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0:06:57

세르베트 FC

파일:logo-cssl-white.png
참가 클럽 (2023-24)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로고.svg
파일:FC 로잔 스포르 로고.svg
파일:FC 루가노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FC 루체른 로고.svg
파일:FC 바젤 로고.svg
파일:FC 빈터투어 로고.svg
파일:세르베트 FC 로고.svg
파일:FC_Stade_Lausanne-Ouchy.png
파일:BSC 영 보이즈 로고.svg
파일:이베르동 스포르 FC 로고.svg
파일:FC 장크트갈렌 로고.svg
파일:FC 취리히 로고.svg
스위스 챌린지 리그 ▶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독일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체코 국기.svg 포트발로바 리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슈퍼 리그파일:헝가리 국기.svg 넴제티 버이녹샤그 I파일:폴란드 국기.svg 엑스트라클라사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수페르리가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프르바리가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컵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파일:세르베트 FC 로고.svg
세르베트 FC
Servette FC
<colbgcolor=#7f283f><colcolor=#fff> 정식 명칭 Association du Servette Football Club
별칭 Les Grenats (갈색)
창단 1890년 3월 20일 ([age(1890-03-20)]주년)[1]
소속 리그 스위스 슈퍼 리그 (Swiss Super League)
연고지 스위스 제네바(Geneva)
홈구장 스타드 드 주네브 (Stade de Genève)
(30,084명 수용)
회장 디디에 피셔 (Didier Fischer)
감독 알랭 가이거 (Alain Geiger)
역대 한국인 선수 박정빈 (2019~2020)
공식 웹사이트 파일:세르베트 FC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스위스 슈퍼 리그(1부)
(17회)
1906-07, 1917-18, 1921-22, 1924-25, 1925-26, 1929-30, 1932-33, 1933-34, 1939-40, 1945-46,
1949-50, 1960-61, 1961-62, 1978-79, 1984-85, 1993-94, 1998-99
스위스컵
(8회)
1927-28, 1948-49, 1970-71, 1977-78, 1978-79, 1983-84, 2000-01, 2023-24
스위스 리그컵
(3회 / 최다 우승)
1976-77, 1978-79, 1979-80

1. 개요2. 역사
2.1. 2018-19 시즌2.2. 2019-20 시즌2.3. 2020-21 시즌2.4. 2021-22 시즌2.5. 2022-23 시즌2.6. 2023-24 시즌
3. 주요 선수4. 역대 감독5. 둘러 보기

[clearfix]

1. 개요

스위스의 도시 제네바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스위스 내에서 3인자의 위치를 가졌던 구단이자, 초대 유로피언 컵 참가 멤버이기도 하다.

2005-06 시즌에 파산으로 인해 36경기 중 18경기만을 진행한 후 2부리그로 강등된다.

2010-11 시즌에 2부리그에서 2위를 기록하며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이후 벨린초나를 상대로 1차전 0-1 패배, 2차전 3-1 승리로 도합 3-2 승리를 하며 6년만에 1부리그로 복귀에 성공한다.

2011-12 시즌, 6년만의 1부 리그에서 리그 4위를 기록하며 잔류까지 성공했다.

그러나 2012-13시즌에 1부리그 10위[2]를 기록하며 다음 시즌부터 다시 2부리그로 강등당한다.

2013-14 시즌에는 2부리그 5위를 기록한다.

2014-15 시즌에 재정문제로 인해 2부리그에서 2위를 하고도 3부리그로 강제 강등 당한다.

그래도 바로 다음 시즌인 2015-16 시즌, 스위스 승격 리그(3부리그)에서 1위를 기록하며 챌린지 리그(2부리그)로 승격하였다.

이후 2016-17 시즌에는 2부리그 3위, 2017-18 시즌에도 2부리그 3위를 기록한다.

2. 역사

2.1. 2018-19 시즌

-2부리그 1위 _ 1부리그 승격
-스위스 컵 32강 탈락

챌린지 리그에서 36전 24승 7무 5패, 승점 79점으로 아라우보다 승점 15점이 앞선 여유로운 1위를 달성하며 우승. 2012-13 시즌 이후 7년만에 1부리그 승격을 다시 이뤄낸다.

한편 스위스 컵에서는 64강 Meilen전은 6-0으로 대승했으나, 32강에서 1부의 루체른을 만난다. 이후 3-3까지 이어지는 연장 혈투 끝에 승부차기까지 끌고 가나, 승부차기에서 4-5로 아쉽게 패배하며 탈락한다.

2.2. 2019-20 시즌

-리그 4위
-스위스 컵 32강 탈락

7년만에 1부리그로 승격 후 첫 시즌이다.

2019년 11월, 2. 분데스리가덴마크 수페르리가에서 활약했던 한국인 선수 박정빈이 이적하였다. 이후 12월 8일 첫 선발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달성했다.

리그 총 36전 12승 13무 11패, 승점 49점으로 리그 4위를 기록하며 승격팀 치고 제법 좋은 성적을 남긴다.

