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9:40:41

상해 와이탄(메이플스토리)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13e31><tablebgcolor=#c13e31> 파일:메이플스토리 로고_화이트.png||메이플스토리
해외 지역 및 콘텐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color: #fff; min-width:40%; min-height:2em"
서비스 현황
한국 글로벌 중국 일본 대만 SEA
삭제 개편 개편 개편 삭제 개편
중국 상해 와이탄
마크 파일:ShangHai.png
소속 월드 기타(세계여행)
소속 대륙 동방신주
BGM
중국 상해와이탄[1] Go Shanghai
중국 상해외곽[2] Shanghai Field
표기
KMS 중국 : 상해와이탄
GMS 미구현
MSEA China : Shanghai Wai-Tan
JMS 中国 : 上海ワイタン
CMS 东方神州 : 上海外滩
TMS 東方神州 : 上海灘
VMS(Vietnam) Trung Quốc : Bến Thượng Hải
1. 개요2. 역사 및 이동 방법3. 특징4. NPC5. 몬스터6. 스토리 및 퀘스트
6.1. 메인 퀘스트: 대왕지네 퇴치
6.1.1. (Lv.45) 난폭해진 가축6.1.2. (Lv.45) 양씨 아저씨의 소개6.1.3. (Lv.45) 자격의 증명6.1.4. (Lv.45) 비밀임무 / 정경찰의 부탁
6.2. 서브 퀘스트
6.2.1. 한국판 공용 퀘스트
6.2.1.1. (Lv.10) 노점상 주인 여씨와 물물교환6.2.1.2. (Lv.30) 사진기사 조씨의 부탁6.2.1.3. (Lv.30) 양씨 아저씨의 농사일 돕기
6.2.2. 중국판 전용 퀘스트
6.2.2.1. (Lv.18) 밍밍부인의 삼계탕6.2.2.2. (Lv.18) 이불에 실수를 했어요6.2.2.3. (Lv.18) 폰라의 사진
7. 지역 일람
7.1. 상해와이탄
7.1.1. 상해 임시 비행장 / 상해 도시 광장
7.2. 상해 외곽
7.2.1. 상해 교외7.2.2. 상해 북부평원7.2.3. 상해 북부동산7.2.4. 서주갈림길7.2.5. 서주평원17.2.6. 서주평원27.2.7. 서주평원37.2.8. 중원 산악지대17.2.9. 중원 산악지대27.2.10. 검은양의 영토7.2.11. 통로7.2.12. 위험한 언덕7.2.13. 무서운 언덕

[clearfix]

1. 개요

2006년 4월 17일(V0.41) 중국 메이플스토리에 추가된 중국 오리지널 콘텐츠로 상하이시 와이탄 지역을 무대로 한다.

2. 역사 및 이동 방법

지역 업데이트 일자 마을 및 필드 구조 개편 삭제 일자 리메이크(테마던전 예원)
중국 2006년 4월 17일(V0.41) 2007년 10월 22일(V0.56) 2012년 4월 18일(V1.01) 2015년 11월 4일(V1.29)
한국 2006년 9월 27일(V1.2.32) 미개편 2009년 1월 22일(V1.2.68) 미도입
대만 2006년 9월 28일(V0.38) ?2007년 10월 17일
(?V0.60)
2018년 4월 11일(V2.06) 미도입
일본 2006년 12월 21일(V1.19) 일자 불명 삭제하지 않음 2019년 10월 30일(V3.82)
동남아 2007년 1월 24일(V0.37) 미개편 2011년 7월 6일(V1.06) 2016년 2월 3일(V1.56)
글로벌 미도입 2016년 3월 10일(V1.71)
중국 서버에서 2006년 4월 17일(V0.41) 최초로 업데이트되었다. 당시에는 '중국 대륙'과 페리온이 조종사 홍씨[3]를 통해서 연결돼 있었는데, 대만 서문정(커닝시티와 연결), 태국 플로팅 마켓(리스항구와 연결)처럼 빅토리아 아일랜드와 접합하려고 했던 것 같다. 나중에 한국 서버에서 '스피넬의 세계여행' 설정을 통해 스핀오프로 전환시키면서 이 설정은 모두 폐기되었다.[4] 한국 서버에서는 2006년 9월 27일 추가되었는데, 중국 초기판과 거의 다르지 않았지만 퀘스트의 조건과 보상, 내용을 상당 부분 수정했다. 차후에 중국 서버에서도 한국 버전을 역수입하면서 중국판과 한국판의 퀘스트는 동일해진다.
<rowcolor=#fff,#2d2f34> 페리온과 상해의 NPC 조종사 홍씨(대만 서버) 2006년 4월 중국 정보 사이트에 올라온 자료(부분)
파일:TMS 페리온 상해.gif
파일:2006지도-부분2.png
한국 서버에서는 이후 수정이 단 한 번도 없었지만, 해외판에서는 줄기차게 크고 작은 수정이 이루어졌다. 가장 큰 변화는 '예원'의 추가와 '마을 및 필드 구조의 개편'이었다. 먼저, 중국판을 기준으로 2006년 8월 21일 상해 임시 비행장 오른쪽에 '예원' 마을이 추가되었다. 예원에는 처음에 아무 기능도 없었다가 그해 10월 30일(V0.47) 중국판 PvP가 추가된다. 이는 유저간 경쟁 콘텐츠였는데, 무려 과금을 해야 미니게임을 할 수 있었던 데다가 보상도 크게 좋은 편은 아니었기에 빛을 보지 못하고 단시간에 인기가 추락해서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 한편 업데이트 1년 반이 지난 2007년 10월, 마을과 필드 구조가 한 차례 전면 개편되었다. 마을은 2단 구조가 되고 근대 서양식 건물이 추가되었고(하단의 '상해 와이탄' 문단 참조) 중국판 전용 퀘스트 3개가 추가되었다. 또한, 열기구에는 히든 포탈이 추가돼서 중간 필드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상해 와이탄은 한국 서비스에서는 2009년 1월 22일 다른 지역과 함께 삭제되었고, 시점만 다를 뿐 일본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도 완전히 삭제되었다. 그런데 2015년 11월 4일 중국 서버에서 '테마던전 예원'으로 이 지역을 리메이크해서 출시한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대만에서는 2018년 4월 11일부로 서문정버섯신사 맵을 제외하고[5] 세계여행 콘텐츠를 삭제하였기 때문에 예원 맵이 업데이트되지 않았다.

