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21:40:30

변신기차 로봇트레인S2


파일:channels4_banner (1).jpg
파일:featured_channel.png
1. 개요2. 스토리3. 예고편4. 주제가
4.1. 오프닝곡4.2. 엔딩
5. 방영 시간6. 등장 캐릭터
6.1. 기존 등장 캐릭터6.2. 추가된 등장 캐릭터
7. 평가 및 비판8. 여담

1. 개요

스튜디오 바주카가 제작한 3D 애니메이션으로 로봇트레인의 후속작이다. 로봇트레인 시즌1과는 다른 세계관의 작품이라 연결점은 거의 없다.[1]

2. 스토리

평화로운 세상인 레일 월드에는 도움이 필요한 곳이면 언제든지 달려가는 변신 기차들이 있다.
특별한 재능으로 친구들을 도와주는 든든한 레일와치.
케이, 지니, 알프, 빅토르, 맥시까지, 멋진 팀워크와 화려한장비로 펼쳐지는 그들의 대활약을 기대하라!

3. 예고편

4. 주제가

4.1. 오프닝곡

  • 로봇트레인 GO![2]
노래:TULA
작사:Manny Kim
작곡:김태진/김정아
기타:고태영
녹음/믹스:엄찬용(리드사운드)
마스터링:채승균(소닉코리아)
로봇트레인! (go!)
힘차게달려
끝없이 펼쳐진 레일 위를 날아
어두운 터널 지나 한계를 넘어

로봇트레인! (Jump!)
멈출수 없어
내 안에 닫혀진 문을 열고
찬란히 빚나는 꿈을 향해
레일와치,우리는 로봇트레인!

Friends 너와 나 서로 달라도 친구가 되는거야
Dream 마음속 깊은 곳 꿈을 믿는거야
Always Together 힘든 어제는 뒤로
끝없이 펼처진 우리의 내일로 (달려가자!)

로봇트레인!(GO!)
힘차게 달려
끝없이 펼쳐진 레일 위를 날아
어두운 터널 지나 한계를 넘어

로봇트레인! (Jump!)
멈출수 없어
내 안에 닫혀진 문을 열고
찬란히 빚나는 꿈을 향해
레일와치,우리의 친구
언제나 우리는 로봇트레인

4.2. 엔딩

  • 변신기차 로봇트레인!
작사:황규동/김정아
노래:박영탁
기타:고태영
작곡:황규동/김정아
Water land,Sunny land
힘을모아
Mountain land,Wind land
우리는 로봇트레인!
함께 달려가자
빛나는 레일위로
이젠 마음을 열어봐
모두 친구가 되지
케이!알프!빅토르!
든든한 친구들
지니,맥시,개리도
언제나 함께 할거야
항상 힘이 들땐 함께있어
포기하고 싶을때도
우리 함께 하는 꿈을 향해
달려갈수 있는거야
누구도 우리의 길을 막을순 없어
변신기차 로봇트레인!
just GO GO GO!

5. 방영 시간

2018년 9월 16일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7시 10분마다 SBS에서 방영.
2018년 12월 2일 1부 종료.
2018년 9월 20일부터 매주 목요일 오후 6시 투니버스에서 방영.
2018년 12월 6일 1부 종료.

2018년 매주 월요일 오전 9시에 디즈니채널에서 방영.

6. 등장 캐릭터

파일:로봇트레인맘카페프로모션_캐릭터소개.jpg

6.1. 기존 등장 캐릭터

* 케이

성우: 김율.[3]
파일:CH23696294_w666_h968.jpg파일:로봇트레인 디자인변경.png
포기를 모르는 긍정의 아이콘
본작의 주인공. 레일 월드에서 가장 빠른 기차다.

케이의 이러한 속도는 고성능 엔진,[4] 소닉 부스터,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소닉 블레이드의 성능에서 비롯된다.