스위스 컵에서는 64강 6-0 대승 해놓고 32강에서 그라스호퍼스에 0-1 패배를 당하며 탈락한다.

2.3. 2020-21 시즌

-유로파 리그 2차예선 탈락
-리그 3위
-스위스 컵 4강 탈락

전 시즌 리그 4위 자격으로 UEFA 유로파 리그/2020-21 시즌 1차예선에 진출했다.[20-21시즌][4]
UEL 1차예선 상대로 슬로바키아의 MFK 루좀베록을 만났다. 그리고 3-0 대승으로 가볍게 2차예선 진출에 성공했다![코로나]
UEL 2차예선 상대로 프랑스의 스타드 드 랭스를 만나버린다. 나름 선전했으나, 0-1 패배를 당하며 유럽대항전 일정을 마감한다.[코로나]


한편 리그에서는 총 36전 14승 8무 14패, 승점 50점으로 루가노를 승점 1점차로 따돌리며 리그 3위를 기록하며 다음 시즌 새롭게 신설되는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에 나서게 된다.

스위스 컵에서는 16강 Vevey전 4-2 승리, 8강 크리엔스전에서 연장 혈투 끝에 3-2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한다.
4강에서 장트 갈렌에 84분에 결승골을 먹히며 0-1 패배로 일정을 마감한다.

2.4. 2021-22 시즌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2차예선 탈락
-리그 6위
-스위스 컵 16강 탈락

전 시즌 리그 3위 자격으로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2021-22 시즌 2차예선에 진출했다.[21-22시즌]
UECL 2차예선 상대로 노르웨이의 몰데를 만난다. 그리고 1차전에서 0-3 대패를 해버린다! 세르베트는 2차전에서 2-0으로 승리하며 따라가려 노력했으나, 격차를 더이상 좁히지 못했고 결국 도합 2-3으로 패배하며 유럽대항전 일정을 조기에 마감한다.

한편 리그에서는 36전 12승 8무 16패, 승점 44점이라는 매우 아쉬운 기록으로 최종 리그 6위로 마감한다.

스위스 컵에서는 64강에서 6-0 대승, 32강에서 4-1 대승을 거두며 기세좋게 16강에 오르나 16강에서 툰에게 1-4로 대패하며 일정을 마감한다.

2.5. 2022-23 시즌

-리그 2위
-스위스 컵 4강 탈락

전 시즌에 리그 6위를 기록했기에 유럽대항전 진출은 하지 못했다.

1부리그가 10개 팀 체제로 이뤄지는 마지막 시즌이다.
총 36전 14승 16무 6패, 승점 58점을 기록하며 루가노를 승점 1점차로 따돌리고 최종 리그 2위에 성공한다! 동시에 다음 시즌 챔피언스리그 2차예선 진출권까지 따낸다.

한편 스위스 컵에서는 64강 스타드 뇨나이전 4-1 승리, 32강 라쇼드퐁전 2-0 승리, 16강 볼렌전 5-2 대승으로 8강에 오른다.
8강에서 Rotkreuz를 상대로 3-0으로 승리하며 4강 진출에 성공, 22년만에 우승을 기록할 수 있을지 기대를 하고있다.
그러나 4강에서 루가노를 상대로 2-2 연장혈투 끝에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3-5로 패배하며 아쉽게 탈락한다.

2.6. 2023-24 시즌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본선 16강 탈락
-리그 3위
-스위스 컵 결승 진출 (진행중)

전 시즌 리그 준우승 자격으로로 2023-24 UEFA 챔피언스 리그 2차예선에 진출했다.[23-24시즌]

UCL 2차예선 상대는 벨기에의 KRC 헹크. 1차전에서는 1-1로 비겼다. 2차전에서는 2-2로 비겼고 이후 승부차기에서 4-1로 승리하며 3차 예선에 진출했다.
UCL 3차 예선 상대는 스코틀랜드의 레인저스 FC. 1차전에서 1-2로 패배했다. 2차전에서는 1-1로 비겼으나, 도합 2-3으로 패배하며 UEFA 유로파 리그/2023-24 시즌 본선 32강으로 떨어진다.[9]
이후, 4포트에 배정된다.

조 편성에서 G조에 배정되며 세리에의 로마, 체코의 슬라비아 프라하, 몰도바의 셰리프와 한 조가 된다.
세리에 A의 강자 중 하나이자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초대 챔피언인 로마의 독주가 예상된다. 나머지 팀들 중에서는 슬라비아 프라하가 경험이 많기는 하지만 현재 페이스는 예전만 못하고 전력 차이도 차이난다고 보기 힘들다. 따라서 3팀이 한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할 전망이다.

다음은 세르베트의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 G조에서의 경기 기록이다.
1차전은 홈에서 슬라비아 프라하에 0-2로 패배하며 시작한다.
이후 2차전 로마 원정에서 0-4 대패를 기록하며 암울한 스타트를 끊는다.
3차전 셰리프 원정에서 1-1 무승부를 기록. 현실적으로 2위 싸움보다는 3위 싸움에 집중해야 되는 상황이다.

