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1:46:23

순창고등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순창군 CI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동계고등학교 순창고등학교 순창제일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nopad>파일:순창고.jpg
학교 전경
순창고등학교
淳昌高等學校
Sunchang High School
파일:sunchanghs.jpg
교훈 학행일치
개교 1967년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남녀공학
운영형태 사립
이사장 류종선
교장 양동준
교감 류형탁
학교법인 옥천학원
학생 수 319명 (2023년 기준)
교직원 수 39명 (2023년 기준)
면적 32,768㎡
상징 교목: 소나무
교화: 철쭉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옥천로 67-14
홈페이지

1. 개요2. 연혁
2.1. 교가
3. 시설
3.1. 교실3.2. 운동장3.3. 인성학사
4.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에 있는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순창의 읍내에 위치한 유일한 사립 고등학교로 과거에는 남학교였다가 여학생들의 입학을 받음으로서 남녀공학이 되었다. 몇 년 전까지는 일반적인 남녀공학과 다를 것 없이 남녀 분반으로 수업을 들었지만 어떤 이유 때문인지 최근에는 남녀 학생이 한 반에서 같이 수업을 받는다.
순창북중학교 개교 2년 후 순창고등학교가 개교했다.
순창북중학교와 급식실 더 나아가 음악실과 미술실을 같이 쓴다.[1]

2. 연혁

  • 1966년 11월 17일 : 설립인가
  • 1967년 3월 02일 : 개교
  • 1989년 5월 9일 : 류종선 이사장 취임
  • 1991년 10월 12일 : 남녀공학 인가
  • 2021년 2월 7일 : 제 52회 졸업(총 9,228명)
  • 2023년 2월 10일 : 제 54회 졸업(총 9,667명)
  • 2024년 2월 7일 : 제55회 졸업(총 9,766명)
  • 2024년 3월 1일 : 제9대 양동준 교장 취임

2.1. 교가

순창북중학교와 교가가 거의 같고 끝부분의 이름만 달라진다.
파일:school500.jpg

3. 시설

학교 시설은 전체적으로 나름 쾌적한 환경을 유지 하고 있다. 근데 창문이 랜덤박스다. 방탄 유리 마냥 단단해서 밖이 거의 보이지 않는 유리가 설치되어 있는 반도 있다. 심지어 칠판이 레전드 오리지널 4차 산업 혁명에 맞는 스마트 칠판이어서[2] 선생님들이 수업하는데 편하고 학생들도 수업을 듣는 데 편하다.[3] 또한 화장실과 도서실이 새삥 아..아니 신축이어서 학생들이 사용하는데 편하고 좋으며 앞에서 서술한 쾌적한 환경에 한 몫 한다.

3.1. 교실

크게 학생들이 수업받는 본관, 예체능과 과학실, 실과실이 모여있는 별관, 강당 겸 운동장과 급식실, 기숙사 등으로 나눠진다.
3층 <colbgcolor=#f7c4c0,#3e0c07>옥상계단 3학년 3~5반, 진학실[4]
(홈베이스에서 바라 본 기준 왼쪽)
3학년 홈베이스, 청어람실 2학년 4~5반, 3학년 1~2반
(홈베이스에서 바라 본 기준 오른쪽)
2층 도서실, 토론 학습실 1학년1~4반,1학년 홈베이스 진로상담실 , 1학년 5반, 2학년 1~3반,2학년 홈베이스
1층 사회과 교실, 컴퓨터실, 학생부실, 학생회의실 교무실[5] 공용1실 중앙현관 서류실, 이사장실, 방송실, 보건실

본관의 경우 일자로 뻗어있으며 3층까지 이어져있다. 일부 학교에서 실시했던 교과교실제의 영향을 받아 층마다 교과목을 컨셉으로 디자인 된 것을 볼 수 있다. 1층에는 영어교과실과 교무행정실 그리고 컴퓨터실과 기술가정실, 2층에는 수학과 과학교과실 그리고 도서실, 3층에는 국어와 사회(+제2외국어)교과실이 존재한다.[6] 사물함의 경우 홈베이스의 형식으로 사용하는 듯 하며 학생들이 쉴 수 있는 소파 등이 배치되어있다. 이 중 3층에는 전부 3학년을 몰아넣고 중앙에는 진학진로실이 있어 1,2학년 학생들이 올라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7]

2층에는 도서실이 있으며 토론실과 서재가 붙어있는 구조이다. 토론실에서는 국어과에서 행사를 하거나 수업을 할 때 간혹 사용되는 편이다. 서재에는 책들이 꽤나 많은 양이 구비되어있는데 대부분 교과서나 오래 된 책들이 많은 편이다. 보통은 도서부와 책벌레 학생들의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되는 듯 한다.