전작 케이와 달리 간지가 떨어지고 성격이나 생각, 행동이 많이 어려졌다.
그 탓인지 몰라도 케이의 활약이 전작에 비해 꽤나 많이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물을 무서워한다. 그래서 수상 스키같은 유닛 장비를 장착해야 물에서도 속도를 낼 수 있다.

전작에서는 메인 컬러가 남색였지만 본작에선 하늘색으로 변경 되었다.

* 알프

성우: 최승훈.[5]
파일:CH81523162_w666_h968.jpg
꼼꼼하고 강한 책임감의 소유자.
레일와치의 만능 수리공 기차이자 다정하고 꼼꼼한 성격의 소유자.

작중, 유닛의 대개수를 받는다. 그런데 카고의 길이가 상당히 길어졌다.

전작에선 에어리어 A의 로봇트레인이였지만 본작에선 레일와치의 로봇트레인으로 나온다.

본작으로 넘어오면서 차체 색 무늬 배치가 달라졌다.

여담으로 신중하고 감정적인 성격이였던 전작과 달리, 거절을 잘하지 못하는 너무 다정한 성격으로 나온다. 또한, 얼음장사꾼 로봇트레인인 토니의 제자로 나온다(...)

본작에서 새로 받게 된 유닛 능력은 알프 레드 윙스신형 스파이더 루프이다.

* 덕

성우: 홍범기.[6][7]

파일:워터랜드 덕.jpg
전작에선 로봇트레인이자 주연이였던 트레인. 안타갑게도 본작에서 신규 주연 캐릭터[8]들의 등장으로 엑스트라로 밀려나고 말았다. 워터랜드에서 거주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9]


* 샐리

성우: 김도희.[10]

파일:써니랜드 샐리.jpg
전작에선 로봇트레인이자 주연이였던 트레인.
본작에서 안타갑게도 신규 주연 캐릭터들의 등장으로 덕과 같이 엑스트라로 밀려나고 말았다. 다만 이번 레귤러들과 달리 전작 팬들의 인기는 여전해서 샐리가 메인으로 등장하는 에피소드는 타 에피소드와 비교조차 되지 않을 정도로 조회수가 매우 높다. 그나마 가장 높은 에피소드와도 2배 차이날 정도.

써니랜드에서 거주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11]

전작과 마찬가지로 베키라는 소형 보조 트레인도 같이 다닌다.


* 빅토르

성우: 소정환.[12]

파일:CH68872519_w666_h968.jpg
무뚝뚝하지만 마음만은 따뜻한 츤데레. 레일월드에서 가장 힘쎈 기차다.
레일와치의 힘 담당 기차.

전작에서 에어리어 V의 로봇트레인이였지만 본작에선 레일와치의 로봇트레인으로 나온다.

본작으로 넘어오면서 차체 색깔이 검정&빨강에서 파랑&주황색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성격도 달라졌는데 전작에서는 근엄하고 강인한 성격이였지만 본작에서 무뚝뚝한 얼굴의 소유자지만 마음만은 따뜻한 츤데레스러운 성격으로 나온다(...)

본작에서 새로 받은 유닛 능력은 드릴탱크뿐이다(...)

* 듀크

성우: 이현.[13]

파일:로봇트레인S2듀크.png
로봇트레인에서는 바이러스로 인한 악역. 어찌된 것인지 본작에서는 전작에서 있는지도 몰랐던 입이 생겼으며 작중 내에서는 악당이 아닌 반동인물에 가깝게 나온다. 또한 본작에서 트레인엑스의 부하이자 엑스패밀리의 일원라는 설정이 생겼다.

비록 전작 이후로 아군이 된 것도 있었지만 근엄한 분위기의 외모와는 걸맞지 않는 개그캐로 전락해 버린 것이 아쉽다는 평이 많다(...) 설정변경으로 인해 고철 처리장에 쳐박혀 있었다는 설정으로 바뀌었다.[14]

또한 성격도 역시 여타 캐릭터들과 마찬가지로 바뀌어졌는데 무뚝뚝하고 말을 한다 해도 험하게 말을 하는 성격이였던 전작과 달리 본작에선 전형적인 흔하디 흔한 웃긴 악당스러운 성격으로 나온다(...)

