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22:14:55

슬라임 랜처 2

파일:슬라임랜처 로고.png
슬라임 랜처 시리즈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파일:슬라임랜처 로고.png
슬라임 자원 시설 업그레이드 지역 실험실
엔딩 }}} 파일:SR2logo.png
슬라임 자원
}}}}}} ||
<colbgcolor=#ec407a><colcolor=#ffffff> 슬라임 랜처 2
Slime Rancher 2
파일:슬라임 랜처 2.jpg
개발 Monomi Park
유통
플랫폼 Xbox One | XBOX|S | Windows
ESD MS Store[1] |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 험블 번들
장르 시뮬레이션, 액션 어드벤처
출시 앞서 해보기
2022년 9월 23일
엔진 유니티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FANDOM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시스템 요구 사항4. 슬라임5. 자원6. 설계도
6.1. 업그레이드6.2. 가젯
7. 세계8. 날씨9. 장난감10. 프론토마트11. 업데이트 내역12. 여담

[clearfix]

1. 개요

Monomi Park(모노미 파크)에서 개발한 슬라임 랜처의 후속작.

2022년 9월 22일 게임 구독 서비스 Xbox Game Pass에 게임이 등록되었다. 콘솔, PC, 클라우드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2. 발매 전 정보

출시 예고 트레일러
2021년 6월 14일, 새 후속작 트레일러가 올라왔다. 2022년에 출시 예정으로, 원래는 6월 1일 출시로 추측하고 있었으나 사람들이 지어낸 거짓이었고 이후 개발자들이 트위터로 2022년 가을에 출시된다고 밝혔다.

개발 중에 개발자들이 트위터로 개발 사진을 올리기도 했다.[2]

그리고 2022년 9월 23일에 앞서 해보기로 출시되었다.

3.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ec407a><colcolor=#fff>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프로세서 Intel Core i5-2500K
AMD FX-6300
Intel Core i5-8400
AMD Ryzen 5 1500X
메모리 8 GB RAM 16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960 2GB
AMD Radeon R9 280 3GB
NVIDIA GeForce RTX 2070
AMD Radeon RX 5700
API DirectX 11
저장 공간 8 GB

==# 트레일러 #==
출시 예고 트레일러
시연 플레이 트레일러
앞서 해보기 출시 트레일러
v0.2.0 업데이트 트레일러
v0.3.0 업데이트 트레일러
v0.4.0 업데이트 트레일러
PS5 출시 예고 트레일러
v0.5.0 업데이트 트레일러[3]가사가 있으며 가젯의 이름을 읊는 이는 VOCALOID인 것으로 보인다.]

4. 슬라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처 2/슬라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자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처 2/자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설계도

진공팩을 업그레이드하거나, 가젯을 제작하는 데에 필요한 것들이다.

업그레이드 설계도는 기본적으로 모두 제공되어 있기에 업그레이드를 하려면 부품만 찾으면 되지만, 가젯 설계도는 통신 센터에서 NPC들을 통해 얻거나, 프론토마트의 북극성 프로비전스에서 구매하거나, 세계 곳곳에 흩어진 트레저 포드를 열어서 얻어야 한다.

슬라임 도감에서 설계도 카테고리는 v0.4.0에 추가된 것이며 그 이전과 전작에서는 업그레이드와 가젯은 슬라임 도감에 목록조차 없었다.

