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4:24:25

브라이언 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c2c56>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c2c56><colcolor=#c4ced4> 투수 22 · 26 스타우트40인 · 30 보스 · 36 길버트 · 37 코와IL-60 · 41 바자르도40인 · 43 스니드 · 45 스태닉 · 46 손튼 · 47 브래시IL-60 · 48 산토스IL-60 · 50 밀러 · 52 스나이더 · 53 바우만 · 54 바르가스40인 · 55 스파이어IL-15 · 58 카스티요 · 59 데 거스40인 · 60 소시도 · 62 핸콕40인 · 67 볼튼40인 · 68 커비 · 75 무뇨스 · # 살라자르40인 · # 디아즈40인
포수 29 랄리 · 33 자발라
내야수 1 블리스 · 3 크로포드 · 4 로하스 · 7 폴랑코IL-10 · 23 프랭스 · 25 무어 · 76 리바스40인
외야수 0 해거티IL-60 · 2 말로우40인 · 5 클라세40인 · 8 캔존 · 10 로블레스 · 12 테일러40인 · 17 해니거 · 20 레일리 · 44 로드리게스
지명타자 18 가버
'''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서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우드워스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 파콰 파일:미국 국기.svg 토니 아네리치 파일:미국 국기.svg 재럿 디하트 파일:미국 국기.svg 토미 조셉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네그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니 액타 파일:미국 국기.svg 페리 힐 파일:미국 국기.svg 트렌트 블랭크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슨 비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플레밍 바에즈 ·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노박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타코마 레이니어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브라이언 우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33번
저스티스 셰필드
(2019~2022)
<colbgcolor=#005c5c><colcolor=#ffffff> 브라이언 우
(2023)
세비 자발라
(2024~)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22번
루이스 토렌스
(2023)
브라이언 우
(2024~)
현역
}}} ||
파일:매리너스우24.jpg
<colbgcolor=#0c2c56><colcolor=#c4ced4> 시애틀 매리너스 No.22
브라이언 우
Bryan Woo
본명 브라이언 조셉 우
Bryan Joseph Woo
출생 2000년 1월 30일 ([age(2000-01-30)]세)
캘리포니아 주 오클랜드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
[[홍콩|]][[틀:국기|]][[틀:국기|]]
학력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신체 188cm / 92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21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74번, SEA)
소속팀 시애틀 매리너스 (2023~)
계약 Pre-Arb / $749,000
연봉 2024 / $749,000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시애틀 매리너스
2.1.1. 2023 시즌2.1.2. 2024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

[clearfix]

1. 개요

시애틀 매리너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알라메다 고등학교에서 3학년 때 8승 2패, 평균자책점 1.25로 활약했고,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로 진학했다. 하지만 대학 시절에는 부상과 부진으로 인해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심지어 2021년 봄에 팔꿈치 인대가 파열되어 토미 존 수술을 받았는데, 그럼에도 그의 가능성을 눈여겨본 시애틀에게 그해 신인드래프트 6라운드로 지명되었고, 31만 8,200 달러의 계약금에 사인하였다.

2.1. 시애틀 매리너스

2022 시즌 시작 전에 발표된 유망주 순위에서 팀 내 14위에 이름을 올렸다.

재활을 끝내고 2022년 6월에 프로 데뷔를 하였고, 루키-싱글A-하이싱글A 레벨을 거치며 1승 4패, 평균자책점 4.11을 기록했다. 시즌이 끝난 후에는 애리조나 가을 리그에 참가해 5경기 동안 2승, 평균자책점 0.84의 뛰어난 성적을 거뒀다.

2.1.1. 2023 시즌

파일:매리너스우.png

더블A에서 ERA 2.05의 뛰어난 활약을 하던 중, 6월에 메이저리그로 전격 콜업되었다. 기간으로 따지면 마이너리그를 단 6개월만 뛰고 빅리그에 데뷔한 것이다.[1]

6월 3일 텍사스 레인저스전 선발 등판으로 빅리그 데뷔전을 치렀는데, 텍사스 타선이 워낙 강해서 그랬는지 2이닝 7피안타 1볼넷 4K 6실점으로 빅리그의 쓴맛을 맛보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6월 10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 선발로 빅리그 두번째 등판을 하였는데 4이닝 4피안타 1볼넷 7K 2실점을 기록하며 나름 괜찮은 투구를 선보였다.

7월 3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 6이닝 2실점. 탈탈 털린 첫 경기를 제외하면 매 경기 2실점 이하로 꾸준하다.

하지만 젊은 신인 투수의 이닝을 급격히 늘릴 수 없다는 구단의 방침 하에 조만간 마이너리그로 내려 이닝 보호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토미 존 수술을 받은 강속구 투수라 부상 위험도가 높기도 하고.

