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5:47:39

비밀은 없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경미 감독의 2016년 영화에 대한 내용은 비밀은 없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비밀은 없어 로고.pn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피도 눈물도 없이
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19:50
미녀와 순정남
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19:55
수지맞은 우리
파일:KBS 1TV 로고.svg파일:KBS 1TV 로고 화이트.svg | 20:30
함부로 대해줘
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22:10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용감무쌍 용수정
월 ~ 수, 금 19:05, 목 19:10
우리, 집
21:50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커넥션
22:00
종합편성채널
비밀은 없어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20:50
세자가 사라졌다
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 21:40
히어로는 아닙니다만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22:30
파일:CJ ENM 로고.svg파일:CJ ENM 로고 컬러 화이트.svg
플레이어2: 꾼들의 전쟁
파일:tvN 로고.svg파일:tvN 로고 White.svg | 20:50
졸업
파일:tvN 로고.svg파일:tvN 로고 White.svg | 21:20
일반 케이블 자체 제작 편성
크래시
파일:ENA 로고.svg파일:ENA 로고 화이트.svg | 22:0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FDC7; font-size: 0.75em"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2021~2025
파일:시지프스.png파일:시지프스_로고 (흰색).png
(2021)
파일:로스쿨 JTBC 로고(B).png파일:로스쿨 logo.png
(2021)
파일:월간 집 로고.png파일:월간 집_로고 (흰색).png
(2021)
파일:너를 닮은 사람 워드마크.png파일:너를 닮은 사람 워드마크 화이트.png
(2021)
파일:공작도시 로고(B).png파일:공작도시 로고(W).png
(2021~2022)
파일:서른, 아홉 로고.png파일:서른, 아홉_로고 (흰색).png
(2022)
파일:그린마더스클럽 워드마크.png파일:그린마더스클럽 로고 화이트.png
(2022)
파일:인사이더(드라마) 로고.png파일:인사이더(드라마) 로고 화이트.png
(2022)
파일:사랑의 이해 로고.png파일:사랑의 이해 로고 화이트.png
(2022~2023)
파일:나쁜엄마 로고.png파일:나쁜엄마 로고 화이트.png
(2023)
파일:기적의 형제 로고.png파일:기적의 형제 로고 화이트.png
(2023)
파일:이 연애는 불가항력 로고.png파일:이 연애는 불가항력 로고 화이트.png
(2023)
파일:끝내주는 해결사 로고.png파일:끝내주는 해결사 로고 화이트.png
(2024)
파일:비밀은 없어 로고.png파일:비밀은 없어 로고 화이트.png
(2024)
파일:놀아주는 여자 로고.svg파일:놀아주는 여자 로고 화이트.svg
(2024)
둘러보기

2011~20202021~20252026~2030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wiki style="margin: 0 auto; padding: 5px 10px; max-width: 100%; text-align: center; border-radius:8px; word-break: keep-all; background: currentcolor"
<colbgcolor=#fe6cc4,#aa5a83><colcolor=#ffffff> JTBC 수목 드라마
비밀은 없어 (2024)
Frankly Speaking
파일:비밀은 없어 메인 포스터.jpg
언어별 제목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한국어
]] 비밀은 없어
[[영어|
영어
]] Frankly Speaking
[[중국어|
중국어
]] 没有秘密
[[일본어|
일본어
]] 正直にお伝えします!?
[[태국어|
태국어
]] พูดตรงๆ คงต้องรัก
장르 로맨틱 코미디, 오피스, 판타지
방송 시간 수 · 목 / 오후 8:50 ~
방송 기간
방송 중
2024년 5월 1일 ~ 2024년 6월 6일 (예정)
방송 횟수 12부작
기획 SLL
제작사 SLL, 키이스트
채널 JTBC
추가 채널 JTBC2, JTBC4


<colbgcolor=#fe6cc4,#aa5a83><colcolor=#ffffff> 연출 장지연[1]
극본 최경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e6cc4,#aa5a83><colcolor=#ffffff> CP 김소정
PD 이혜진
촬영 신재만, 이준헌
미술 류선광
음악 임하영 }}} }}} }}}
출연 고경표, 강한나, 주종혁
촬영 기간 2023년 4월 16일 ~ 2023년 10월 20일 (사전제작)
스트리밍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넷플릭스|
NETFLIX
]]
파일:세계 지도.svg:
[[넷플릭스|
NETFLIX
]]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언어, 모방위험, 폭력성)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RAMA Voyage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2.3. 메이킹2.4. 콘텐츠
3. 기획의도4. 등장인물5. 음악6. 방영 목록 및 시청률7. 평가8. 기타

[clearfix]

1. 개요

통제 불능 혓바닥 헐크가 된 아나운서 송기백이 열정 충만 예능작가 온우주를 만나며 겪게 되는 유치하고 발칙한 인생 반전 코믹 멜로 드라마
'아나테이너'라고 불리며 연예인도 일반인도 아닌 그 중간의 경계에 서서 자신의 꿈과 성공 그리고 생존을 위해 맹렬한 경쟁을 벌여야만 하는, 지금껏 드라마에서 한 번도 정면으로 조명되지 않은 프리랜서 아나운서들의 세계를 그린다.