전작에서 많이 쓰였던 무기 유닛은 본작부터 아예 삭제되면서 나오지 않는다...[15]
  • C 스톤
성우: 김다올.[16]
전작에서는 에어리어 센트럴의 트레인이였지만 본작에서 써니랜드에서 레일러들에게 아이스크림를 장사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디디
성우: 박지윤.[17]
전작에서는 에어리어 센트럴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지만 본작에서 써니랜드에서 레일러들에게 스무디를 장사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루소
성우: 강성우.[18]
전작에서는 에어리어 A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던 쉼터 주인 트레인. 본작에서는 써니랜드에서 물건들을 배달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캡틴 J
성우: 김정훈.[19]
전작에서는 에어리어 센트럴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지만 본작에서 써니랜드에서 레일러들에게 야외캠핑 활동을 진행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쟈니
성우: 홍범기.[20]
전작에서는 에어리어 센트럴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지만 본작에서 써니랜드에서 음악밴드를 진행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조르쥬
성우: 불명.[21]
전작에서 에어리어 A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던 트레인. 본작에서부터 써니랜드에서 토마토농장을 관리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벵센
성우: 없음...[22]
전작에선 존재감이 거의 없었을 정도로 비중이 매우 적었던 캐릭터. 본작에서는 그나마 배경 까메오 등장 비중이 조금 높아졌다. 써니랜드에서 거주한다.
  • 미하일
성우: 김정훈.[23]
전작에서 에어리어 A의 문지기였던 트레인. 본작에서는 윈드랜드에 있는 광산에서 보석들을 운반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안드레
성우: 김정훈.[24]
전작에서 에어리어 센트럴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던 트레인. 본작에서 윈드랜드에서 거주하는 서사 트레인으로 나온다.
  • 테오
성우: 김정훈.[25]
전작에서 에어리어 D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던 캐릭터. 본작에서 윈드랜드에서 거주하는 신사 트레인으로 나온다.
  • 잔느
성우: 유영.[26]
전작에선 에어리어 S의 문지기였던 트레인. 본작에서는 윈드랜드의 지킴이 트레인으로 설정변경을 맞이하고 말았다.
또한 본작으로 넘어오면서 요리를 못 한다는 설정, 워터랜드의 꽃밭 정원사 트레인인 미셸의 손녀라는 설정이 추가 되었다.
성우: 불명.[27]
전작에서 에어리어 센트럴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던 제빵 트레인. 엉클 T라는 이름으로 나왔었다. 본작에서는 톰으로 개명되어 윈드랜드에서 레일러들에게 빵을 제공해주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토토
성우: 불명.[28]
전작에서 에어리어 센트럴의 극장트레인이였지만 본작에서는 레일월드에서 에너지볼을 운반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베니
성우: 강성우.[29]
워터랜드에서 에너지볼을 운반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말을 하지 못했던 전작과 달리 본작에서는 정상적으로 말을 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미셸
성우: 이계윤.[30]
전작에서 에어리어 S의 상인트레인이였지만 본작에서 워터랜드에 있는 꽃밭 정원을 관리하는 정원사 트레인으로 나온다.
본작으로 넘어오면서 윈드랜드의 지킴이 트레인인 잔느의 할머니라는 설정이 추가 되었다(...)
  • 디에고
성우: 김다올.[31]

