튼
<rowcolor=#ccac00> No.40 No.41 No.42 No.51 No.56
<rowcolor=#ffffff> 게일 세이어스 브라이언 피콜로 시드 루크만 딕 벗커스 빌 휴이트
<rowcolor=#ccac00> No.61 No.66 No.77 No.89
<rowcolor=#ffffff> 빌 조지 클라이드 터너 레드 그랜지 마이크 딧카
}}}}}}}}} ||

6. 기타

  • 전통적으로 수비가 강력한 팀인 데다 특유의 보수적 컬러와 시카고의 강한 바람 때문에 러닝백 중심, 수비 위주의 그라운드 게임을 하다 보니 팀 역사가 100년 가까이 되는데 팀 내 통산 리시빙 1위가 자니 모리스의 5059야드에 불과하다. 2002년 생긴 신생 팀 휴스턴 텍산스에도 안드레 존슨이라는 통산 1만 야드를 넘긴 선수가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8][9] 얼마나 팀이 보수적이었는지 알 수 있는 사례. 멀리 갈 것 없이 캘빈 존슨이나 안토니오 브라운 같은 괴물들은 3시즌 만에도 만들어내는 기록이다.
때문에 공격진의 개선을 위해 덴버 브롱코스에서 제이 커틀러라는 일류(?) 쿼터백, 와이드 리시버 브랜든 마셜을 트레이드해왔지만 공격진 탤런트의 전체적인 약세 때문에 공격 강화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제이 커틀러는 팀 역사상 유일하게 2년 연속 3000야드 패스를 성공시킨 팀 역사상 최고의 쿼터백 후보에 이름을 올리고 있을 정도. 진짜 베어스 팀 최고의 쿼터백이라 불리는 인물은 짐 맥마흔인데, 은퇴한 지 몇십 년이 지났다. 현대 베어스 팬들에게 기억되는 가장 나은 쿼터백은 커틀러인 것이었다.
  • 이쪽도 팀 컬러나 팀 이름 등 여러모로 시카고 컵스와 관련이 많은 구단이다 보니 시카고 컵스 같은 징크스가 생기지 않을까 전전긍긍해왔다. 그래도 108년이나 우승 못했던 팀보다는 1번이라도 1980년대에 슈퍼볼 우승한 베어스가 훨씬 낫다.
  • 파일:external/www.abc.net.au/2372796-3x2-940x627.jpg
    북부 지역 팀의 연고지답게 플레이오프 때쯤 되면 필드에 눈발이 날린다. 이런 추위를 뚫고 플레이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시즌 후반 시카고 원정은 이 팀홈구장 못지않게 상대 팀에게 엄청난 부담을 안긴다.
  • 파일:external/cdn.fansided.com/5697338.jpg
    팀 마스코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짜 마스코트는 페도베어라고 까인다.
  • '허니 베어의 저주(The Curse of the Honey Bears)'라는 재밌는 저주가 있다. 사연은 1977년 당시 시카고 베어스의 구단주였던 조지 할라스가 댈러스 카우보이스치어리더들에게 자극받아 치어리더를 조직하라는 지시를 내리면서 시작된다. 이렇게 해서 베어스를 위한 치어리더가 조직되고 팬들 사이에서는 '허니 베어스'라는 애칭으로 불려지게 된다. 할라스는 측근들에게 "내가 살아 있는 한 베어스 경기에 치어리더가 있을 것이다"라고 했다고 한다. 할라스는 1983년에 타계했는데 그의 딸이었던 버지니아 맥카스키가 팀의 경영권을 넘겨받으면서 1985년을 마지막으로 허니 베어스를 정리했는데 이해가 공교롭게도 베어스가 첫 슈퍼볼에 진출했던 해였다. 그러나 허니 베어스가 사라진 이후 베어스는 거짓말같이 저조한 성적을 벗어나지 못했다[10].[11]
  • 브라질에서도 NFL의 인기가 오르고 있는 가운데, ESPN 브라질의 NFL 전문가면서 베어스 팬인 한 브라질 방송인이 베어스의 폭망에 대해 좌절하면서 까는 내용을 방송에 올렸다.#.

7. 개별 문서가 있는 소속 선수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1a5b><tablewidth=320><tablebgcolor=#001a5b>
파일:일리노이 휘장.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FL MLB NBA
파일:시카고 베어스 로고.svg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파일:시카고 불스 로고.svg
시카고 베어스 시카고 컵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시카고 불스
WNBA NHL MLS NWSL
파일:892px-Chicago_Sky_logo.png 파일:시카고 블랙호크스 로고.svg 파일:시카고 파이어 FC 로고.svg 파일:1200px-Chicago_Red_Stars_logo.svg.png
시카고 스카이 시카고 블랙호크스 시카고 파이어 FC 시카고 레드 스타즈
}}}}}}}}} ||


[1] 일리노이 주 메이컨 카운티에 있는 소도시.[2] MLB 시카고 컵스, 1931년부터 1939년까지 시카고 카디널스와 공용[3] 1998년부터 2001년까지, 2003년부터 2005년까지, 2020년부터 MLS 시카고 파이어 FC와 공용[4] 일리노이 대학교 미식축구 팀의 홈구장으로 솔저 필드가 리노베이션할 때 썼다.[5] 초대 구단주인 조지 할라스의 딸이다.[6] 코미디언 크리스 팔리, 마이크 마이어스, 로버트 스미글, 조 만테나 네 사람이 고기를 수북히 쌓아두고 베어스가 뉴욕 자이언츠를 79 대 0으로 발라버릴 거라는 등의 개드립을 치는 것으로 유명했다. 여담이지만 이 쇼에는 아직 어린이였던 코난 오브라이언이나 맥컬리 컬킨이 아역배우로 등장하기도 했다.[7] 그 ‘구단주’는 현재 딴팀으로 갔지만 올시즌도 한숨나오는 실력을 내놓고 있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8] 게다가 이 팀도 쿼터백 사정이 좋았다고는 말 못 한다.[9] 다만 존슨은 명예의 전당 가능성도 있는 선수이다. 1만 야드를 넘긴 것에서 볼 수 있듯이, 그냥 그런 선수는 아니라는 것.[10] 1985년 슈퍼볼 우승 이후로 무려 11번이나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다시 슈퍼볼에 진출했던 것은 이로부터 무려 21년이 지난 후였고 그나마도 패했다.[11] 2023년 현재를 기준으로 슈퍼볼 우승이 없이 지낸지가 어언 38년이 지나간다. 게다가 38년전의 우승도 구단 사상 유일한 슈퍼볼 우승이다(...)[12] 힐러리 클린턴의 남편인 빌 클린턴이 술회한 바에 따르면 "처가 식구들이 유난스럽게 열광하는 것이 있는데 시카고 컵스와 시카고 베어스"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