6.1. 업그레이드

6.2. 가젯

7. 세계

목장 지역
  • The Conservatory(온실)
    낮(Day)낮(Relaxed)낮(Serene)
    밤(Night)밤(Late Night)밤(Dreaming)
    기본 목장구역이다. 한 가운데에 큰 나무가 서 있고 주변은 실제 온실처럼 푸른 유리로 둘러싸여 있고, 곳곳에 여러가지 식물들이 자라고 있으며 집과 플로트 마켓이 있다. 목장 토지는 8개이다. 연구 드론은 골짜기로 가는 동굴 위에 있다.
    • The Archway(아치 회랑)
      석재 아치가 있는 무지개 평원과 비슷한 환경의 온실 확장구역이다. 당근과 포고열매가 자연적으로 자란다. 목장 토지는 5개이다. 연구 드론은 마지막 아치 뒤에 있는 섬의 끝에 있다.
    • The Den(축축한 동굴)
      큰 버섯이 자라는 동굴 환경의 온실 확장구역이다. 천장이 높고 나가는 길도 복잡하기에 슬라임들을 방목할 수 있다. 목장 토지는 5개이다. 연구 드론은 버섯 위에 있다.
    • The Gully(골짜기)
      호박색 협곡의 호박색 잔디로 덮인 돌산과 비슷한 환경의 온실 확장구역이다. 여암탉이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다만 전작의 야생 숲처럼 분수마냥 뿜어져 나오는 게 아니라 닭을 얻기에는 비효율적이다. 목장 토지는 5개이다. 연구 드론은 온실로 가는 동굴 근처의 돌산에 있다.
    • The Tidepools(조수 웅덩이)
      해변과 비슷한 환경의 목장 확장구역이다. 슬라임이나 물건을 달 수 있는 그물이 있고 물웅덩이가 두 곳 있어 웅덩이 슬라임을 키울 수 있다. 목장 토지는 5개이다. 연구 드론은 물웅덩이 근처에 있는 바위 위에 있다.
    • The Digsite(발굴 유적지)
      v0.5.0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으며 야자나무가 자라고 거대한 폭포가 있는 구역과 재가 날아다니는 황무지 구역으로 나뉜 온실 확장구역이다. 특이하게 가젯이 많이 배치되어 있고 황무지 구역 외각에는 야생에서나 보이던 간헐천이 있고 항아리가 생성된다. 목장 토지는 4개이다. 연구 드론은 없다.
야생 지역
  • The Rainbow Fields(무지개 평원)
    낮(Day)낮(Relaxed)낮(Serene)
    밤(Night)밤(Late Night)밤(Dreaming)
    색이 계속 바뀌는 풀과 거대한 슬라임 석상이 있는 평원 지형이다.
  • Starlight Strand(별빛 습지)
    낮(Day)낮(Relaxed)낮(Serene)
    밤(Night)밤(Late Night)밤(Dreaming)
    분홍색 구역과 파란색 구역으로 이루어진 습지로 한 가운데에는 그 두가지 색의 커다란 나무가 있다. 가는 방법은 무지개 평원의 목화 고르도를 터뜨리고 생기는 동굴로 들어가서 암초 끝에 가면 스위치가 있는데, 그 스위치를 눌러 고대 포탈을 활성화시키면 된다.
  • Ember Valley(호박색 협곡[4])
    낮(Day)낮(Relaxed)낮(Serene)
    밤(Night)밤(Late Night)밤(Dreaming)
    호박색 잔디로 덮인 돌산지대, 녹색 잔디로 덮이고 나무가 자라는 고산지대, 용암이 있고 재가 날아다니는 화산지대[5]로 나뉘어 있다. 가는 방법은 무지개 평원의 분홍 고르도를 터뜨리면 간헐천이 생기는데 그걸 타고 올라가면 스위치가 있고, 그 스위치를 눌러 포탈을 활성화시키면 된다. 가끔 지진이 일어나서 땅이 흔들리고 돌이 떨어지는데, 아무 피해는 주지 않으니 안심해도 된다.
  • Slime Sea(슬라임 바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맵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다만 전작과는 다르게 전용 OST가 없다. 역시나 빠지면 즉시 기절하게 된다. 슬라임이나 아이템 역시 빠지면 즉시 사라진다.
  • Powderfall Bluffs(소복눈 벼랑)
    낮(Day)낮(Relaxed)낮(Ambient)
    밤(Night)밤(Late Night)밤(Dreaming)
    v0.2.0 업데이트로 추가된 지역이며 눈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는 얼음지대와 븕은색 잎을 가진 침엽수지대, 호박색 협곡처럼 야자수와 식은 용암이 있는 화산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가는 방법은 호박색 협곡에서 수정 고르도가 있는 곳 바로 오른쪽에 폭포가 있는데 안으로 들어가면 동굴이 나오고 계속 들어가면 각각 폭발 플로트, 냥이 플로트, 박쥐 플로트를 박는 석상이 나오고,[6] 플로트를 다 박으면 바닥의 문이 열리는데, 들어가면 고대 포탈이 있다. 기본적으로 눈이 내리고 있다. 다른 지형과는 다른 독특한 특징이 있는데 밤에는 나타났다가 낮에는 깜빡이다가 사라지는 오로라 발판이 존재한다. 이 발판으로 더 안전하고 간편하게 자원을 모으거나 다른 땅으로 이동할 수 있다.
  • Grey Labyrinth[7]
    아직까지는 접근 불가능한 거대한 회색 벽돌로 이루어진 미지의 지역이다. 별빛 습지와 호박색 협곡의 끝에서 볼 수 있는 굳게 잠긴 문이 입구로 추정되고, 별빛 습지의 파닥 고르도 뒤의 균열에서 그 안에 존재하는 듯한 빛이 새어나오고 있다.[8] 소복눈 벼랑의 연구 드론에 의하면 소복눈 벼랑의 오로라 이상 현상과 비슷한 일이 그 안에서 일어나는 듯하다. v0.6.0 업데이트로 정식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8. 날씨

