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1:38:04

시리우스항공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아시아나항공 CI_영문.svg파일:아시아나항공 CI_영문_화이트.svg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파일:제주항공 로고.svg
파일:티웨이항공 로고.svg
파일:진에어 로고.svg
파일:에어부산 CI.svg파일:에어부산 CI 화이트.svg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파일:대한항공 아이콘.svg 에어부산파일:금호아시아나 윙 아이콘.svg
파일:에어프레미아 로고.svg파일:에어프레미아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서울 CI.svg
파일:이스타항공 영문 로고.svg
파일:에어로케이항공 CI.svg파일:에어로케이항공 로고 화이트.svg
에어프레미아 에어서울파일:금호아시아나 윙 아이콘.svg 이스타항공 에어로케이항공
파일:플라이강원 CI_영문_좌우.svg파일:플라이강원 로고 화이트.svg
플라이강원
(운항 중단)
소형 항공사
Regional Carrier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파일:하이에어 로고.svg
파일:섬에어 로고.svg파일:섬에어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인천 영문 로고.svg파일:에어인천 영문 로고 화이트.svg
파일:시리우스항공 CI.png파일:시리우스항공 CI 화이트.png
하이에어
(운항 중단)
섬에어
(운항 준비 중)
에어인천 시리우스항공
(운항 준비 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운항 중단 된 항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에어포항 로고.svg
파일:에어필립 로고.svg
파일:YeongnamairCI.png
파일:코리아익스프레스에어 CI.svg
에어포항 에어필립 영남에어 코리아익스프레스에어
파일:코스타항공 로고.svg
파일:프라임항공 로고.svg
파일:한성항공 로고.svg
파일: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 로고.png
코스타항공 프라임항공 한성항공파일:티웨이항공 아이콘.png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
파일:세기항공로고.png 파일:대한국민항공 로고.svg
세기항공 대한국민항공
}}}}}}}}} ||
}}}}}}}}} ||

시리우스항공
Sirius Airlines
파일:시리우스항공 로고.png
<colbgcolor=#d39c11><colcolor=#544e36,#000> 기업명 시리우스항공 주식회사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2020년 4월 3일 ([age(2020-04-03)]주년)
대표 권도균
보유 항공기 수
0
취항지 수 0(+10)
허브 공항 김해국제공항[1]
포커스 시티 인천국제공항#
부호
<colbgcolor=#d39c11> SIRIUS
-
SIU
항공권 식별 번호
-
슬로건 Miracle Earth with SIRIUS
본사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331, 메리츠타워 12층
대표번호 051-711-0707
링크 파일:시리우스항공 로고.png

1. 개요2. 역사3. 보유 기종4. 운항 예정 노선5. 여담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를 거점으로 하여 2024년 6월에 영업을 시작할 예정인 대한민국항공사로서, 글로벌 화물 전문 항공사이다.

2. 역사

  • 2020년 4월: 회사 설립
  • 2023년 9월 17일: 국내·국제 항공 화물 운송사업 면허 신청
  • 2024년 1월 29일: 국내·국제 항공 화물 운송사업 면허 발급
  • 2024년 5월 26일: 일부 노선 운수권 배분
  • 2024년 초: 안전 운항 증명(AOC) 발급 예정

3. 보유 기종

파일:시리우스항공 로고.png
보유 기종
기종 대수
A330F 0(+3)
B777F 0(+7)
총합 0(+10)

2024년에 A330F 3대와 B777F 1대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후 순차적으로 B777F를 도입하여 2027년까지 총 10대를 보유할 예정이라고 한다.

