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6:09:48

서울 버스 강서05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5bb025><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서울특별시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1 02 03 04
05 05-1 06 07
}}}}}}}}} ||
파일:Photo_1619961572774_1.jpg
파일:강서058105.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서0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강서05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강서구 등촌동(발산역.NC백화점) 종점 서울특별시 강서구 외발산동(강서농수산물도매시장)
종점
첫차 05:30 기점
첫차 05:30
막차 23:20 막차 23:20
평일배차 평시 10분 / 출퇴근 8분 주말배차 11분
운수사명 대운교통 인가대수 19대(예비차 1대)[1][2]
노선 발산역.NC백화점 - 등촌3동성당사거리 - 등촌주공9단지 - 가양역.마포중고등학교 - 강서구청입구 - 강서구민회관 - 롯데1.2차 - 우장산역 - 화곡중.고등학교 - 발산초등학교 - 마곡수명산파크1단지 - 수명중.고등학교 - 수명산파크7단지정문 → 신광명마을 → 서울자동차학원 → 강서면허시험장.메이필드호텔 → 강서농수산물도매시장 → 강서면허시험장. → 수명산파크7단지상가 → 수명산파크7단지정문 → 이후 역순

2. 개요

대운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6.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예전에는 '발산마을버스'에서 외발산동~송화시장간 무번호 마을버스로 운행했었으며 1990년대 중반 무렵 지금의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등촌동 택지개발 조성 이후 '강서교통'에서 운행하였고 이후에 노선번호 '5번'을 부여받았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곤운수와 합쳐지면서 대운교통이 되었고, 지선버스로 전환되면서 6655번이 되었다.
  • 2005년 11월에 신곤운수가 보유했던 금천구 지역 3개 지선노선(5537[3], 5631, 5632번)이 다시 마을버스 금천05번, 금천06번, 금천07번으로 환원되면서 시내버스로서 유지하기 위해서 운수업체가 같은 전환업체인 봉원교통(현 원버스)으로 바뀌었다.
  • 2007년 5월 1일에 마을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가 '강서05번'으로 바뀌었고, 운수업체가 다시 대운교통이 되었다.
  • 강서05-1번 분리신설 당시 업체에서 '강서농수산물시장 - 강서면허시험장' 구간을 단축해 줄 것을 요구했으나, 부결되었다. 관련 공문
  • 2020년 1월 1일부터 첫/막차시간이 조정되었다.