3. 특징

배경에 미려한 도트 그래픽으로 그려진 동방명주를 필두로 한 상해 시가지의 전경이 압권인 지역이다. 배경에는 황푸 강이 도도하게 흐르고 있고 강을 따라 황룡 유람선이 유유자적 떠 다니고 있다. 동방명주 탑 근처의 빌딩들은 실제 해당 지역의 건물들을 따라 그린 것이지만, 일부 상상의 빌딩들도 포함되어 있다. 아래는 그 중에서 명칭이 파악된 일부 빌딩인데, 그밖에도 다수의 건물이 실제 건물임이 확인된다. 한편 플레이어가 서 있는 공간이 실제 상하이시의 어느 위치인지까지는 아직 연구되지 않은 상태이다. 여기까지 밝혀진다면 배경뿐 아니라 맵 속의 건물들이 실제 있었는지의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해 마천루 전경과 이름이 파악된 빌딩들
파일:상해와이탄_배경1판.png
파일:상하이.png
{{{#!wiki style="margin:-16px -11px" 상해 황푸 강의 용선 유람선
파일:상해 용선 2007.jpg
파일:용선2.png
}}}
상해 와이탄의 좌측은 시골 농촌과 바로 이어졌다. 상해 와이탄 지역을 해설할 때 장점이자 단점으로 거론되는 특징이다. 메이플스토리에서 거의 유일하게 논밭이 시원하게 펼쳐진 시골 농촌 풍경을 묘사하고 있으며[6] 몬스터들도 , , , 염소 등 농촌에서 흔히 보이는 가축들이다. 정겨운 고향의 향수를 불러일으켜서 명절 귀향 등으로 농촌을 조금이라도 경험한 1980~1990년대생들의[7] 그리움을 불러일으켰을 것이다. '서주평원', '중원 산악지대' 등의 지명을 통해서는 상해(상하이)에서 서주(쉬저우)를 거쳐서 중원 평야로 이어지는 수천 킬로미터의 공간을 압축적으로 묘사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농촌이 사실감 있게 묘사되면서 스토리적으로는 동아시아의 지네 설화를 자연스럽게 풀어낼 수 있게 됐다. 독을 품은 지네는 민간 설화에서 흔히 저주와 불행, 위험 등을 상징하는데, 영험한 '구슬(보주)'을 훔쳐 간 지네 탓에 가축들이 날뛰게 되었다는 스토리가 완성된 것이다.[8] 배경이 도시였다면 이런 스토리가 나오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장점도 있었지만 문제점도 있었다. 마을에서는 2000년대 초반 중국의 도시발전을 보여주기 위해 경제성장을 상징하는 동방명주탑을 메인으로 잡은 것 같은데, 필드는 낙후된 중국 농촌을 보여 줘서 괴리감이 컸다.[9] 물론 시골 풍경 묘사가 나쁜 것이 아니지만, 마을을 제외하면 도시 비중이 지나치게 적게 묘사돼 있어서 유저들의 아쉬움이 있었다. 자세한 것은 하단의 '상해 와이탄' 문단 참고. 그래서 2015년 11월 테마던전 예원으로 리메이크될 때에는 예원의 야경과 와이탄의 근대적 풍경을 세밀하게 묘사하면서도, 소림사로 이어지는 필드에서 정겨운 시골 풍경을 드러내는 것으로 기획상 전환이 생기면서 도시:농촌의 묘사가 비로소 균형을 이루게 된다.

4. NPC

이미지 NPC 설명
파일:external/www.insoya.com/201705_NPC_9310001.png 이씨 아줌마
(무기상인)
파일:external/www.insoya.com/201705_NPC_9310002.png 장사장
(방어구상인)
파일:노점상 주인 여씨.png 노점상 주인 여씨 상하이의 노점상. 일정 퀘스트를 깨고나면 과일사탕꼬치나 옥수수 같은 걸 주곤 했다.
파일:사진기사 조씨.png 사진기자 조씨
파일:external/www.insoya.com/201705_NPC_9310013.png 조종사 양씨
파일:양씨 아저씨.png 양씨 아저씨
파일:진씨 아가씨.png 진씨 아가씨
(잡화상인)
파일:조씨 아가씨.png 조씨 아가씨
파일:경찰처장 주씨.png 경찰처장 주씨
파일:임경찰.png 임경찰 이하 경찰 NPC들은 전원 대왕지네 퀘스트 관련 NPC들로 퀘스트 전용 맵들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파일:정경찰.png 정경찰
파일:허경찰.png 허경찰
파일:강경찰.png 강경찰

5. 몬스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이플스토리/일반 몬스터/세계여행 문서
번 문단을
중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스토리 및 퀘스트

===# 퀘스트 목록표 #===
<rowcolor=#FFFFFF> 퀘스트 코드 중국판 제목 한국판 제목 중국판 한정 퀘스트 한국어 번역
중국 버전 한국 버전
4100 4100 变得暴躁的家畜 난폭해진 가축 한국판 제목 참고
4101 4101 杨叔叔的介绍 양씨 아저씨의 소개
4102 4102 资格证明 자격의 증명
4103 4103 秘密任务 비밀임무
4104 4104 摄影师赵先生的请求。 사진기사 조씨의 부탁
4105 4105 帮杨先生做农活 양씨 아저씨의 농사일 돕기
4106 4106 丢失的照相机用三脚架 잃어버린 사진기용 삼각대
4107 4107 和街头小贩吕氏进行物物交换 1 노점상 주인 여씨와 물물교환 1
4108 4108 和街头小贩吕氏进行物物交换2 노점상 주인 여씨와 물물교환 2
4109 4109 郑警官的请求。 정경찰의 부탁
8510 결번 农民的拜托
(牲口的造反)
결번 농민의 부탁
(가축들의 반란)
8511 资格证明
(牲口的造反)
자격의 증명
(가축들의 반란)
8512 寻找赤珠
(牲口的造反)
붉은 구슬 찾기
(가축들의 반란)
8513 摄影师的拜托 사진기사의 부탁
8514 姐姐的愤怒 누나의 분노
8515 食品交换 식품 교환
8516~8527 굴원 퀘스트[비상해]
8528~8529 결번
8530~8541 소림사 퀘스트[비상해]
8542 국경절 퀘스트[비상해]
8543 芬拉的照片
(芬拉的照片)
결번 폰라의 사진
(폰라의 사진)
8544 找回底片
(芬拉的照片)
필름 회수하기
(폰라의 사진)
8545 明明女士的参鸡汤
(明明女士的参鸡汤)
밍밍부인의 삼계탕
(밍밍부인의 삼계탕)
8546 参鸡汤的材料
(明明女士的参鸡汤)
삼계탕의 재료
(밍밍부인의 삼계탕)
8547 参鸡汤做好了
(明明女士的参鸡汤)
삼계탕의 완성
(밍밍부인의 삼계탕)
8548 新羊毛毯子
(尿床了)
새 양털 이불
(이불에 실수를 했어요)
8549 收集羊毛
(尿床了)
양털 수집
(이불에 실수를 했어요)
8550 羊毛毯子做好了
(尿床了)
양털 이불 완성
(이불에 실수를 했어요)