2024년 5월 1일부터 2024년 6월 6일까지 〈끝내주는 해결사〉의 후속으로 방영된 JTBC 수목 드라마.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 1차 티저 ▲ 2차 티저
▲ 3차 티저 ▲ 4차 티저

2.2. 포스터

파일:비밀은 없어 티저 포스터.jpg파일:비밀은 없어 메인 포스터.jpg파일:비밀은 없어 3인 포스터.jpg
▲ 티저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3인 포스터
파일:비밀은 없어 캐릭터 포스터 송기백.jpg파일:비밀은 없어 캐릭터 포스터 온우주.jpg파일:비밀은 없어 캐릭터 포스터 김정헌.jpg
▲ 캐릭터 포스터

2.3. 메이킹

파일:비밀은 없어 로고.png 메이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회차 제목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대본리딩 속보입니다..! 고경표 x 강한나 조합 출격🚨 여러분, 배꼽 꽉 잡으세요🤣 <비밀은 없어> 대본리딩 현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첫 촬영 인터뷰 반전 인생 2회차 시작⏳ 비밀 없이 솔직한😎 <비밀은 없어> 첫 촬영 인터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금지어 인터뷰 할많하않...고경표X강한나X주종혁의 <비밀은 없어> 금지어 인터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1-2회 예능이요⁉️ 드라마 맞습니다👌🏻 웃음빵빵🤣 <비밀은 없어> 1,2회 비하인드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역대급 라인업의 좌충우돌 시상식🏆️⚡ <비밀은 없어> 1,2회 비하인드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3-4회 신경쓰여! 찌릿찌릿 삼각관계😵 현실은 웃참하느라 찌릿⚡️ <비밀은 없어> 3,4회 비하인드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나 여기 살아요! 알고보니 이사람 우리집에 산다?!😲🏡 <비밀은 없어> 3,4회 비하인드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5-6회 현썸남x구남친과의 연프 시작⁉️📺️❤‍🔥 <비밀은 없어> 5,6회 비하인드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몸도 팡! 마음도 팡! 사랑의 디스코팡팡이 왔어요🎪💞 <비밀은 없어> 5,6회 비하인드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7-8 드디어 온기커플 포텐 터졌다❤‍🔥 대망의 키스신 등장이요 <비밀은 없어> 7,8회 비하인드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9-10 눈만 마주쳐도 우당탕탕🤣 대환장 조합 총출동!💚 <비밀은 없어> 9,10회 비하인드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 }}} ||

2.4. 콘텐츠

파일:비밀은 없어 로고.png 콘텐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회차 제목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젭포일러 혓바닥으로 말아주는 시원한 사이다 샤워🌊 <비밀은 없어> 1-4회 젭포일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 }}} ||

3. 기획의도

파일:비밀은 없어 기획의도.jpg
통제불능 혓바닥 헐크가 된 아나운서 송기백이
열정충만 예능작가 온우주를 만나며
겪게되는 유치하고 발칙한
인생 반전 드라마
파일:비밀은 없어 로고.png 공식 홈페이지

4. 등장인물

<rowcolor=#ffffff> 파일:비밀은 없어 로고.png 인물관계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비밀은 없어 인물관계도.png
}}}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밀은 없어/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음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밀은 없어/음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e6cc4,#aa5a83><bgcolor=#fe6cc4,#aa5a83><color=#ffffff> 파일:비밀은 없어 로고.png OST ||
<rowcolor=#ffffff> 파트 표지 발매일 곡명 아티스트 링크
Part 1 파일:비밀은 없어 OST Part 1.jpg 2024. 05. 01. <colbgcolor=#f5f5f5,#2d2f34> 얼음 땡! 서호, 이도
(원어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2 파일:비밀은 없어 OST Part 2.jpg 2024. 05. 09. Cliffhanger 지올팍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3 파일:비밀은 없어 OST Part 3.jpg 2024. 05. 15. 비밀은 없어 문별, 휘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4 파일:비밀은 없어 OST Part 4.jpg 2024. 05. 22. 소행성 경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5 파일:비밀은 없어 OST Part 5.jpg 2024. 05. 30. 네 눈치 LA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주를 닮아
Part 6 파일:비밀은 없어 OST Part 6.jpg 2024. 06. 05. I know GEMIN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합본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2024. mm. dd. 비밀은 없어 OST Various Artis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미발매 트랙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음.