그러나 마르코 곤잘레스, 에머슨 핸콕 등 선발 투수 대체자들이 모두 시즌아웃됐고 우가 던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면서 시즌을 완주하게 되었다.

최종성적은 18선발 4승 5패 87⅔이닝 ERA 4.21 탈삼진 93개로, 메이저리그 데뷔 시즌으로는 준수했다.

2.1.2. 2024 시즌

시범경기 중 팔꿈치 부상이 발생해 IL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그러나 토미 존 수술을 받지 않고 5월 10일 오클랜드전에서 복귀해 4⅓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첫 승을 챙겼다.

5월 21일 양키스 원정경기에 선발 등판해 6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으며 2승을 달성했다.

6월 6일 오클랜드 원정경기에서 6이닝 무실점 승리투수가 되었고, ERA를 1.07까지 끌어내리면서 '시즌 첫 6경기'의 구단 역대 신기록을 세웠다. 기존 기록은 1995년 랜디 존슨의 ERA 1.21. 게다가 건강을 우려해 투구수 60~80구로 칼같이 끊어주고 있는데도 6이닝씩을 소화하고 있다.

3. 플레이 스타일

파일:브라이언우포심패스트볼.gif
포심 패스트볼
파일:브라이언우싱커.gif
싱커
파일:브라이언우컷패스트볼.gif
컷 패스트볼
파일:브라이언우슬라이더.gif
슬라이더
파일:브라이언우체인지업.gif
체인지업

Scouting grades: Fastball: 60 | Slider: 50 | Changeup: 50 | Control: 50 | Overall: 50

2023 시즌 기준, 전체 투구 중 패스트볼이 72%[2]로 소위 말하는 직구 일변도 투구를 한다. 성향이 공격적이기도 하지만, 빅리그 콜업이 예상보다 빨라 마이너리그를 짧게 뛰면서 변화구를 연마할 시간이 부족해 패스트볼 위주의 피칭을 할 수밖에 없었다는 현지 분석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단조로운 레퍼토리임에도 이 패스트볼이 95마일 안팎에 피안타율 2할대 초반의 강력함을 지녀서 빅리그에서 9이닝당 탈삼진 9개를 넘기는 활약을 했다. 그럼에도 더 좋은 투수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변화구를 연마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현재 던지는 슬라이더, 체인지업 등의 변화구는 지금 당장의 완성도는 낮지만 미래에 플러스 구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불안 요소로, 첫째는 내구성. 데뷔전 토미 존 수술을 받았고 대학 시절을 포함해도 시즌 100이닝을 던져본 적이 없기 때문에 내구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둘째는 우타자에게 강하지만 좌타자에게는 매우 약한 극단적인 스플릿을 보였다.[3]

4.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브라이언 우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c4ced4>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3 SEA 18 4 5 0 0 87⅔ 4.21 75 13 31 7 93 1.209 96 1.0 0.6
MLB 통산
(1시즌)
18 4 5 0 0 87⅔ 4.21 75 13 31 7 93 1.209 96 1.0 0.6

5. 여담

  • 성이 우 씨인데 표기가 Woo라서 한국계라는 추측이 있었다. 구글 연관검색어에도 Bryan Woo Korean이 뜰 정도인데, 사실은 아버지가 화교 출신이라고 한다. 중화권에서는 우를 Wu로 표기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름의 표기와 발음은 본인의 선택이 우선이기에 Woo라고 표기한다고 해서 어긋난 것은 아니다.[4] 특히 역사적으로 이민자들의 새 터전 역할을 해온 미국은 자신의 성에서 스펠링을 빼서 쉽게 바꾸거나 다르게 부르는 것이 매우 흔하다.[5]

[1] 로비 레이의 부상으로 신인 브라이스 밀러를 올렸는데 이번엔 마르코 곤잘레스까지 부상을 당하며 어쩔 수 없이 급하게 올리게 되었다.[2] 포심 47%, 싱커 25% (베이스볼 서번트 기준). 이는 80이닝 이상 투수 중 리그 1위이다.[3] 2023 시즌 우타자 상대 179/226/268/0.495 좌타자 상대 283/389/540/0.928[4] 대한민국에서도 같은 성씨지만 여권의 로마자 표기는 제각각인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는 당연히 개인의 선택이 우선시된 결과다. 예를 들어 허 씨는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Heo가 옳은 표기이지만 Hur, Huh, Her 등의 표기를 쓰는 사람도 많다.[5] 가령 스티븐 콜베어처럼 Colbert(콜버트)라는 아일랜드 성씨를 그의 아버지가 그저 아일랜드 대기근의 기억에서 벗어나고 싶어 프랑스식 발음인 콜베르(콜베어)로 부르자고 하여 그렇게 자리를 잡게 된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