6.1. 메인 퀘스트: 대왕지네 퇴치

6.1.1. (Lv.45) 난폭해진 가축

파일:양씨 아저씨.png
난폭해진 가축
시작 레벨 45
시작 NPC 양씨 아저씨 (중국: 서주 갈림길)
조건 파일:item_상해와이탄_양털.png 양털 100개, 파일:item_상해와이탄_흰뿔.png 흰 뿔 100개 수집
보상 경험치 4,600
2006년 4월 17일(CMS V0.41) 퀘스트 코드 넘버 '8510'(农民的拜托, 농민의 부탁)으로 추가되었다가 이후 한국 버전 '4100'(变得暴躁的家畜, 난폭해진 가축)으로 교체된 퀘스트이다.[13] 초기 중국판에서는 수 개월 전 대왕지네가 서주의 보물을 훔쳐가면서, 인근 마을의 가축들이 모두 괴물로 변해 버린 사건을 다루고 있다. 양씨 아저씨는 상해 경찰이 이 사건을 다루고 있다며 소개장을 써 주고 싶어하지만, 자칫 모험가가 지네에 살해당할까봐 걱정한다. 그래서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염소와 흑염소를 처치하고 파일:item_상해와이탄_흰뿔.png 흰 뿔 100개와 파일:item_상해와이탄_검은 뿔.png 검은 뿔 60개를 모아와 보라고 말한다. 모두 모아가면 상해 경찰처장에게 보내는 소개장을 1장 써 준다. 한국판의 얼개는 비슷하지만, 양씨 아저씨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아무 것도 모른다는 차이가 있다. 또, 요구 조건도 파일:item_상해와이탄_양털.png 양털 100개, 파일:item_상해와이탄_흰뿔.png 흰 뿔 100개로 변경되었다.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임무가 있다며 상해 경찰에게 소개장을 써 주는 부분은 동일하다.
전라도 방언을 쓰는 양씨 아저씨(왼쪽)가 소개서를 써 주는 모습 (좌: KMS, 2006.10. / 우: CMST, 2006.4.)
파일:워메이게뭐당가.jpg
파일:shanghai_yang.jpg

6.1.2. (Lv.45) 양씨 아저씨의 소개

파일:양씨 아저씨.png 파일:경찰처장 주씨.png
양씨 아저씨의 소개
시작 레벨 45
시작 NPC 양씨 아저씨 (중국: 서주 갈림길)
조건 양씨 아저씨에게 파일:농부의 소개서.png 농부의 소개서를 받아서 상해 와이탄의 경찰처장 주씨에게 전달
보상 경험치 500
중국판 초기본이 한국판으로 교체되면서 새로 추가된 퀘스트. 초기에는 '농민의 부탁'(이후 '난폭해진 가축'으로 변경)에서 파일:농부의 소개서.png 농부의 소개서를 바로 지급했지만, 개편 후에 소개장을 주는 퀘스트가 따로 추가된 것이다. 내용은 양씨 아저씨에게 소개서를 받아서 상해 와이탄의 경찰처장 주씨에게 보여 주는 내용이 끝이다.

6.1.3. (Lv.45) 자격의 증명

파일:경찰처장 주씨.png
자격의 증명
시작 레벨 45
시작 NPC 경찰처장 주씨 (중국: 상해 와이탄)
조건 파일:item_상해와이탄_코뚜레.png 코뚜레 100개, 파일:item_상해와이탄_검은 뿔.png 검은 뿔 100개 수집
보상 경험치 7,000
퀘스트 코드 넘버 '8511'(资格证明, 자격의 증명)로 추가되었다가 이후 한국 버전 '4102'(资格证明, 자격의 증명)으로 교체되었다. 중국 초기판에서는, 양씨의 추천을 받아서 상해 경찰처장 주씨에게 가면 추가적인 자격 증명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래서 상해에서 가장 센 소 몬스터들을 처치하고 쟁기 100개, 코뚜레 100개를 수집해 달라고 한다. 한국판에서는 쟁기 대신에 흑염소를 잡고 파일:item_상해와이탄_검은 뿔.png 검은 뿔을 100개 구해 달라는 것으로 바뀌었다.
상해 와이탄의 경찰처장 주씨 (좌: KMS, 2006.10. / 우: CMST, 2006.4.)
파일:이순신배인가.jpg
파일:shanghai1.jpg
서주평원의 염소와 소들을 잡는 모습 (좌: KMS, 2007.8. / 우: KMS, 2007.3.)
파일:20070811 염소치기.jpg
파일:똑바로해소들.jpg

6.1.4. (Lv.45) 비밀임무 / 정경찰의 부탁

파일:경찰처장 주씨.png 파일:임경찰.png 파일:정경찰.png
비밀임무 / 정경찰의 부탁
시작 레벨 45
시작 NPC 경찰처장 주씨 (중국: 상해 와이탄)
조건 <colbgcolor=#353535> 1 경찰처장 주씨에게 파일:자격증명서.png 자격증명서를 받아서 중원 산악지대2의 임경찰과 대화 후 '중국: 검은양의 영토'로 이동
2 정경찰에게 파일:item_상해와이탄_검은 털.png 검은 털 50개 전달
3 통로를 통과한 후 대왕지네를 처치하고 획득한 파일:지네의 붉은 구슬.png 지네의 붉은 구슬을 상해 와이탄의 경찰처장 주씨에게 전달
보상 1 없음
2 경험치 3,500
3 경험치 17,500, 파일:메이플 60% 주문서.png 투구 방어력 주문서 60% / 투구 체력 주문서 60% / 귀 장식 지력 주문서 60% / 상의 방어력 주문서 60% / 전신 갑옷 민첩 주문서 60% / 전신 갑옷 방어력 주문서 60% / 하의 방어력 주문서 60% / 신발 회피 주문서 60% / 신발 점프력 주문서 60% / 장갑 민첩 주문서 60% / 망토 물리방어력 주문서 60% / 망토 마법방어력 주문서 60% / 방패 방어력 주문서 60% (확률 6.17%), 파일:메이플 60% 주문서.png 장갑 공격력 주문서 60% (확률 2.47%), 파일:item_표창_뇌전 수리검.png 뇌전 수리검 (확률 3.70%), 파일:블루 문.png 블루 문 (확률 3.70%), 파일:빨간색 모험가의 망토.png 빨간색 모험가의 망토 (확률 3.70%) 중 랜덤 1종 1개
뇌전 수리검과 장갑 공격력 주문서를 주는 퀘스트로 유명했다. 이 퀘스트는 퀘스트 코드 넘버 '8512'(寻找赤珠, 붉은 구슬 찾기)로 추가되었다가 이후 한국 버전 '4103'(秘密任务, 비밀임무)로 교체되었다. '정경찰의 부탁'은 원래 클라이언트에 없는 스크립트 형식의 퀘스트였지만 개편되면서 정식 퀘스트로 추가된 것이다.