v0.3.0 업데이트로 추가된 전작에서는 보지 못했던 새로운 시스템이다.[9]

날씨는 게임이 처음 실행되고 이틀 뒤에 나타난다.[10]

날씨에는 각각 단계가 정해져 있는데 1단계에서 3단계까지 존재한다.[11][12] 단계가 높아질수록 그 날씨의 효과가 더 돋보이고 3단계에 도달하면 그 날씨의 고유 OST로 바뀌며 이상 현상이 생긴다.

지역의 날씨는 지도에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또한 날씨는 서로 결합하여 나타나기도 한다.[13]

온실은 무지개 평원과 날씨를 공유한다.[14]

날씨와 이상 현상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Rain(비)
    테마
    하늘에서 비가 내린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하늘이 어두워지고, 비가 더 많이 내리며 웅덩이가 더 많이 생긴다. 3단계에 도달하면 작은 폭포가 여러 개 생긴다. 비의 효과는 타르를 없애고, 작물의 성장 속도를 촉진시키며 슬라임들이 스트레스를 덜 받게 한다. 또 웅덩이 슬라임도 웅덩이 없이 살아남을 수 있다. 불 슬라임은 비에 꺼지지 않으니 안심하자.
  • Snow(눈)
    하늘에서 눈이 내린다. 소복눈 벼랑에서만 볼 수 있으며 항상 고정된 날씨이다. 비, 꽃가루와 결합하지 않으며 단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 Thunderstorm(천둥번개)
    구름이 끼고 하늘에서 천둥이 큰 소리와 함께 번쩍인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천둥이 치는 횟수가 증가한다.
    • Lightning Strike(벼락)
      테마
      천둥번개가 3단계일 때 발생한다. 벼락이 칠 자리에 스파크가 튀다가 갑자기 내리친다. 내리치고 나면 검게 잔상이 남는다. 또 그 자리에 일정 확률로 번개 티끌이나 폭풍 유리가 1~4개 생성된다. 플레이어가 벼락에 맞으면 10~30 정도의 피해를 입는 대신에 달리기 한정으로 잠깐동안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게 해준다. 슬라임이 벼락에 맞으면 엄청 멀리 튕겨나가고 자원이 벼락에 맞으면 소멸한다.
  • Wind(바람)
    구름이 평소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식물들이 흔들리며 바람을 표현한 흰 띄가 날아다닌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구름이 더 빠르게 움직이고 식물들이 더 흔들리며 흰 띄가 더 많아진다.
    • Cyclone(돌개바람)
      테마
      바람이 3단계일 때 발생한다. 플레이어가 제트팩을 사용하여 날고 있을 때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지멋대로 움직이므로 조심하자. 지역 곳곳에 돌개바람이 생성되며 주변의 모든 것들을 휩쓸어 가버린다.[15] 이때 돌개바람이 휩쓴 자리에서 가끔 회오리 슬라임이 생성되고 떠다니는 수정도 2~6개 생성된다.
  • Pollen(꽃가루)
    노란 꽃가루가 떠다닌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꽃가루와 노란 안개가 더 커지고 많아진다.
    • Vine Tangle(덩굴)
      테마
      꽃가루가 3단계일 때 발생한다. 곳곳의 벽에 덩굴들이 무성하게 자라난다. 이때 그 주변에서 가끔 덩굴 슬라임이 생성된다.
  • Slimefall(슬라임 비)
    하늘에 분홍색 구름이 생기며 거기에서 분홍색 점액질과 슬라임이 내린다. 가장 희귀하게 나타나는 날씨이며 단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지역마다 내리는 슬라임이 다른데, 공통으로는 분홍 슬라임, 별빛 습지에서는 아구 슬라임, 호박색 협곡에서는 냥이 슬라임, 소복눈 벼랑에서는 목화 슬라임이 내린다. 평소보다 슬라임이 훨씬 더 많이 생성되므로 야생의 슬라임이 온실로 유입되거나 타르가 더 쉽게 발생하는 것에 주의하자.

