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7 15:40:28

브와디스와프 안데르스

파일:폴란드군 총감기.svg
폴란드 공화국 군부총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34234, #e34234 20%, #e34234 80%, #e34234);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폴란드 제2공화국 (1926-1939)
<rowcolor=#fff> 초대 제2대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에드바르트 리츠시미그위
<rowcolor=#fff> 제2공화국 망명정부 (1939-1980)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브와디스와프 시코르스키 카지미에시 소슨코프스키 타데우시 코모로프스키 브와디스와프 안데르스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미하우 토카르제프스키카라셰비츠 스테판 뎀빈스키 스타니스와프 코판스키 지그문트 보후츠시슈코
<rowcolor=#fff> 제9대
볼레스와프 브로니스와프 }}}}}}}}}
<colbgcolor=#e34234><colcolor=#fff> 제4대 폴란드군 총감
브와디스와프 알베르트 안데르스
Władysław Albert Anders
파일:Władysław_Anders.jpg
출생 1892년 8월 11일
러시아 제국 바르샤바현 크로시니비체-블로니에
사망 1970년 5월 12일 (향년 77세)
영국 런던
국적
[[폴란드|]][[틀:국기|]][[틀:국기|]]
학력 생시르 사관학교(최종)
직업 군인
최종 계급 중장
경력 자유 폴란드군 총감
1944년 10월 2일 ~ 1945년 5월 5일[권한대행]
1946년 11월 8일 ~ 1954년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서명
파일:브와디스와프 안데르스 서명.svg

1. 개요2. 생애3. 형제4. 기타

[clearfix]

1. 개요

폴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2. 생애

파일:Anders_Family.jpg
1930년대 말의 안데르스 일가[2]
독일계 폴란드인이며, 1차대전에서 동맹국이 패망하고 폴란드가 독립하자 입대한 직후 터진 소비에트 러시아와의 전쟁 때 장교가 되었다.이 때 공을 세워서 비르투티 밀리타이[3] 훈장을 받았다.

전간기에는 프랑스의 생시르 사관학교로 유학을 다녀왔고 유제프 피우수트스키의 쿠데타 이후에도 군에 남았다.

폴란드 침공 때 동부전선에서 소련군에게 포로가 됐다가 풀려난 뒤, 안데르스는 일단 소련군에 투항했으나 계속된 소련의 회유를 거절하다가 소련과 폴란드가 동맹을 맺은 후 휘하에 둔 폴란드인 부대[4]를 데리고 이란과 이라크를 거쳐 팔레스타인에서 재정비를 마친 뒤 폴란드 망명정부의 군대인 자유 폴란드군에 합류했다.[5] 이후 안데르스 부대는 제2군단으로 편성되어 이탈리아 전선에서 활약했다.[6]

전후 폴란드가 소련에게 공산화되자 그는 망명정부 소재지인 영국에 남았고[7] 1970년에 사망했다.

1989년 폴란드의 민주화 이후 폴란드 국적을 회복했다.

3. 형제

4. 기타



[권한대행] [2]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아버지 알베르트, 본인, 첫번째 동생 카롤, 둘째 동생 예지 에드바르드, 막내 동생 타데우시, 그리고 본인의 아들 예지이다.[3] 스타니스와프 2세가 1792년에 제정한 훈장. 제정 직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멸망해서 같이 폐지됐다가 독립 후 부활했다.[4] 일명 안데르스 부대[5] 이 때 안데르스를 따라온 피난민 중에서 리투아니아 출신 유대인인 메나헴 베긴은 훗날 이스라엘 총리가 된다.[6] 몬테카시노 전투 때도 폴란드군이 선봉에서 활약했다.[7] 전간기 때 제2공화국이 반공을 내세웠기도 했고, 안데르스는 탈주 건으로 소련에 찍힌 상태라 돌아가 봐야 소련과 공산 폴란드의 박해를 피할 수 없던 처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