경찰처장 주씨는 상해 와이탄에 천 년 묵은 대왕지네가 나타나 가축들을 제멋대로 난폭하게 바꿔서 마을을 어지럽히고 있다는 극비사항을 알려 준다. 상해 경찰은 지네를 격리하는 데까지는 성공했지만, 힘의 원천인 파일:지네의 붉은 구슬.png 붉은 구슬을 회수하는 것에는 실패했다. 그래서 격리 장소로 가서 이 구슬을 회수해 달라고 부탁한다.
중원 산악지대2의 임경찰 (좌: KMS, 2006.10. / 우: CMST, 2006.4.)
파일:나더러아저씨라고.jpg
파일:shanghai3.jpg
경찰처장 주씨가 발급한 파일:자격증명서.png 자격증명서를 가지고 중원 산악지대2의 임경찰에게 가면 '검은 양의 영토'로 들여보내 준다.
검은양의 영토의 정경찰 (좌: KMS, 2007.8. / 우: CMST, 2006.4.)
파일:검은양의안광.jpg
파일:shanghai4.jpg
그곳에는 정경찰이 서 있는데, 힘겨운 보초 업무를 도와서 난폭한 검은 양들을 처치하고 파일:item_상해와이탄_검은 털.png 검은 털 50개만 모아 달라고 한다. 다음 맵인 통로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이 퀘스트를 꼭 마쳐야 했는데, 미완료 상태로 가려고 하면 아무리 비밀임무를 수행중인 분이라도 공무수행을 돕지 않으면 들여보내 드릴 수 없다고 정경찰이 막았다. 중국 초기판에서는 클리어할 때 정경찰이 사실 당신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자백하기도 한다. 한편, 비밀임무를 완료한 후에는 대왕지네를 물리치러 오셨냐면서 이 안은 복잡하니 길을 잃지 마시라는 말만 하고 상시 이동시켜 준다.
<rowcolor=#fff,#2d2f34> 통로 하단 구간에는 무적의 '슈퍼 검은양'이 있었다. 메소 익스프로전을 써서 무적을 파훼한 장면 (KMS, 2007.8.) 중국 테스트 서버 당시의 통로 (CMST, 2006.4.)
파일:슈퍼양_20070831.jpg
파일:shanghai5.jpg
이것이 끝이 아닌데, 다음으로는 10분 제한[14]의 기나긴 '통로'라는 미로 맵을 통과해야 했다. 미로의 원리가 딱히 존재하지 않아서(...) 순수 암기로 헤쳐나가는 수밖에 없었다. 통로 끝의 허경찰과 대화하면 드디어 대왕지네와 만날 수 있었다.
상해 통로 공략
파일:상해통로.png
상해의 보스 몬스터, 대왕지네 (좌: KMS, 2007.8. / 우: CMST, 2006.4.)
파일:죽어도아이스크림.jpg
파일:shanghai9.jpg
대왕지네를 처치하면 일정 확률로 일반 전리품인 파일:지네의 붉은 구슬.png 지네의 붉은 구슬을 떨어뜨렸는데 이것을 경찰처장 주씨에게 들고 가면 클리어. 놀랍게도 랜덤 보상 중 고가품인 파일:item_표창_뇌전 수리검.png 뇌전 수리검, 파일:메이플 60% 주문서.png 장갑 공격력 주문서 60%(일명 '장공')가 껴 있었던 데다가 확률이 각각 3.70%, 2.47%로 낮지 않아서 운이 좋다면 한 번에 수백 만 메소를 벌어들일 수도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15] 그래서 세계여행 퀘스트 중에서도 특히 인기가 높았다. 스토리 측면에서는 중국 초기판에서는 서주의 보주를 되찾은 것으로 처리된 반면에, 한국판에서는 지네의 힘의 원천을 회수하여 상해를 구원한 것으로 처리되었다.
퀘스트를 깨고 운이 좋게 뇌전 수리검을 획득한 유저 (2007년 1월 촬영)
파일:상해뇌전득.jpg

6.2. 서브 퀘스트

6.2.1. 한국판 공용 퀘스트

6.2.1.1. (Lv.10) 노점상 주인 여씨와 물물교환
파일:노점상 주인 여씨.png
노점상 주인 여씨와 물물교환
시작 레벨 10
시작 NPC 노점상 주인 여씨 (중국: 상해 와이탄)
조건 √ 물물교환1: 파일:item_상해와이탄_닭발.png 닭발 100개 수집
√ 물물교환2: 파일:item_상해와이탄_오리알.png 오리알 100개 수집
보상 √ 물물교환1: 파일:과일사탕꼬치.png 과일사탕꼬치 5개[16]
√ 물물교환2: 파일:옥수수.png 옥수수 10개[17]
비고 반복 수행 가능, 1과 2를 동시에 수행 가능
2006년 4월 17일(CMS V0.41) 퀘스트 코드 넘버 '8515'(食品交换, 식품 교환)으로 추가되었다가 이후 한국 버전 '4107'과 '4108'(和街头小贩吕氏进行物物交换, 노점상 주인 여씨와 물물교환 1~2)로 교체된 퀘스트이다. 중국 초기판에서는 노점상 주인 여씨가 길거리 음식(小吃)을 팔고 있었는데 파리만 날리고 있어서 닭발, 오리알을 활용한 신메뉴를 만든다는 내용이었다. 반면에 한국판에서는 닭발볶음과 오리알 오믈렛 장사가 너무 잘 돼서 부족한 식재료를 구해 달라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문제는 한국판의 보상이 많이 안 좋았다는 것이다. 닭발이나 오리알을 100개씩이나 요구하는데 정작 보상은 평범한 HP/MP 포션 5개, 10개밖에 안 됐다. 중국 초기판에서는 닭발과 오리알을 각각 50개씩만 요구했고, 보상도 경험치 500과 파일:과일사탕꼬치.png 과일사탕꼬치 30개, 파일:옥수수.png 옥수수 30개로 적절한 편이었다.
상해 교외에서 닭발과 오리알을 구하는 유저들, 오픈 초기에는 경쟁이 과열돼서 닭발을 사고 팔기도 했다. (KMS, 2006.11.)[18]
파일:상해오픈닭발.jpg
여담으로 여기에서 나오는 '과일사탕꼬치'가 2020년대 초반 한국에서 유행한 중국 간식 탕후루이다.[19] 게임 속 과일사탕꼬치는 산사나무 열매를 꼬치에 꿰어서 설탕을 발라 굳힌 형태를 하고 있다.
6.2.1.2. (Lv.30) 사진기사 조씨의 부탁
파일:사진기사 조씨.png
사진기사 조씨의 부탁
시작 레벨 10
시작 NPC 사진기사 조씨 (중국: 상해 와이탄)
조건 서주 갈림길의 '양씨 아저씨'를 찾아가서 퀘스트 '양씨 아저씨의 농사일 돕기'를 수행하고 파일:사진기용 삼각대.png 사진기용 삼각대를 받아서 사진기사 조씨에게 전달
보상 경험치 1,800
퀘스트 코드 넘버 '8513'(摄影师的拜托, 사진기사의 부탁)으로 추가되었다가 이후 한국 버전 '4104'(摄影师赵先生的请求, 사진기사 조씨의 부탁)로 교체되었다. 중국 초기판에서는 조씨가 수 개월 전 서주 시골바닥에서 상해로 상경할 때, 깜빡하고 삼각대를 고향 땅에 놓고 왔으니 제발 도와 달라는 내용이었다. 꿈을 가지고 대도시로 이촌향도하여 촬영업으로 생활하는 청년의 모습이 잘 드러난 퀘스트이다. 반면에 한국판에서는 인기 사진기사 조씨가 야외촬영을 갔다가 서주에 놓고 온 삼각대를 회수해 달라는 내용으로 교체되었다. 설정상 모험가는 증명사진을 급하게 찍으러 와서 아쉬울 것이 많은 사람으로, 겸사겸사 양씨 아저씨의 일까지 도와주게 된다.
2006년 4월 중국 테스트서버 당시 '사진기사 조씨의 부탁'. 한국판과 차이가 가장 많은 퀘스트이다.
파일:zhao1.jpg
파일:zhao2.jpg
중국 초기판에서는 서주로 복귀해서 '조씨 아가씨'를, 한국판에서는 '양씨 아저씨'를 만나서 후속 퀘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보상도 달랐는데, 중국판에서는 집에서 물려받은 것이라면서 파일:가공된 나무.png 가공된 나무와 파일:메이플 나사.png 나사를 50개씩 준다. 다만 상식적으로 나사와 가공된 나무를 물려받을 리가 없는 데다가, 삼각대도 못 챙긴 마당에 나사와 가공된 나무를 챙겨왔을 리가 만무한 만큼, 원래 다른 아이템을 지급하려 했던 것 같다. 한국판에서는 경험치만 주고 끝나 버렸다.
6.2.1.3. (Lv.30) 양씨 아저씨의 농사일 돕기
파일:양씨 아저씨.png
양씨 아저씨의 농사일 돕기
시작 레벨 30
시작 NPC 양씨 아저씨(중국: 서주 갈림길)
조건 파일:item_상해와이탄_쟁기.png 쟁기 100개 수집
보상 경험치 6,500, 파일:사진기용 삼각대.png 사진기용 삼각대 1개
비고 '(Lv.30) 사진기사 조씨의 부탁'을 수락한 상태에서만 수행 가능
삼각대를 회수하기 위한 퀘스트. 중국 초기판에서는 '조씨 아가씨'가 이 역할을 수행했다. 한국판에서 '조씨 아가씨'가 아무 기능도 없는 병풍 NPC가 된 가장 큰 이유. 중국 초기판에서는 조씨 아가씨의 입을 통해서, 사진기사 조씨가 서주 고향집의 유일한 사진기를 훔쳐서 아무 상의도 없이 상해로 상경해 버렸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누나인 조씨 아가씨는 이 사건으로 분이 안 풀려 있었는데 그 차에 모험가가 온 것. 더군다나 최근에 양들까지 모두 몬스터로 변해 버려서 양털 모으기도 불가능해졌다고 한다. 그래서 부탁을 받고 파일:item_상해와이탄_양털.png 양털 100개를 모아 가면 그래도 마음속으로는 동생을 용서했다면서, 시간 나면 집으로 좀 돌아오라고 전해 달라며 파일:사진기용 삼각대.png 사진기용 삼각대를 내어준다.