9. 장난감

v0.5.0 업데이트로 전작에서 복귀한 것들이다.

장난감들은 공통적으로 프론토마트의 쿠쿠 코너에서 랜덤으로 하나씩 나타나며 가격은 500 뉴벅스이다.

장난감들은 슬라임들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데, 각 슬라임마다 좋아하는 장난감의 종류가 다르고 자신이 좋아하는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슬라임은 스트레스가 줄어드는 효과가 더 잘 나타난다.

게임 플랫폼마다 다른 특별한 장난감이 있다.[16]

전작에서는 장난감이 슬라임 도감에서 자원 카테고리에 속했지만 이번에 따로 독립했다.

10. 프론토마트

테마테마(Calm)테마(Chiptune)테마(Fast)테마(Reverse)테마(Secret)테마(Slowed)
ProntoMart. v0.5.0 업데이트로 추가된 상점 시스템이다. 온실 대문 왼쪽에 위치한다.

프론토마트는 Polestar Provisions(북극성 프로비전스)Coo-Coo Corner(쿠쿠 코너)로 나뉜다.
  • Polestar Provisions(북극성 프로비전스)
    가젯의 설계도를 판다. 전작의 실험실에 있는 설계도 상점 시스템을 어느 정도 계승하였다.
  • Coo-Coo Corner(쿠쿠 코너)
    가젯과 장난감을 판다. 12시마다 알림과 함께 판매하는 물건이 바뀐다. 거의 모든 가젯을 파는데다가 가격도 직접 만드는 것보다 싸지만,[17] 하루에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은 한정되어 있다.[18]

참고로 프론토마트 화면에는 웬 고양이가 앉아있는데, 자고 있거나 글리치에 걸리며 놀라기도 한다. 가끔 프론토마트를 시작할 때에 글자를 타고 날아가거나 아예 아이콘이 고양이 머리로 대체되기도 한다. 게임을 켤 때마다 색이 바뀌는 것으로 보인다.[19] 이스터 에그로 고양이가 북극성 프로비전스에서 가장 왼쪽에 위치할 때에 고양이를 클릭하면 고양이 소리를 낸다.

11. 업데이트 내역

12. 여담

2022년 11월 23일 최고의 앞서 해보기 출시로 40주년 기념 에디션 골든 조이스틱 상을 수상하였다.

2023년 11월 17일 15th Unity Awards에서 best 3D Visuals 부분으로 우승하였다.
2024년 2월 2일 기준으로 100만 장 이상이 팔렸다.

출시 초기에는 멀티 플레이가 없는 것에 대해 불평하는 여론이 많았는데, 이미 개발자들이 슬라임 랜처 2를 싱글 플레이 게임으로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멀티 플레이는 계획에 없다고 못을 박았기 때문에 기대하지 말자. 현재는 이런 여론이 크게 줄어든 편이다.

전작에서는 슬라임을 이용해 탑을 쌓고 올라가서 높은 곳에 가거나 슬라임을 타고 날아다니는 등 슬라임을 이용한 테크닉인 일명 Slime Jump(슬라임 점프)를 할 수 있었지만 이번작에서는 이게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난이도가 급상승했다. 아무리 바닥에 쏘려고 해도 슬라임이 옆으로 튕겨져 나간다. 아무래도 고대 포탈을 가동시키는 스위치같은 중요한 물건들이 절벽같은 곳에 위에 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20]

가끔 집 안에 있을 때 베아트릭스 르뷰가 꿀 슬라임의 얼굴이 그려진 컵을 들고 있는 모습이 나오는데, 이 컵은 실제로 굿즈로 판매되고 있는 컵이다.