4. 특징

  • 우장산역 대표 혼잡 노선으로 6645번과 함께 강서구 대표 중.고등학교 통학버스로 손꼽히며, 강서구의 진정한 빗자루질 노선이다.[4]
  • 발산역 앞은 가지 않고, NC백화점 강서점 건너편 롯데리아 발산역점에서 출발하고 반대로 하차는 NC백화점 입구 부근 베뉴지웨딩홀이다.[5]
  • 우장산로와 강서로45길을 경유 및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며, 주변 주택가, 아파트단지 수요와 통학 수요[6]가 상당히 많아, 하교시간만 되면 지나가는 모든 버스가 만원이 된다.
  • 발산역과 우장산역 사이를 크게 돌아서 간다. 아침엔 걸어서 일직선으로 가는 것이 더 빠를 정도. 굳이 버스로 가고 싶다면 강서06번, 652번, 6630번, 6657번, 6642번(발산>우장산), 6645번(우장산>발산)을 타는게 훨씬 낫다.[7] 우장산역에서 발산역까지 다른 노선으로는 10분 정도 걸리는 거리를 돌아서 가기 때문에 25분씩이나 걸린다.출퇴근시간에는 최소 30분이상 걸리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걸어가는게 나을 수도 있다.
  • 과거 발산택지지구가 개발되기 전에는 차창 너머로 논밭을 볼 수 있었지만 마곡 수명산파크 아파트단지가 완공되면서 더 이상 시골 풍경을 볼 수 없게 되었다.
  • 우장산로 구간은 정류장 간격이 100m도 안될 정도로 매우 좁다. 그래서 가끔은 발산어린이집에서 간발의 차로 놓친 차를 월드메르디앙까지 뛰어서 타는 사람도 있다.
  • 마곡수명산파크4단지 정류장에서 수명중고등학교 정류장으로 좌회전을 할때 3차로에서 좌회전 차선까지 4개차선을 100m안에 이동해야한다. 사거리의 긴 좌회전 신호와 직진신호를 대기하는 차량을 기다리느라 2분씩 기다리는 일도 생길정도다. 안내방송 시스템을 바꾸기 전에는 버스가 많이 흔들릴 수있다는 안내방송을 했지만 지금은 하지 않는다.
  • 배차 시간이 엉망진창이다. 날마다 정류장 도착 시간이 많이 다르다. 그러니까 어떤 정류장은 어떤 날에는 28분에, 어떤날은 38분에, 어떤날은 31분에 도착한다. 빈번히 버스 두 대가 동시에 정류장에 도착하는 일이 벌어진다.[8] 만약에 정기적으로 이 버스를 타야할 일이 생긴다면, 평소보다 10분은 일찍 나와야 지각하는 불상사를 없앨 수 있다.
  • 강서농수산물도매시장 출발의 경우 수명산파크7단지에서 정해진 시각에 출발해야 하므로 대기할 수도 있다.
  • 신광명마을 구간은 노선내 유일한 이면도로가 있는 구간이다. 도로가 좁은데다가 주차된 차량 때문에 버스 한 대가 겨우 지나갈 정도밖에 안된다.
  • 차량이 전반적으로 노후화되어 승차감이 좋지 않고 소음도 매우 심하다. 과속방지턱이 많은 골목이나 언덕길 구간에서 특히 심각하다.
  • 다른 노선과 공유하는 정류소가 전체 75개중 12개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단독구간이 많다. 또한 왕복 2차로 이하인 구간이 8.8km로 전체 16.7km중 52%에 달한다. 가장 가파른 구간은 발산어린이집~강서구민회관으로 경사도가 약 8%다.
  • 2024년 4월 안내방송 시스템이 양진텔레콤에서 버스티브이로 교체됐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서05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9,263명 -
2014년 18,765명 ▽ 498
2015년 18,688명 ▽ 77
2016년 17,632명 ▽ 1,056
2017년 17,239명 ▽ 393
2018년 17,149명 ▽ 90
2019년 16,387명 ▽ 762
2020년 11,493명 ▽ 4,894
2021년 10,577명 ▽ 916
2022년 11,322명 △ 745
2023년 10,964명 ▽ 358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1] 출퇴근 14대 / 평시 13대 / 토요일 및 공휴일 7대 운행.[2] 예비차는 강서05-1번과 공용.[3] 범일운수 소속 지선버스 5537번과는 다른 노선이었다.[4] 전성기 시절 승하차량이 20,000명에 육박했으며, 현재도 인근의 웬만한 간선버스 노선보다도 이용객이 많다. 하지만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이용객이 계속 감소해 10,000명 정도로 줄었다.[5] 베뉴지 앞 하차장에 '강서05번 종점'으로 표시된 팻말이 있다.[6] 인접한 중.고등학교가 무려 22개다.(송정중, 하늬중, 수명중, 수명고, 덕원중, 덕원예고, 덕원여고, 화곡고, 화곡보건경영고, 화곡중, 명덕외고, 명덕여고, 명덕여중, 명덕고, 경복여고, 경복비즈니스고, 등원중, 마포중, 마포고, 경서중, 등명중)[7] 가격 면에서는 마을버스인 강서06번이 가장 유리하며 시간 면에서는 6~12분에 한 대씩 오는 652번이 가장 유리하다.[8] 4대(!)까지도 동시에 도착한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