한국판에서는 양씨 아저씨로 바뀐 만큼 그의 농사일을 돕는 내용이 되었다. 양씨 아저씨는 값비싸다는 삼각대를 보관하느라고 밭일도 제대로 못했다면서, 키우던 소들의 쟁기를 교체하기 위해 파일:item_상해와이탄_쟁기.png 쟁기 100개를 회수해 달라고 한다. 쟁기소들을 처치하고[20] 돌아가면 삼각대를 받을 수 있었다.
상해의 양과 쟁기소 (좌: KMS, 2006.10. / 우: KMS, 2007.1.)
파일:20061029 양떼 집단출몰.jpg
파일:소떼들의압박.jpg

6.2.2. 중국판 전용 퀘스트

6.2.2.1. (Lv.18) 밍밍부인의 삼계탕
파일:밍밍부인.png 파일:대당가.png
밍밍부인의 삼계탕
시작 레벨 18
시작 NPC 밍밍부인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조건 <colbgcolor=#353535> 1 밍밍부인의 퀘스트 수락 후 상해 와이탄의 NPC '비룡'[21]과 대화
2 파일:item_태국_닭고기.png 닭고기 30개, 파일:백년인삼.png 백년인삼 2개[22] 수집
3 파일:메이플 삼계탕.png 삼계탕을 받아서 밍밍부인에게 전달
보상 1 없음
2 경험치 500
3 경험치 4,500, 파일:닭튀김.png 닭튀김 10개, 파일:인삼 삼계탕.png 인삼 삼계탕 10개[23]
중국판에서 2007년 10월 22일(V0.56) 추가된 것으로 추정되는 퀘스트. 밍밍부인의 건강이 안 좋아져서 그녀의 의뢰를 받아 상해 와이탄에 가서 백년인삼 삼계탕을 손수 끓여온다는 내용이다. 파일:메이플 삼계탕.png 삼계탕은 상해 와이탄의 NPC 비룡에게 간 다음, 닭을 처치하고 얻은 파일:item_태국_닭고기.png 닭고기 30개, 쟁기소를 처치하고 파일:백년인삼.png 얻은 백년인삼 2개를 주고 만들 수 있었다. 보상인 파일:인삼 삼계탕.png 인삼 삼계탕은 공격력과 마력을 무려 30이나 올려 주는 버프 아이템인 만큼 상당히 유용했다. 그래서 중국 유저들 사이에서는 유명했던 퀘스트이다.