현재 예정된 업데이트는 2024년 가을에 Grey Labyrinth가 정식으로 등장할 예정이며 앞서 해보기 상태의 업데이트 중에서 가장 큰 업데이트가 될 것이라고 한다.관련 링크

한국 시간으로 2024년 6월 12일에 PlayStation 5로도 출시될 예정이다.[21]관련 링크


[1] 파일:Xbox Play Anywhere 로고.svg[2] 초기 사진에서의 지형과 현재 게임의 지형과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분홍 양자 라르고 슬라임이 사진에 있었는데, 초기에 양자 슬라임을 추가하려다가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3] 기존의 트레일러와는 다르게 프론토마트를 홍보하는 듯한 광고 형식의 트레일러이다. 또한[4] 슬라임 도감에서의 설명은 잿불 협곡이라고도 하는데, Ember는 잉결불이라는 뜻이라 호박색과는 상관이 없기 때문에 잿불 협곡이 맞다.[5] 이 지형에는 용암 강이나 폭포, 웅덩이가 있는데 닿으면 5 피해를 입으므로 주의. 다만 초기에는 10 피해를 입혔었다.[6] 옆쪽에 트레저 포드도 있다.[7] 2022년 11월 22일 공지에서 'Grey Labyrinth'라는 지역 이름이 언급되었다.[8] 파닥 고르도가 터지고 난 뒤 생기는 구멍 속의 연구 드론에 따르면 저 틈새가 작아져 희망이 보인다고 한다. 만약 그 균열이 더 커지기라도 하면 재앙이라도 일어나는 모양.[9] 사실 날씨 시스템은 전작부터 기획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게임 파일을 활성화하면 비를 내리게 할 수 있다. 물론 시각적 효과만 있을 뿐, 아무런 기능도 하지 않는다.[10] v0.3.0 업데이트 이전에 만들었던 파일도 이틀을 더 기다려야 한다.[11] 1단계는 파란색 화살표 1개, 2단계는 노란색 화살표 2개, 3단계는 주황색 화살표 3개로 나타난다.[12] 단, 눈과 슬라임 비에는 단계가 존재하지 않는다.[13] 단, 눈은 비, 꽃가루와 결합이 불가능하다.[14] 다만 비를 제외한 다른 날씨들이 3단계에 도달하면 나타나는 이상 현상, 슬라임 비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벼락과 돌개바람으로 인해 온실이 난장판이 되거나 덩굴과 슬라임 비의 영향으로 슬라임이 온실에 생성되어 타르 발병의 원인이 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인 것으로 추정된다.[15] 전작의 회오리 슬라임이 생성하던 거대 회오리와는 다르게 플레이어도 휩쓸릴 수 있다. 다만 다른 슬라임들이나 자원과는 다르게 금방 나가떨어진다.[16] Steam에서는 Glo Glo Foxifur라는 이름의 여우 인형, Xbox에서는 Glo Glo Froggo라는 이름의 개구리 인형, 에픽게임즈에서는 Glo Glo Drakey라는 이름의 드레이크 인형, PlayStation 5에서는 Glo Glo Penguino라는 인형의 펭귄 인형이 있다.[17] 덤으로 자원도 필요가 없다.[18] 가젯은 종류마다 제한되는 양이 다르지만, 장난감은 항상 1개가 최대이다.[19] 현재까지 확인된 색으로는 분홍색, 검정색, 갈색, 녹색이 있다.[20] 단, 별로 높지 않은 곳은 이 기술을 이용해 올라갈 수 있다.[21] 이에 Nintendo SwitchPlayStation 4에서도 출시해달라는 요구들도 많아졌는데, 개발자 측에서 구세대 콘솔로는 출시할 계획이 없다고 못을 박았던 적이 있었기 때문에 요구를 받아줄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