6. 방영 목록 및 시청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밀은 없어/방영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tablealign=center><tablewidth=644><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e6cc4,#aa5a83><rowbgcolor=#fe6cc4,#aa5a83><rowcolor=#ffffff><width=15%> 회차 ||<|2><width=30%> 방영일 ||<-2> 시청률(%) ||<|2> 비고 ||
<rowcolor=#ffffff> 전국 수도권
<colbgcolor=#f5f5f5,#2d2f34> 1회 2024.05.01. 1.982 1.892
2회 2024.05.02. 2.022 1.938
3회 2024.05.08. 1.360 -
4회 2024.05.09. 1.622 -
5회 2024.05.15. 1.452 -
6회 2024.05.16. 1.416 -
7회 2024.05.22. 1.280 -
8회 2024.05.23. 1.422 -
9회 2024.05.29. 1.260 -
10회 2024.05.30. 1.204 -
11회 2024.06.05. 1.299 -
12회 2024.06.06. 1.075 -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단위 %.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 2020년대 JTBC 수목드라마 전체 중 시청률이 가장 낮은 작품이다. 3화부터 시청률 1%대를 벗어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마지막 12회는 사생활 이후 최저치인 1.0%라는 굴욕적인 시청률을 기록하며 막을 내렸다.

7.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 초반에는 로맨스 없이 코미디물로 시작하다가 중반에는 갑자기 솔로지옥 시리즈 패러디로 분량을 채우면서 일반적인 로맨스물로 선회하더니 후반에는 갑자기 가족 간의 화해를 다루는 주말극 형태의 드라마가 되었다. 결국 명확하게 타겟팅 되지 않는 갈피를 잡지못한 전개 때문에 초반에 호감을 표한 적은 수의 시청자 중에도 이탈자가 많이 나오게 되었다.
  • 방영 초반 20~40대 여성층이 주시청층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30대 여성층에 어필하고 있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으나# 타깃 설정이 애매하다. 제목과 연관을 지은 1994년 발매된 곡을 리메이크해 OST로 사용하면서 영향을 받은 설정인지, 극중 30대 초반으로 등장하는 남자 주연들이 2010년 전후인 고등학생 시절 1995년 발매된 룰라의 '프로와 아마추어'를 즐겨부른 것으로 등장한다.[2]
  • 보도자료 등을 통해 아나테이너 특히 프리랜서 아나운서의 세계를 다루겠다고 어필하기도 했으나 프리랜서 아나운서가 된 송기백이 겪는 갈등에서 특별히 관련된 전개가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고, 오히려 서브 남주인공 김정헌의 연예인으로서의 직업적 고민이 더 깊고 길게 다루어졌지만 이것 역시 트로트 가수라는 설정과는 큰 관계가 없는 방식으로 다루어졌다. 남녀 주인공의 로맨스에 빌런으로서 갈등요소가 되는 민초희의 경우 거의 조연 미만의 분량으로 등장하고 그마저도 가볍게 퇴치되기 때문에, 남녀 주인공 두 사람의 관계보다는 각자 본인의 가족 문제로 따로 겪는 갈등이 더 부각 된다.
  • 낮은 시청률과는 박한 평가와는 별개로. 모든 출연 배우 개개인의 연기와 중반부에 잠깐 보여준 남녀 주인공의 설레는 로맨스 묘사 그리고 세심한 연출 자체는 호평이었다.

8. 기타

  • 장지연 PD는 2부작 단막극 연출 이력 이후 장편 드라마 첫 연출작이고, 최경선 작가는 본 작품이 데뷔작이다.
  • [[파트리샤(방송인)|파트리샤]의 첫 연기 데뷔작이자 드라마 데뷔작이다.


[1] 2부작 단만극 드라마 〈경로를 이탈하였습니다〉를 연출.[2] 비슷한 시기 방영된 선재 업고 튀어의 주인공들과 동년배 설정이고 결국 학창시절도 비슷한 시기인 설정임을 감안하면 인소 감성을 뽐내며 우유송싸이월드를 즐기던 그 작품의 주인공 설정과 세대 차이가 더 극심하게 드러난다.[3] 단막극 〈아쉬탕가를 아시나요〉에서 주연을 맡은 경험이 있다.[4] 발매 기준 개인의 소속사는 문별이 RBW, 휘인은 THE LIVE로 다르지만 그룹 마마무로는 여전히 둘 다 RBW의 관리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