2008년 추가 당시에는 유저들이 딱히 요리의 국적을 생각하며 클리어했던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바이두 백과사전에서 삼계탕의 원조가 중국 광동 요리라는 서술이 원인이 되어 2021년 삼계탕 원조 논란이 터진 바람에, 복각하면 논란이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퀘스트이다.
6.2.2.2. (Lv.18) 이불에 실수를 했어요
파일:메이플 이카루스.png 파일:아주 아주머니.gif
이불에 실수를 했어요
시작 레벨 18
시작 NPC 이카루스 (빅토리아로드: 커닝시티)
조건 <colbgcolor=#353535> 1 이카루스의 퀘스트 수락 후 상해 도시 광장의 NPC '아직(阿织)'과 대화
2 파일:item_상해와이탄_양털.png 양털 200개, 파일:item_상해와이탄_검은 털.png 검은 털 200개를 수집하여 전달
3 파일:양털 이불.png 양털 이불 1개를 받아서 이카루스에게 전달
보상 파일:사철 샤오마이.png 사철 샤오마이 20개[24](확정 보상), 파일:메이플 60% 주문서.png 귀 장식 지력 주문서 60%(확률 50%)/파일:메이플 10% 주문서.png 투구 방어력 주문서 10%(확률 50%) 중 랜덤 1종 1개
중국판에서 2007년 10월 22일(V0.56) 추가된 것으로 추정되는 퀘스트. 커닝시티의 이카루스를 찾아가면 시작할 수 있었다. 이카루스는 밤에 또 이불에 오줌을 지려 버렸다. 엄마가 새로 만들어 준 양털 이불을 또 망쳐 버린 게 무서웠던 이카루스는, 상해 와이탄의 방직 명장 '아직' 아주머니[25]를 찾아서 새 이불을 하나 제작해 달라고 한다. 상해 도시 광장의 NPC 아직 아주머니에게 가면, 또 이카루스가 이불에 오줌을 쌌냐면서 상해의 양들을 잡아서 파일:item_상해와이탄_양털.png 양털 200개, 파일:item_상해와이탄_검은 털.png 검은 털 200개를 모아 달라고 한다. 다 모아서 파일:양털 이불.png 양털 이불을 1개 받아서 이카루스에게 전달하면 클리어. 모 아니면 도의 50% 확률로 고가품인 파일:메이플 60% 주문서.png 귀 장식 지력 주문서 60%(귀지 60%)을 지급했기 때문에 상당히 인기가 많은 퀘스트였다.
6.2.2.3. (Lv.18) 폰라의 사진
<colcolor=#fff> 파일:external/www.insoya.com/201705_NPC_9250000.png 파일:사진기사 조씨.png
폰라의 사진
<colbgcolor=#c40233> 시작 레벨 10
시작 NPC 폰라 (태국: 플로팅 마켓)
조건 <colbgcolor=#353535><colcolor=orange> 1 플로팅 마켓의 폰라와 대화한 후 상해 와이탄의 사진기사 조씨의 퀘스트 수락
2 소, 양을 처치하고 파일:메이플 필름.png 필름을 회수하여 사진기사 조씨에게 전달
3 파일:폰라의 사진.png 폰라의 사진을 받아서 플로팅 마켓의 폰라에게 전달
보상 1 없음
2 경험치 500, 파일:폰라의 사진.png 폰라의 사진 1개
3 경험치 3,000, 파일:파워 엘릭서.png 파워 엘릭서 5개
중국판에서 2007년 10월 22일(V0.56) 추가된 것으로 추정되는 퀘스트. 태국 플로팅 마켓의 소녀 폰라는 상해의 사진기사 조씨를 만나서 사진을 찍었다. 너무나 아름다워 평생에 한 번 찍힐까 말까한 사진이었지만, 경황이 없어 사진을 찾아 귀국한다는 것을 그만 깜빡 잊었다며 사진을 가져와 달라고 한다. 상해 와이탄의 사진기사 조씨를 찾아가면 소와 양이 많은 농장 근처에서 필름을 잃어 버렸다고 한다. 소, 양들을 처치하면 높은 확률로 파일:메이플 필름.png 필름을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을 조씨에게 전달하고 파일:폰라의 사진.png 폰라의 사진을 받아서 다시 폰라에게 전달하면 클리어. 보상이 심심했다.

7. 지역 일람

한국 메이플 빅뱅 전 세계여행 컨텐츠가 종료되기 전의 지역을 모아 놓았다.

7.1. 상해와이탄

중국 - 상해와이탄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5549c;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CMS 0.41 (2006.4.) / KMS 1.2.31 (2006.8.) - 초기 버전 (좌측)
파일:상해와이탄(구)좌.png
CMS 0.41 (2006.4.) / KMS 1.2.31 (2006.8.) - 초기 버전 (우측)
파일:상해와이탄(구)우.png
CMS - 후기 버전
파일:상해와이탄(중국).png
TMS - 후기 버전
파일:상해와이탄(대만).png
{{{#!wiki style="margin:-16px -10px -16px -10px"
상해 교외

상해 임시 비행장
(중국/대만/일본: 상해 도시 광장)
}}}
<colbgcolor=#8899aa><colcolor=#fff,#2d2f34> NPC 경찰처장 주씨, 노점상 주인 여씨, 사진기사 조씨, 진씨 아가씨(잡화 상인), 장사장(방어구 상인), 이씨 아줌마(무기 상인), 스피넬(세계여행 가이드), 카산드라
몬스터 없음
BGM Go Shanghai
상하이시의 랜드마크인 동방명주 탑과 그 주변 정경이 한눈에 보이는 와이탄 지역을 테마로 한 지역이다. 드넓은 황푸 강에는 두 용머리가 달린 유람선이 유유자적 흘러가고 있는데, 이는 실제 황푸 강의 용선(龙船) 유람선을 따온 것이다. 특이하게도 카산드라 오른쪽 옆의 히든 포탈을 통해서 열기구가 전망대 기능을 하며 동방명주탑 등 상해 와이탄을 온전히 즐길 수 있었다. 미니맵의 세로가 큰 이유이다.
<rowcolor=#fff,#2d2f34> 열기구에서 촬영한 기념사진 (2006년 9월 촬영) 사실 열기구에서 잘 떨어지면 갈 수 있는 가로등 위가 훨씬 경치가 좋았다 (2007년 2월 촬영)
파일:20060929 열기구에서 한컷.jpg
파일:20070215 상해 가로등.jpg
문제는 캐릭터가 서 있는 곳인 와이탄 지역이다. 와이탄은 사실 서양 조계지였을 때 세워진 근대 건축 양식과 그 야경으로 상당히 유명한 곳인데, 저예산으로 개발했는지 혹은 표현상의 한계인지 뒤쪽 건물들은 보이지 않는다.[26] 개발진은 이 점을 강하게 의식한 듯한데, 상해 와이탄 마을의 디자인을 한 번 전면개편한 데서 이를 엿볼 수 있다(후기 버전). 맵이 2층 구조로 바뀌면서 모던한 타일이 깔린 데다가, 무엇보다도 맵 오른쪽에 번듯한 근대식 역사적 건축물이 하나 들어서고 상해 임시 비행장이 '상해 도시 광장' 맵으로 리메이크되었다. 이 지역은 중국 서버에서 2012년 4월 삭제되었다가, 2015년 11월 테마던전 예원으로 리메이크될 때 비로소 와이탄의 랜드마크인 유럽식 건축물들이 대폭 추가되어 상해의 화려한 야경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반면에 대만 서문정은 고릿적 2006년의 서문정이 박물관처럼 유지되고 있어서 제발 중국 서버처럼 리메이크 좀 해 달라는 커뮤니티 유저들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 자세한 것은 서문정 문서 참조.

특이하게도 대만 서버에서는 중국 후기 버전을 불수용하고 대만판 마을을 자체 제작해 버렸다. 그 탓에 상해 와이탄의 버전(판본)이 상당히 복잡해져 버렸다. 게다가 중국판과 대만판에서는 '예원' 맵이 추가되면서 임시 비행장이 '상해 도시 광장'으로 교체됐는데, 이 맵도 중국판과 대만판이 다르고, 중국판과 일본판이 또 다르다. 중국 후기판을 그대로 수용하느냐에 겹쳐서 '예원을 추가하느냐' 문제까지 겹쳐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 여기에서 끝이 아닌데, 중국판에서는 사냥터 구조를 한 번 전면 개편한 적이 있어서 이것도 받아들였느냐 마냐까지 따지면 버전 역사가 정말 복잡해진다. 다행히 한국판에서는 단 한 번의 개편도 없이 무사히(?) 2006년 수입한 판본 그대로 삭제되었다.