4. 운항 예정 노선

2024년부터 2027년 사이까지 취항 계획인 노선들과 운수권을 받은 노선들이다.밑의 노선은 이 자료의 기준으로 했다. 이중에서 파란색은 국토교통부한테 운수권을 배분받은 노선들이다. 2024년 5월 26일 배분노선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운항 횟수
국가 도시 공항 국가 도시 공항
부산 김해국제공항 - - -
[[중국|]][[틀:국기|]][[틀:국기|]]
칭다오 칭다오 자오둥
국제공항
5회/주
- - -
[[독일|]][[틀:국기|]][[틀:국기|]]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국제공항
1회/주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
알마티 알마티 국제공항
[[독일|]][[틀:국기|]][[틀:국기|]]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국제공항
4회/주[2]
- - -
[[베트남|]][[틀:국기|]][[틀:국기|]]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 6회/주
- - -
[[일본|]][[틀:국기|]][[틀:국기|]]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미정[미정_나리타]
- - -
[[싱가포르|]][[틀:국기|]][[틀:국기|]]
싱가포르 싱가포르 창이 공항 미정[미정_창이]
미국 앵커리지 앵커리지 테드
스티븐스 국제공항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숨팡고 펠리페 앙헬레스 국제공항[5] 6회/주
서울 인천국제공항 - - -
[[중국|]][[틀:국기|]][[틀:국기|]]
칭다오 칭다오 자오둥
국제공항
2회/주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
알마티 알마티 국제공항
[[독일|]][[틀:국기|]][[틀:국기|]]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국제공항
2회/주
- - -
[[베트남|]][[틀:국기|]][[틀:국기|]]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 1회/주
- - -
[[일본|]][[틀:국기|]][[틀:국기|]]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미정[미정_나리타]

[[미국|]][[틀:국기|]][[틀:국기|]]
앵커리지 앵커리지 테드
스티븐스 국제공항

[[미국|]][[틀:국기|]][[틀:국기|]]
시카고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
3회/주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6회/주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
3회/주
- - -
[[인도|]][[틀:국기|]][[틀:국기|]]
뉴델리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
3회/주
- - -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빈 국제공항 2회/주
부산/인천 여부 미정 미정 미정 미정 태국 미정 미정 5회/주[중간5자유]
- - - 태국 미정 미정 6회/주[이원5자유]
- - - 카타르 도하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 4회/주
- - - 튀르키예 미정 미정 2회/주
- - - 벨기에 미정 미정 3회/주
- - - 폴란드 미정 미정 2회/주

5. 여담

  • FedEx, DHL, UPS와 같은 대규모 화물 항공사와 경쟁 할 수 있는 서비스와 공급력을 충분히 갖출 수 있다고 밝혔다.#



[1] 추후 가덕도신공항으로 변경 또는 취항 예정.[2] 2023년 당시 부산발 알마티 경유 프랑크푸르트행은 2회 계획이었으나 2024년 알마티 3/4/5자유 주 6회를 받았던 것과 인천발 주 2회가 알마티 경유 계획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추가적인 자료가 나오기 전까지 부산발 알마티 경유 프랑크푸르트행은 주 4회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미정_나리타] 2023년 면허 신청 당시 부산발 11회/주, 인천발 2회/주였으나 2024년 배분받은 운수권은 부산발 인천발을 합친 것이 나리타 외 이원5자유 주 3회였다.[미정_창이] 2023년 면허 신청 당시 부산발 주 6회 계획이었으나 2024년 배분받은 운수권은 부산발 인천발을 합친 것이 이원5자유 주 5회, 중간5자유 주 6회로 도합 주 11회였다.[5] 자료에는 멕시코 시티 취항으로 되어있으나, AMLO 정부 정책에 따라 화물 노선들은 펠리페 앙헬레스 공항으로 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멕시코시티 국제공항은 아에로멕시코 카고 같은 여객기에 탑재되는 소화물을 제외한 화물 취급을 금지했기 때문. 이외에도 사정에 따라 FedEx 멕시코 거점이기도 한 옆동네 톨루카로 갈 가능성도 있다.[미정_나리타] 2023년 면허 신청 당시 부산발 11회/주, 인천발 2회/주 계획이었으나 2024년 배분받은 운수권은 부산발 인천발을 합친 것이 나리타 외 이원5자유 주 3회였다.[중간5자유] [이원5자유] 특정 공항을 경유해 타 공항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권리이다. 시리우스항공이 받은 이 운수권은 아시아 내 타국 공항으로 향하는데 태국 공항을 경유해도 좋다는 운수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