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3:01:16

사보이아의 마리아 아델라이데 공녀

<colbgcolor=#FFB6C1> 부르고뉴 공작부인 & 프랑스 왕국의 도핀
사보이아의 마리아 아델라이데 공녀
Principessa Maria Adelaide di Savoi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ie_Ad%C3%A9la%C3%AFde_of_Savoy_%281685%E2%80%931712%29%2C_Duchess_of_Burgundy_in_1710_by_Gobert.jpg
이름 이탈리아어 마리아 아델라이데 디 사보이아
(Maria Adelaide di Savoia)
프랑스어 마리 아델라이드 드 사부아
(Marie-Adélaïde de Savoie)
출생 1685년 12월 6일
사보이아 공국 토리노 토리노 왕궁
사망 1712년 2월 12일 (향년 26세)
프랑스 왕국 베르사유 궁전
장례식 1712년 2월 23일
생 드니 대성당
배우자 프티 도팽 루이 (1697년 결혼)
자녀 루이, 루이, 루이 15세
아버지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어머니 안 마리 도를레앙
형제 마리아 루이사, 비토리오 아메데오,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종교 가톨릭

1. 개요2. 생애
2.1. 어린시절2.2. 프티 도팽 루이와의 결혼
3. 가족관계
3.1. 조상3.2. 자녀

[clearfix]

1. 개요

프랑스 왕국 루이 14세의 손자 프티 도팽 루이의 아내(왕세손비)이며, 사르데냐 왕국의 초대 국왕인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와 안 마리 도를레앙의 장녀. 루이 15세의 어머니이다.

2. 생애

2.1. 어린시절

1685년 12월 6일 토리노 왕궁에서 당시 사보이아 공국의 공작이었던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루이 14세의 조카딸인 안 마리 도를레앙[1]의 장녀로 태어났다. 어머니 안 마리는 고작 16살 때 마리아 아델라이데를 출산하면서 거의 목숨을 잃을뻔 했다. 사보이아 가문살리카법을 고수했기 때문에 사보이아 공국을 상속받을 자격이 없었지만[2] 그녀의 할머니 사부아느무르의 마리 잔과 카리냐노 공이 대부모가 되었다. 마리아 아델라이데는 당대 왕족들 중에서 이례적으로 자녀들을 직접 키우고 있었던 어머니 안 마리뿐만 아니라 친할머니 사부아느무르의 마리 잔과도 사이가 각별했다. 어린 시절부터 여동생인 마리아 루이사와 함께 토리노 외곽의 빌라 델리 레지나(Villa della Regina)에 방문하면서 토리노 왕궁 옆의 마다마 궁전(Palazzo Madama)에 살고 있는 할머니 마리 잔과 자주 교류했다.

마리아 아델라이데는 인형을 닮았다고 묘사될 정도로 작았으며, 머리카락은 어린 시절에는 밤색이었고, 자라면서 어두워졌다. 눈은 크고 검은 색이었으며, 긴 속눈썹을 가졌다.

2.2. 프티 도팽 루이와의 결혼

이후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의 손자 프티 도팽 루이와 결혼하게 되었다. 두 사람의 결혼은 1696년 8월 29일 체결된 토리노 조약의 결과로 이루어졌다. 아버지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가 조약 내용에 따라 프티 도팽 루이의 할아버지 루이 14세의 프랑스를 9년 전쟁에서 지원하기로 합의한 상태였지만 사보이아 공국은 전쟁 중에 황폐화되었다.[3] 처음 마리아 아델라이데를 본 루이 14세는 그녀를 손자며느리감으로 매우 만족스러워했지만 나이가 아직 어렸기 때문에, 맹트농 부인[4]이 설립한 베르사유 근처 생쉬르(Saint-Cyr) 생 루이 왕립 기숙학교에서 교육을 받게 했다. 이후 1697년 12월 6일 베르사유 궁전에서 프티 도팽 루이와 결혼하면서 프랑식인 마리 아델라이드로 불리게 되었다.

3. 가족관계

3.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사보이아의 마리아 아델라이데 공녀
(Princess Marie Adelaide of Savoy)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Victor Amedeus II)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Charles Emmauel II)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
(Victor Amedeus I)
프랑스의 크리스틴[5]
(Christina of France)
사부아느무르의 마리 잔
(Marie Joan of Savoy-Nemours)
느무르 공작 샤를 아메데우스
(Charles Amedeus, Duke of Nemours)
엘리자베트 드 부르봉[6]
(Elizabeth de Bourbon)
안 마리 도를레앙
(Anne Marie of Orleans)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
(Phillip I, Duke of Orleans)
루이 13세
(Louis XIII)
오스트리아의 아나[7]
(Anne of Austria)
잉글랜드의 헨리에타
(Henrietta of England)
찰스 1세
(Charles I)
프랑스의 앙리에트 마리[8]
(Henrietta Maria of France)

3.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자녀
1남 부르타뉴 공작 루이
(Louis, Duke of Brittny)
1704년 6월 25일 1705년 4월 13일
2남 부르타뉴 공작 루이
(Louis, Duke of Brittny)
1707년 1월 8일 1712년 3월 8일
3남 루이 15세
(Louis XV)
1710년 2월 15일 1774년 5월 10일 마리아 레슈친스카
슬하 2남 8녀[9]


[1]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잉글랜드의 헨리에타의 차녀.[2] 남동생 비토리오 아메데오와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는 그녀가 태어나고 한참 뒤에 태어났다.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와 루이 15세의 나이 차이는 9살에 불과하다.[3] 비토리오 아마데오 2세는 마리아 아델라이데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레오폴트 1세의 장남 요제프 황태자(훗날의 요제프 1세)의 결혼 후보로 제안했는데 레오폴트 1세는 장남이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그래도 마리아 아델라이데를 프랑스로 보내 완벽한 교육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제안한 테세 백작의 영향으로 프티 도팽 루이와 결혼시킬 수 있었다.[4] 루이 14세가 가장 총애한 애첩이자 마리 테레즈 왕비 사후 귀천상혼으로 재혼한 후처.[5] 앙리 4세의 차녀이다.[6] 앙리 4세의 사생아 세자르의 딸이다.[7] 펠리페 3세의 장녀이다.[8] 앙리 4세의 3녀이다.[9] 파르마 공작부인 엘리사베타, 도팽 루이 페르디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