7.1.1. 상해 임시 비행장 / 상해 도시 광장

중국 - 상해 임시 비행장 (KMS V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5549c;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CMS V0.41 (2006.4.) / KMS V1.2.31 (2006.8.) - 초기 버전
파일:상해 임시 비행장(구).png
CMS V0.48 - 중기 버전(예원 정원 추가 이후)
파일:중국 임시 비행장-중기.png
중국 초기판에서는 조종사 홍씨(한국명 조종사 양씨)가 페리온과 상해 와이탄을 이어주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한국판에서 세계여행 콘텐츠를 스피넬을 통해 이동할 수 있게 바꾸면서 사실상 더미데이터가 되었다. 그래서 한국 서버에서는 조종사 양씨가 아무 역할도 하지 않아서 신대륙 확장의 복선이 아니냐는 황당한 추측을 낳기도 했다.

오른쪽에는 예원 정원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포탈이 있었지만, KMS에는 추가되지 않았다. 이곳에서 유저 간 대전 콘텐츠를 즐길 수 있었지만, 인기가 저조해서 중국과 대만, 태국 등의 서버를 제외하면 대부분 추가를 포기했다.

이 맵은 중국 서버 2007년 10월 22일(CMS V0.56)을 기점으로 '상해 도시 광장'이라는 맵으로 개편된다. 그 전까지 예원으로 가는 대문만 덩그러니 존재했지만 어엿한 광장으로 탈바꿈되고 아직 아주머니의 '이불에 실수를 했어요' 퀘스트도 추가된다. 그런데 문제는 대만 서버다. 대만 서버는 중국 서버보다 조금 이른 2007년 10월 17일(TMS V0.60) 아예 자체 상해 와이탄 마을을 제작하는데, 이때 중국 서버의 구버전 상해 임시 비행장(예원으로 가는 대문이 있는 버전)을 약간 수정해서 들여온다. 여기에 한술 더 떠서 일본 서버는 예원 추가를 포기했으므로 틀은 비슷하지만 예원 정원으로 가는 건물을 추가하지 않았다. 그래서 중국 서버보다 좌우 길이가 더 짧다. 하지만 배경에서 예원 정원의 내부의 건물은 볼 수 있었다. 결국 국가별 버전마다 맵 구조가 제각각인 결과를 낳아 버렸다.
중국 - 상해 도시 광장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5549c;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CMS V0.58 - 후기 버전
파일:상해 도시 광장(중국).png
{{{#!wiki style="margin:-16px -11px"<rowcolor=#fff,#2d2f34> 대만 서버의 상해 임시 비행장 (TMS V0.89) 일본 서버의 상해 임시 비행장(JMS V1.57)
파일:상해 임시 비행장(일본)_수정.png
}}}

7.2. 상해 외곽

중국 시골 농촌의 평화롭고 정겨운 정경이 펼쳐지는 상해 와이탄의 와곽 지대이다. 동아시아의 여느 농촌 풍경과도 별다를 점이 없기에 한국의 시골 맵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몬스터들도 , 황소, 오리, 같은 농촌 동물들이었다. 테마던전 예원으로 개편된 후로는 일부 몬스터가 재활용되었고, 한국 서버에서는 보스 몬스터 '대왕지네'만이 살아남았다. 이 맵이 나온지 얼마 안 됐을 시기에는 닭을 잡는데 킹슬라임을 잡는 소리가 난다던지, 양을 잡는데 장난감 목마를 잡는 소리가 난다던지, 소를 잡는데 이블아이를 잡는 소리가 난다던지 등의 황당한 사운드가 나기도 했다.

한국 서버에서는 구조가 사냥하기 불편했고, 몬스터 젠률도 낮아서 사냥터로 인기 있었던 적은 없었다. 다만 어느 서버에서나 대왕지네가 다양한 전리품을 떨어뜨렸기 때문에 많은 유저들이 찾던 지역이었다. 해외에서는 사냥터로 살려보겠다고 2007년부터 2008년까지 필드 구조를 한 번 개편하기도 했지만 차이가 크지 않아서 여전히 비인기 지역으로 남았다. 결국 대부분 지역에서 삭제되었다가 2015년에 전면적으로 리메이크된 이후로는 그럭저럭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여담이지만 상해 외곽 지역 배경을 잘 보면 빨랫감 중에 브래지어가 있다(...). 동심 파괴 헤네시스의 오브젝트를 재활용한 것으로 헤네시스의 유타의 돼지농장에 걸려 있던 브래지어와 똑같은 것이다.

7.2.1. 상해 교외

중국 - 상해 교외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699e2f;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CMS 0.41 (2006.4.) / KMS 1.2.31 (2006.8.) - 초기 버전
파일:상해 교외(구).png
CMS 0.59 (2008.1.) - 후기 버전
파일:상해 교외(신).png
{{{#!wiki style="margin:-16px -10px -16px -10px"
상해 북부 평원

상해 와이탄
}}}
<colbgcolor=#9cb95a><colcolor=#000,#2d2f34> NPC 없음
몬스터 Lv.20 , Lv.22 오리, Lv.25
BGM Shanghai Field

7.2.2. 상해 북부평원

중국 - 상해 북부평원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상해 북부평원(구).png
연결 맵 몬스터
← 상해 북부동산 Lv.20 닭
상해 교외 → Lv.22 오리
Lv.25 양

7.2.3. 상해 북부동산

중국 - 상해 북부동산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상해 북부동산(구).png
연결 맵 몬스터
← 서주갈림길 Lv.20 닭
상해 북부평원 → Lv.22 오리
Lv.25 양
Lv.30 염소

7.2.4. 서주갈림길

중국 - 서주갈림길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서주갈림길(구) (1).png
연결 맵 NPC 몬스터
↖ 서주평원1 양씨 아저씨 Lv.22 오리
중원 산악지대1 ↗ Lv.25 양
상해 북부동산 ↘ Lv.30 염소
Lv.33

빅뱅 이전, 2006년이라는 시간대에 추가된 맵답게 페리온서쪽령이나 엘리니아남쪽숲과 같은 '경유' 목적의 맵으로서 광대한 크기를 자랑한다.[27] 빅뱅 이전의 열악한 기동성을 생각하면 중국 맵이 얼마나 넓게 느껴졌을지 상상할 수 있는 부분이다. 위 맵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은 발판이 많아 이동하기 어려웠으나, 해외에서는 맵 구조 개편 이후 큰 발판 위주로 통합되어 비교적 이동하기 쉬워졌다.

중국 지역 퀘스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양씨 아저씨'가 있어서 울며 겨자 먹기라도 몇 번은 와야 하는 곳이다.

7.2.5. 서주평원1

중국 - 서주평원 1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서주평원1(구).png
연결 맵 몬스터
← 서주평원2 Lv.25 양
서주갈림길 → Lv.33 소
Lv.38 쟁기소

오른쪽 위에 이스터에그까지는 아니지만, 개발진이 숨겨놓은 하트(♡) 모양이 있다. 빅뱅 이전에는 아무래도 맵이 넓다 보니 이러한 사소한 즐길거리를 빅뱅 이후보다 더 자주 찾을 수 있었다. 에오스탑 외부의 하트 모양도 그 예 중 하나다.