파일:로봇트레인 디에고.jpg
전작에서 빨간색 차체에 에어리어 V의 문지기였던 트레인. 코만단테라는 이름으로 나왔었다. 본작에서는 파란색으로 도색되고 이름도 디에고로 개명되어 워터랜드에 있는 선착장의 선장 트레인으로 나온다.
  • 막시무스
성우: 불명.[32]
전작에서 에어리어 D의 문지기였던 트레인. 원래는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뭐든지 실력으로 평가하는 신중한 면이 있었던 트레인이였지만 본작에서는 마운틴 랜드에 있는 벌목장 작업반장이자 엄격하고 사나이스러운 성격의 트레인으로 나온다(...)
  • 비토
성우: 김광국.[33]
전작에서 에어리어 D에서 거주하는 트레인이였지만 본작에서는 같은 에어리어 D의 문지기인 막시무스와 마찬가지로 마운틴 랜드에서 거주함과 동시에 에너지 화산의 관리인 트레인으로 설정변경을 맞이하고야 말았다(...)
  • 모리스
성우: 불명.[34]
전작에서 에어리어 A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던 치즈 공장장 트레인. 하인리히라는 이름으로 나왔었다. 본작에서는 모리스로 개명되어 마운틴 랜드에 있는 벌목장 트레인으로 나온다.
  • 보리스
성우: 불명.[35]
전작에서 에어리어 A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던 도구 장인 트레인. 프란츠라는 이름으로 나왔었다. 본작에서는 하인리히와 마찬가지로 보리스로 개명되어 벌목장 트레인으로 나온다.
  • 필리페
성우: 정승욱.[36]
전작에서 에어리어 센트럴에서 거주하였던 트레인. 호커라는 이름으로 나왔었다. 본작에서는 필리페로 개명되어 마운틴 랜드에서 골동품들을 운반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이고르
성우: 김다올.[37]
전작에서 에어리어 V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던 예절관 트레인. 고사르라는 이름으로 나왔었다. 본작에서는 이고르로 개명되어 마운틴랜드에서 에너지볼을 운반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 토니
성우: 불명.[38]
전작에서 에어리어 센트럴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던 선물 트레인. 산이라는 이름으로 나왔었다. 본작에서는 토니로 개명되면서 마운틴랜드에서 얼음장사꾼 로봇트레인이자 알프의 스승으로 나온다(...)
성우: 김정훈.[39]
전작에서 에어리어 V의 트레인들 중 하나였던 트레인. 반야라는 이름으로 나왔었다. 본작에서 벅으로 개명되면서 레일월드의 대장장이 트레인으로 나온다(...)
  • 스텔라
성우: 유영.[40]
전작에서 에어리어 V의 트레인들 중 하나이자 점성술사였던 트레인. 본작에서는 오래전에 써니랜드를 설계해서 만들어준적이 있는 장본인이자 스타랜드에서 거주하는 트레인으로 나온다.

6.2. 추가된 등장 캐릭터

* 지니
성우: 김보영.[41]
파일:CH53032953_w666_h968.jpg파일:로봇트레인 썸넬.jpg
창의적이고 거침없는 레일와치의 브레인.
레일와치의 발명가이자 과학자 트레인.
로봇트레인 공식 유튜브의 2d애니메이션에서 썸네일에 잠깐 나왔다. 작 중에서 발명을 주로 하는 모습을 보이는 데 케이한테 하늘을 나는 보드를 만들 정도면 발명가이자 과학자로서 지식이 무척 뛰어난 편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잘난줄 알면서, 생각이 짧고, 뭐든지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는 면도 보여준다.
여담으로 어린 친구들 사이에서 전작의 샐리와 비교하면서 샐리가 똑똑하단다 지니가 더 똑똑하다 논쟁이 펼쳐지기도 했다.
전작의 샐리의 포지션을 잇는 캐릭터.


* 개리
성우: 김기현.[42]
파일:CH67247613_w666_h968.jpg
풍부한 경험과 지식의 소유자.

레일와치의 정신적 지주인 로봇트레인이며 옛날 이야기만 하면 수많은 얘기를 늘어놓는 트레인(13-1화에서 LA에서부터..같은 대사를 한다). 레일월드에서 오래 지내고 트레인들을 와치타워로 모았다.
전작의 제프리의 포지션을 잇는 캐릭터.