3층에는 청어람실(열람실)이 있는데 상당히 공간이 잘 짜여져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에는 성적+모의고사 도합의 상위권 학생들 전용으로만 사용되어 일반 학생들은 들어가기 힘든 편이다.[8]

별관에는 본관을 기점으로 바라봤을 때 좌측부터 음악실, 과학실험실, 과학준비실, 미술실, 기술가정실이 나열되어있다.

음악실에는 피아노와 기타, 우쿠렐레 등 여러 악기들이 나열되어있다. 음악선생님에게 점심시간 혹은 방과후에 음악실 열쇠를 빌려 피아노를 치는 학생들이 종종 있다. 또한 모르는 학생들이 많은데 피아노가 있는 교단은 피아노의 곡선 모양을 하고있다.

과학실은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지만 실험실습[9]을 할 때 자주 다녀온다. 또한 과학동아리의 동아리활동을 위한 준비실 또는 결과물 보관실로 쓰이기도 한다.

미술실은 목재와 노란색 페인트를 베이스로 한 인테리어로 꾸며져있다. 예고가 아님에도 수준급의 유화와 한국화들이 많이 걸려있는데 이는 과거에 미술선생님의 지도 하에 미대입시생들을 지도했던 기간이 있어서 그런 듯 하다. 여담으로 미술선생님의 취향때문인지 화초가 상당히 많다.

기술가정실은 본관의 공용실에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사실상 요리실습실로만 사용된다. 화기류를 제외한 조리도구들은 전부 구비가 되어있다. 실습을 자주 안 하기 때문에 실습기간만 되면 대청소가 이루어지는 듯 하다...

3.2. 운동장

운동장은 족구장과 반코트 농구구장, 잔디구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잔디구장은 스프링클러로 자주 물을 주고 잡초도 뽑고 잔디를 깍는 등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버섯이 종종 발견된다는 이야기가 있다.)

3.3. 인성학사

순창고 여자기숙사
파일:순창고 인성학사.jpg

순창의 특성상 면단위지역학생들이 많아 순창군지역임에도 기숙사가 없으면 매일 왕복 10000원이 드는 학생들도 있다. 읍내지역 학생들도 꽤 많이 거주하는 편.
1층에는 101호부터 107호까지 있고 2층에는 201호부터 208호까지 모두 15개의 방이 있다. 107호는 사감방이다. 학생 방이 14개, 각 방당 침대가 4개씩인걸 고려하면 56명까지 받을 수 있다. 각 방당 화장실겸 샤워실이 비치되어있기 때문에 자랑거리로 언급되곤 한다. 하지만 개인사용으로 바뀌어버린 탓에 관리는 거의 안되는 편.(물론 각 방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기숙사 학생들을 위한 자습실이 운영되고 있으며 1층 4자리 2층 8자리가 있다.(사실 2층은 컴퓨터실이나, 2016년 이후로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이다. 사내 자습실의 부족으로 시험기간에는 남자사감이 학교를 24시간 개방해서 운영한다.)

4. 출신 인물

  • 강문경
  • 박구연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차관급)
  • 임해호 - 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졸업, 중고교 수학 참고서 풍산자 저자
  • 진호영 - 공군사관학교 졸업, 공군 준장
  • 황연오 - 프로게이머 생활을 위해 자퇴함.
  • 유영식
  • 윤양하(배우)
  • 이배영(역도) - 2004년 아테네올림픽 역도 은메달리스트

[1] 그래서 음악쌤과 미술쌤은 고딩 중딩 둘 다 가르쳐야 해서 엄청 빡세다 카더라.[2] 슬프게도 3학년은 아직도 프로젝터 빔을 사용해서 수업을 한다.[3] 근데 연륜이 있으신 선생님들은 스마트 칠판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려 좀 힘들었다고 하신다.[4] 3학년 담임 교사들만 모여 있는 3학년 교무실이다[5] --주로 1~2학년 담임교사들이 모여있다.[6] 하지만 2015년 전염병 사태가 터지면서 교과교실제 이동수업이 사라졌기에 지금은 다 그저그런교실이다.[7] 하지만 3학년만 있는 장소다보니 올라오면 관심을 받을 수 있다!!![8] 단, 야간자율학습때는 중위권 학생들도 사용이 가능한데 이는 인재숙이라는 공립 학원의 존재때문에 야간에는 상위권 학생들이 학교에서 사라지기 때문이다.[9] 주로 화학과 생물과목에서 많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