7.2.6. 서주평원2

중국 - 서주평원 2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서주평원2(구).png
연결 맵 몬스터
← 서주평원3 Lv.30 염소
서주평원1 → Lv.33 소
Lv.35 흑염소
Lv.38 쟁기소

7.2.7. 서주평원3

중국 - 서주평원 3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서주평원3(구).png
연결 맵 NPC 몬스터
서주평원2 → 조씨 아가씨 Lv.30 염소
Lv.33 소
Lv.38 쟁기소

7.2.8. 중원 산악지대1

중국 - 중원 산악지대1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중원 산악지대1(구).png
연결 맵 몬스터
↑ 중원 산악지대2 Lv.25 양
서주갈림길 → Lv.30 염소
Lv.35 흑염소

7.2.9. 중원 산악지대2

중국 - 중원 산악지대2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중원 산악지대2(구).png
연결 맵 NPC 몬스터
← 검은양의 영토 임경찰 Lv.25 양
중원 산악지대1 → Lv.30 염소
Lv.30 소
Lv.35 흑염소
Lv.38 쟁기소

7.2.10. 검은양의 영토

중국 - 검은양의 영토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검은양의 영토(구).png
연결 맵 NPC 몬스터
← 통로 강경찰 Lv.37 검은양
중원 산악지대 2 → 정경찰

이 분들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KMS에 한해 검은양은 이곳에서만 사냥할 수 있었기 때문에 '검은 양털'은 다른 전리품보다 수집 가치가 더 높은 편이다. 비밀임무 퀘스트 수행중에는 물론이고 대왕지네를 물리쳐서 완료한 후에는 임경찰을 통해 언제나 입장 가능한 맵이지만 레벨업을 위해서라면 서주평원 3에서 쟁기소를 사냥했지 굳이 검은양을 사냥하러 여기 오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는 비록 맵과 몬스터는 멀쩡히 남아 있었지만 '검은 양 패밀리어 카드' 수집 때문에 바득바득 퀘스트를 깨서 여기까지 오는 사람이 종종 있었다.

7.2.11. 통로

중국 - 통로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통로(구).png
연결 맵 NPC 몬스터
위험한 언덕 ↗ 강경찰 Lv.200 슈퍼 검은양
↙ 검은양의 영토 허경찰

한 번 이동할 때마다 2개의 포탈 중 바른 것을 타고 다음 위치로 가면서 제한시간 10분 내에 허경찰에게 도달해야 한다. 잘못된 포탈을 타면 출발점으로 돌아오지만 입장할 때마다 경로가 바뀌지는 않고 늘 고정이기 때문에 외워두면 매우 쉬워졌다. 여기 나오는 몬스터들은 퇴치 불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7.2.12. 위험한 언덕

중국 - 위험한 언덕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위험한 언덕(구).png
연결 맵 NPC 몬스터
→ 통로 강경찰 Lv.60 대왕지네

7.2.13. 무서운 언덕

중국 - 무서운 언덕 (KMS 1.2.65 - 2008.12)
<rowcolor=#ffffff>{{{#!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A4E19; border-radius: 2px; padding: 1px 4px"
파일:위험한 언덕(구).png
연결 맵 NPC 몬스터
→ 통로 강경찰 Lv.60 대왕지네

위험한 언덕과 맵이 똑같은데, 대왕지네 퇴치 퀘스트(「비밀임무 수행」)를 수행하고 있을 때는 '위험한 언덕' 맵으로 이동되고, 퀘스트 완료 이후에는 '무서운 언덕' 맵으로 이동되었다. 그 외의 차이는 없다.


[1] 구 버전이 있었으나, 라르크 앙 시엘이 부른, GTO 1기 OP인 Driver's high의 멜로디와 유사하다는 말이 있어서 변경되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변경되었지만, 중국에서는 한참 쓰다가 뒤늦게 변경되었다.[2] 예전에는 서문정 BGM과 공유했다.[3] 한국명은 '조종사 양씨'였다.[4] 중국 서버 기준 2007년 10월 22일 V0.56을 통해서 페리온 ↔ 상해 연결 기능이 사라졌다.[5] 서문정은 자국의 맵이고 버섯신사는 하야토, 칸나 스토리에서 꼭 필요한 지역이라서 삭제하지 않았다.[6] 물론 헤네시스도 농촌을 묘사하기는 했지만 판타지적인 공간에 가깝다면 상해 와이탄 필드는 의도적으로 시골의 농촌 자체를 그려내고 있다.[7] 물론 대한민국의 도시지역 인구 비율은 이미 1990년 83.8%, 2000년 88.3%를 찍어 농촌 자체를 경험하지 못한 인구도 많았을 것이다.[8] 다만 한국판 스토리로 수정되면서부터는 지네가 본래부터 사악한 힘의 원천인 붉은 구슬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바뀌었다.[9] 2000년대 초반 중국의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당연하다는 반론이 있지만, 2006년 당시에도 상하이는 중국 양쯔강 하구의 최대 도시였다. 비유하자면 서울 맵을 벗어나자마자 바로 전라도나 경상도의 농촌이 나오는 격이다.[비상해] 상해 와이탄 지역 퀘스트에 해당하지 않음.[비상해] [비상해] [13] 전체적인 스토리나 클리어 방식은 동일하다. 한국판은 중국판 초기 버전을 깔끔하게 정리한 것에 가깝다.[14] 중국 초기판에서는 시간 제한이 없었다.[15] 그밖에도 인기 품목인 귀 장식 지력 주문서 60%, 장갑 민첩 주문서 60%, 장비 아이템들까지 합치면 성공 확률은 무려 25.91%나 된 혜자 퀘스트이다.[16] MP 800 회복[17] HP 800 회복[18] 스크린샷 속의 동그라미는 당시 게시글 작성자가 편집한 것임. 원본 스크린샷은 아니지만 오픈 초기 상황을 보여 주는 희귀 스크린샷임을 감안하여 게재함.[19] 중국 서버에서는 이름 자체가 탕후루(糖葫芦)였다.[20] 물론 퀘스트 설정상 쟁기소들은 양씨 아저씨가 키우던 가축들이고, 쟁기를 얻은 것은 쟁기소에게서 쟁기를 떼어낸 것일 뿐이다.[21] 중국판 명칭은 '대당가(大当家)'로 신 중화일미(요리왕 비룡)의 주인공 '소당가(小当家, 한국의 '비룡(유마오신)')'를 패러디했다.[22] 한국판에서는 '한 뿌리 인삼'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했는데, 구 인내의 숲 퀘스트에서 획득할 수 있었다. 중국판 백년인삼은 쟁기소를 처치하여 얻을 수 있었다[23] 15분간 공격력 30, 마력 30을 증가시키는 버프 아이템[24] HP/MP 100% 회복[25] 원래는 대만 야시장에 있던 아무 기능 없던 병풍 NPC였는데 재활용한 것이다.[26] 정확히 말하자면 사실은 캐릭터 기준 플레이어 방향에 건물들이 늘어서 있는데 안 보이는 것이다.[27] 빅뱅 이전 메이플스토리에서의 기능에 따른 맵 분류 방식, 다시 말해 사냥맵(사냥 목적의 맵)과 모험맵(경유 목적의 맵)의 차이에 대해서는 해당 글을 참고할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