파일:게리 유닛.jpg
파일:게리 유닛 2.jpg
해외판 3기에서 지니가 만들어준 카고능력이 생긴 적이 있었지만[43] 아쉽게도(?) 에피소드 후반부에 절벽 아래로 떨어지고 말았다.

* 맥시
성우: 강새봄.
파일:CH41406896_w666_h968.jpg
호기심 많고 에너지 넘치는 막내.
신입이라서 약간 어린감이 매우 있다. 그 때문인지 자기 자신을 3인칭화해서 부른다.

능력은 위급상황시 모터가 돌아가며 에너지가 생기는것으로 보이는데 선로 위에서 속도가 전작 1기의 케이의 속도에 버금갈 정도로 엄청나게 빨라짐과 동시에 로봇트레인 상태에서는 어떠한 무거운 장애물도 한 번에 다 들고 다닐 정도로 힘도 엄청나게 세지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44] 케이와 단짝친구로 서로가 함께 놀아줄 정도로 사이가 좋다. 디자인이 매우 귀엽고 예쁜 편이라 인기있는 캐릭터다.
전작의 덕의 포지션을 잇는 캐릭터다.

파일:유닛 창작 맥시.jpg
해외판 3기에서 지니가 발명해 만들어준 전용 유닛 능력을 얻게 되었다. 얻게 된 유닛 능력은 장착시 하늘을 날게 해주는 능력이다.
  • 모스
성우 : 홍승효
파일:로봇트레인 모스.png
엑스패밀리의 일원. 자칭 '똑똑한 모스'라고 한다. 근데 막상 보면 허접이다.
  • 도스
성우 : 김다올
파일:로봇트레인S2 도스.png
엑스패밀리의 일원. 자칭 '잘생긴 도스'라고 자부. 근데 보면 그렇지가 않다...

모스와 도스는 로봇트레인 시리즈 역사상 최초로 등장한 기본 능력과 유닛 능력이 양쪽 다 아예 전무한 무능력자 로봇트레인들이라 할 수 있다... 둘 다 차체에 달린 에너지볼 수납함을 제외한 기본 능력은 없는데다가 본인 카고 내부에 기본 유닛이 아예 없기 때문...[45]
게다가, 흔하디 흔한 전형적인 멍청하고 못생긴 부하들의 포지션으로 나온 캐릭터들이라 2차 창작에서 존재감이 멸종에 가까울 정도로 인기가 아예 없다. 이 점은 후술할 레일러들도 마찬가지.
  • 트레인엑스
파일:트레인 엑스.jpg
성우: 김환진.
본작에서 새로 등장한 메인 빌런. 엑스 패밀리의 보스로 사실상 최종보스 유력 후보인 셈이였었다. 그러나 비중은 은근 병풍이다 싶을 정도로 얼마 없다(...)

파일:변신기차 로봇트레인엑스.jpg
작중 중반부에 전용 거대메카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46]

여담이지만 작중에서 묘사되는 기본 차체 크기는 전작의 덕과 샐리보다는 큰 편이지만 다른 로봇트레인들보다 작은 편에 속한다.

본인들의 직속부하들인 모스&도스(듀크 제외)와 달리 캐릭터 디자인이 잘 만들어졌는지 2차 창작에선 그나마 인기가 조금 있는 편이다.[47]
  • 호세
파일:호세.png
파일:변신기차 로봇트레인 호세.jpg
성우: 이상호.
전작에서는 출연이 없던 캐릭터. 워터랜드의 안전요원 트레인으로 나온다. 맥시가 장난을 치던 도중 레일러 뱃지를 호세한테 붙어버려서 어쩌다가 로봇트레인이 되었다. 변신했을 땐 샐리하고 크기가 비슷하다.
파일:로봇트레인 잭.jpg
호세와 마찬가지로 전작에서 출연이 없었던 캐릭터다. 윈드랜드에서 거주하는 갈색의 트레인이다. 에너지볼을 운반하는 역할로 나온다.
  • 레일러들
파일:레일러ㅅㄲ들.jpg
시리즈 최초의 인간 캐릭터들. 레일월드의 4개의 랜드[48]들에서 거주하며 일꾼 역할을 하는 캐릭터들이다.