4차전 홈으로 맞이한 셰리프를 2-1로 승리하며 3위 싸움에 유리한 고지를 잡는다.
5차전에서 로마를 상대로 홈에서 1-1 무승부라는 귀한 승점을 얻어내며, 같은 날 패배한 셰리프를 제치고 조 3위를 조기 확정한다.
마지막 6차전에서 슬라비아 프라하 원정에 0-4 대패를 한다.

총 6전 1승 2무 3패, 승점 5점으로 조 3위를 기록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023-24 16강 플레이오프로 떨어진다. 어찌되었건 살아남았잖아?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본선 16강 플레이오프 상대로는 UECL H조 2위이자 불가리아의 명가 루도고레츠를 만난다.
1차전을 0-0 무승부로 만들며 2차전으로 넘어간다.
그렇게 2차전에서 1-0 승리를 하며 도합 1-0 승리, UECL 16강 진출에 성공한다!

UECL 16강 상대는 체코의 FC 빅토리아 플젠을 만난다. 체코와 원수졌나?
그리고 1차전에서 0-0 무승부, 2차전마저 0-0 무승부를 거두며 승부차기 혈전까지 간 끝에 승부차기에서 1-3으로 패배하며 유럽대항전 일정을 마감한다.


한편 리그에서는 정규시즌 33전 16승 9무 8패 승점 57점으로 3위를 기록하며 상위 스플릿에 진출한다.
이후 상위스플릿에서 5전 2승 1무 2패로 승점 7점만을 추가하며 최종 리그 3위를 기록, 다음 시즌에 최소 2024-25 UEFA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을 보장받는다.


스위스 컵에서는 64강 메헝전 8-0 승리, 32강 불레전 4-1 승리, 16강 로잔 오치전 2-1 승리로 파죽지세로 8강에 오른다.
8강 상대로 만난 들레몽을 2-0으로 격파하며 4강에 오른다.
4강 상대로 빈터투어마저 1-0으로 격파하며 결승전에 오른다!!
결승전 상대는 루가노. 6월 2일에 펼쳐지며, 만약 이 경기마저 이기고 우승하면 다음 시즌을 컨퍼런스 리그가 아닌 유로파 리그에서 시작할 수 있다.[24-25시즌] 또한, 23년만에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릴 수 있을지도 모른다.[11]

3. 주요 선수

4. 역대 감독

5. 둘러 보기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파일:SK 라피트 빈(1935-1968) 로고.gif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RSC 안데를레흐트 로고(1933~1981).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오르후스 GF(구) 로고.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스타드 드 랭스 올드 로고 (1931-1991).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뵈뢰시 로보고 로고.svg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49-1956).svg
파일:AC 밀란 로고(1946~1979).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PSV 에인트호번(1953-1960) 로고.pn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그바르디아 바르샤바(구) 로고.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스포르팅 CP(1945-2001) 로고.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1. FC 자르브뤼켄(구) 로고.svg

파일:자르 보호령 국기.svg
파일:히버니언 FC(구) 로고.svg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파일:유르고덴스 IF(구) 로고.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세르베트 FC(구) 로고.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로트바이스 에센 로고.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FK_Partizan_SD.jp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 ||


[1] #[2] 꼴지[20-21시즌] 시작 기준, UEFA 17위인 스위스리그는 리그 1위에게 UCL 2차예선 진출권이, 컵 대회 우승팀에게 UEL 3차예선 진출권이, 리그 2위에게 UEL 2차예선 진출권이, 리그 3위에게 UEL 1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졌다.[4] 스위스 컵 우승팀인 영보이즈가 리그도 우승했기 때문에 리그 2위가 UEL 3차예선에, 리그 3위가 UEL 2차예선에, 리그 4위가 UEL 1차예선에 진출한다.[코로나] 코로나-19로 인해 단판 진행[코로나] 코로나-19로 인해 단판 진행[21-22시즌] 시작 기준, UEFA 17위인 스위스 리그는 리그 1위에게 UCL 2차예선 진출권을, 컵 대회 우승팀에게 UECL 3차예선 진출권을, 리그 2,3위에게 UECL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23-24시즌] 시작 기준, UEFA 14위인 스위스리그는 리그 1위에게 UCL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리그 2위에게 UCL 2차예선 진출권을, 컵대회 우승팀에게 UEL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리그 3,4위에게 UECL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졌다.[9] 챔피언스리그 3차예선 리그루트에서 패배한 팀은 유로파리그 본선 32강에 진출한다.[24-25시즌] 시작 기준, UEFA 13위인 스위스리그는 리그 1위에게 챔피언스리그 PO 진출권을, 리그 2위에게 챔피언스리그 2차예선 진출권을, 컵 대회 우승팀에게 유로파리그 3차예선 진출권을, 리그 3,4위에게 컨퍼런스리그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11] 세르베트의 마지막 우승은 2000-01 시즌의 스위스 컵 우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