캐릭터 디자인을 보면 영 부실하다고 생각될 정도로 개성이 부족한 캐릭터들이다...[49][50]

본작의 유치한 분위기에 기여한 점과 로봇트레인이라는 주제에 어울리지 않는 설정 때문에 전작 1기 팬덤들 사이에서 아예 없는 캐릭터 취급받는 캐릭터들이다.[51]이 점은 서술할 모스와 도스도 마찬가지.
  • 돌로
파일:레일와치 돌로.jpg
성우: 유영.

레일와치의 보안 시스템 AI 로봇.
레일월드에 문제가 생기면 모니터 화면[52]을 통해 화면 속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지식 정보도 알려주고 레일월드에 있는 특정 플랫폼[53]들에서도 시스템을 담당한다.
  • 샤론
파일:로봇트레인 3기 샤론.jpg
해외판 3기에서 첫 등장한 노란색의 여성 트레인. 마운틴랜드에서 거주한다.
  • 트레인보
파일:트레인보.jpg
해외판 3기에서 첫 등장한 마술사 트레인.
작중에서 여러가지 마술묘기를 보여주었다.

* 레조
파일:요정 레조.jpg
해외판 3기에서 첫 등장한 요술램프의 요정 트레인.
작중에서 맥시의 소원을 들어주었다.
  • 쥐 로봇
파일:쥐 로봇.jpg
해외판 3기에서 1회성으로 출연한 미니 트레인.
윈드랜드에서 광산 레일러가 우연히 발견한 미니트레인이다.

7. 평가 및 비판

아무래도 본래 제작사가 분열되고 다른 제작사로 판권이 넘어간 영향인지 본 작품 세계관과 플롯 자체가 설정변경이 대거 이루어져 현저히 낮아진 퀄리티로 인해 전작 팬들에게 망작 이상으로 혹평받고 있다.

전작과 다르게 변신장면에서의 퀄리티가 전작에 비하면 떨어졌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매우 어색하다. 변신을 한다지만 그냥 털썩 일어나는것 같이 느껴질 정도다.[54]

본작에서부터 전작의 기존 성우진들이 대거 강판되면서 새로운 성우진들이 대거 캐스팅되었는데 해당 성우들의 목소리 음색이 전작에서부터 출연한 기존 캐릭터들의 스타일과 어울리지 않아 이상하다는 혹평을 받고 있다.

스토리와 플롯의 구성도 영유아층에게 맞춰졌는지 전작에 비해 일상물 수준으로 매우 가벼워지면서 너무 재미가 없어질 정도로 퀄리티가 떨어졌다.[55]

전작에서부터 출연한 캐릭터 간의 설정&포지션 변경도 다소 매치가 맞지 않는 느낌이 많이 드는데 예시로 전작에서 엑스트라였던 얼음장사꾼 토니[전작]는 변신을 아예 못하는 엑스트라 트레인으로 나왔었는데 본작에서 변신하는 로봇트레인으로 나온다. 능력을 숨긴건지 급하게 끼운 것인지 몰라도 너무 어이상실이다.[57]
또 다른 예시로 전작에서 에어리어 D의 문지기 트레인이였던 막시무스가 본작에서 마운틴 랜드에서 거주하는 엄격하고 사나이스러운 성격의 벌목장의 작업반장 트레인으로 나온 점도 원래의 캐릭터성과 괴리감이 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작에서 주연 로봇트레인이였던 "덕"과 "샐리"가 본작에서 변신기능이 없는 엑스트라 트레인으로 설정변경한 점도 매우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많다.[58]

세계관 설정 변경도 역시 혹평받는데 전작의 세계관인 "트레인 월드"와 관련된 설정들이 본작에서 모두 삭제된 점도 반응이 매우 나쁘다.[59]

총평은 전작에서 캐릭터들만 가져오고 그래픽만 높아졌을 뿐 현저히 낮아진 퀄리티 때문에 까이고 있으며 사실상 후속작인 척 하는 리부트작에 가까우며 전작의 세계관, 스토리, 설정, 캐릭터들을 무시한 망작이라고 볼 수 있다.

8. 여담

유튜브공식 홈폐이지에서 로봇트레인 S1 당시의 제작총괄당당인 '박경열'의 자식이라고 밝힌 사람이 S1과 다르게 로봇트레인이 왜 이렇게 변했는가에 대해 댓글을 달았다.
회사가 교체되었기 때문에...(중략)
(회사내의)무슨 분열로 인하여 다른회사로 넘어갔습니다(중략)
아버지는 2기를 보시며 한숨을 쉬고..

라고 한다. 정확하게는 알 수 없지만 정황상 회사에 문제가 생겨서 이렇게까지 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유튜브 공식 계정 관리자가 해당 댓글에 좋아요를 눌러준 상태다.

유튜브 댓글이 있었지만 유튜브 정책 변경으로 댓글이 차단된 상태.
캡쳐본

본작부터 1기의 트레인 교관인 제프리는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60]

의외로 패러디가 많다. 대표적인 예시가 듀크, 모스, 도스의 로켓단 패러디.

해외판 한정으로만 2기 2쿨을 3기라고 칭한다.
[1] 즉, 사실상 리부트작이다.[2] 엔딩곡과 마찬가지로 정식 음원으로는 나오지 않았는데 투니버스에서 발매한 디지털 음반인 '신비 인기동요' 2번 트랙 '출동! 119&112'로 개사되어 나왔다.[3] 전작에서는 남도형.[4] 전작에서는 '마그네틱 기관'[5] 전작에서는 이동훈.[6] 전작에서는 오인성.[7] 듣다 보면 띠띠뽀 띠띠뽀의 디젤과 닮은 목소리다.[8] 지니&맥시.[9] 전작에서는 에어리어 D.[10] 전작에서는 배정미.[11] 전작에서는 에어리어 S.[12] 전작에서는 오인성.[13] 전작에서는 유동균.[14] 모스와 도스도 같이 있었고 트레인 엑스가 데려와서 다시 되살렸다.[15] 그 대신 델타 보드는 그대로 등장하지만...[16] 전작에서는 오인성.[17] 전작에서는 김선혜.[18] 전작에서는 남도형.[19] 전작에서는 유동균.[20] 전작에서는 남도형.[21] 전작에서는 이동훈.[22] 당연히 본작에서도 대사가 없는 배경 캐릭터로 출연했으니 성우가 없다.[23] 전작에서는 유동균.[24] 전작에서는 오인성.[25] 전작에서는 오인성.[26] 전작에서는 김선혜.[27] 전작에서는 이동훈.[28] 전작에서는 오인성.[29] 전작에서는 이동훈.[30] 전작에서는 배정미.[31] 전작에서는 남도형.[32] 전작에서는 이동훈.[33] 전작에서는 유동균.[34] 전작에서는 오인성.[35] 전작에서는 유동균.[36] 전작에서는 남도형.[37] 전작에서는 오인성.[38] 전작에서는 유동균.[39] 전작에서는 이동훈.[40] 전작에서는 김선혜.[41] 목소리를 듣다보면 요괴워치주미래와 닮은 느낌이 많이 난다.[42] S2에 출연한 성우 중 김환진, 이현과 더불어 몇 안 되는 외부 성우이자 최고참.[43] 작중에서 묘사된 능력은 카고에 달고 달릴 때 에너지볼을 수납하게 해주는 변신기능과 로봇트레인 상태로 위에 탑승할시 탑승보드 형태로 변신해 빠르게 달려가게 해주는 2가지 변신 기능이 있는 카고능력이다.[44] 작중에서 보여지는 묘사로는 같은 레일와치 멤버인 빅토르보다도 훨씬 세다!![45] 게리는 카고 유닛 능력이 없지만 기본 차체 뒤에 있는 굴뚝부분을 뽑아내서 소방호스로 화재로 발생한 불을 끄는데 쓰이는 능력이 존재하고 지니도 마찬가지로 카고 능력이 없지만 지식이 아주 뛰어난 발명가에 속해 유닛과 무기, 발명품 제작은 어렵지 않게 해낼 수 있다. 맥시도 2기 당시 때 가진 능력이라곤 위급상황이 생길 때 마다 차체에 달린 모터가 돌아가면서 이동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거나 어떠한 무거운 짐들도 어렵지 않게 들게 되는 능력밖에 없었지만 해외판 3기에서 지니가 발명해 만들어준 유닛 능력을 얻게 되었고 트레인 엑스는 전용 카고가 드러난 적이 일절 없지만 그 쪽 역시 발명가로서 능력이 무척 뛰어난 편에 본인의 거대한 전용 메카를 타고 다니는 편이지만 모스와 도스는 그런 것도 없다.[46] 크기를 보면 웬만한 대형 로봇트레인들 정도는 완전히 압도할 정도의 엄청난 높이와 넓이를 자랑한다!! 단단한 내구성은 기본이고 자잘한 기능들은 덤이다.[47] 인터넷으로 로봇트레인 팬아트들을 검색할때 트레인 엑스 팬아트를 검색하게 되면 검색결과에 트레인 엑스의 팬아트들이 조금이나마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48] 써니랜드, 윈드랜드, 마운틴 랜드, 워터랜드.[49] 귀가 묘사가 안 된것은 물론이고, 머리카락도 구현이 안 되어 있다...[50] 그나마 몇 몇 에피소드에서 출연하는 특정 레일러들은 이름과 성격이 제대로 부여되어 있긴 하다.(예시 = 케빈, 루카, 어거스틴 등.)[51] 때문에 로봇트레인 팬아트를 검색해서 나오는 결과에도 레일러들과 관련된 팬아트가 단 한 개도 나오지 않는다.[52] 근데... 이 모니터 화면... 전작을 즐겨본 팬이라면 알겠지만 케이 차고지에 있는 플랫폼들 중 하나인 메인 플랫폼의 모델링을 거의 그대로 복붙해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61][53] 예시 = 세차장.[54] 철컥 소리만 나는 정도의 빈약한 효과음은 덤.[55] 내용을 살펴보면 로보카 폴리를 비롯한 여타 방영된 유아용 애니메이션들이 대부분 연상될 정도다.[전작] 선물트레인 산.[57] 전작에서 거주하는 트레인들중, 몇몇은 실린더부분이 로봇트레인들과 비슷한 구조로 되어있는 트레인들도 있는데 아무래도 이러한 외관상 공통점을 이용한것 같다.[58] 전작 로봇트레인때 덕과 샐리도 로봇트레인으로서 같이 화려하게 활약했던 점을 생각하면 전작 팬들 입장에선 매우 실망할만 했다.[59] 실제 2기 방영 당시 때 전작 1기 팬들의 반응은 "차라리 기존 트레인월드 세계관의 설정 유지하고 신규 트레인들은 신대륙 트레인으로 나와주지"라는 반응이 대부분일 정도였다.[60] 그의 카고는 본작에서 딱 한번 까메오 출현하긴 했다. 트레인 엑스가 출현하는 에피소드에서 나오는데 폐차장에 있는 고철들 사이에서 색이 바래진 채 구석에 넣여져 있는 걸 볼 수 있다...파일:폐차장의 제프리 카고.. ㅠㅠ~~.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