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23:13:20

배정미/출연작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배정미
1. 개요2. 목록
2.1. 애니메이션2.2. 외화2.3. 특촬물2.4. 게임2.5. 기타2.6. 노래

1. 개요

KBS 23기 성우 배정미의 출연작을 정리한 문서.

2. 목록

범례
붉은 머리를 가진 캐릭터(○)
츤데레 캐릭터(#)
주인공 및 메인 캐릭터(볼드)

2.1. 애니메이션

2.2. 외화

2.3. 특촬물

2.4. 게임

2.5. 기타

  • 2016 국민의 선택
  • PICA PC방 안내멘트
  • 모질게 토익 Economy LC 1000제 안내멘트
  • 일부 모의고사 듣기평가 안내방송[44]

2.6. 노래



[1] KBS 방영판의 성우는 박영남.[2] 2기때는 타이틀 히로인 자리를 황란에게 물려줬다.[3] 여담으로 니코니코 동화에 올라왔던 각국의 키라 웃음소리 모음 동영상에서 한국어판 영상에 짤막하게 대사가 나왔는데 '니아 목소리 좋네?'라는 코멘트가 달렸다. 링크[4] 투니버스판 폭주 디지몬 특급에서는 정혜옥.[5] 시즌 1에서는 윤소라.[6] 원래 MBC에서 귀여운 앤지(80년), 꼬마탐정 쁘띠안제(80년대 후반)라는 제목으로 방영된 작품으로 달의 요정 세일러 문이 재심의 문제로 방영이 늦어짐에 따라 비어버린 저녁 시간대를 땜빵하려고(...) 말괄량이 앤지라는 이름으로 편성됐다. 웃기게도 MBC에서 이 작품이 방영된 것도 이유는 다르지만 땜빵이 목적이었다(...) MBC 방영판에서 이 역할을 맡은 성우는 송도영.[7] 원래 파리스는 이계윤의 역할. 허나 1화 중간에서 서로의 육체가 바뀌어 파리스의 몸에 아리타의 영혼이, 아리타의 몸에 파리스의 영혼이 들어간 꼴이 된다. 이후 아리타 포랜드는 그녀 대신 쿠데타의 희생양이 된 시녀 밀라노 엔트라시아의 이름을 써서 신분을 위장하고 파리스는 졸지에 공주가 되어버렸다.[8] 단풍저택에서 수수께끼를 풀다 편.[9] 진범의 비명소리 편.[10] 밀실의 수수께끼 풀이쇼 편.[11] 에그엔젤 코코밍은 후배인 은정이 담당했다.[12] 실제 역사에선 리아 드 보몽은 데옹 드 보몽이 여장할 때 쓰던 가명.[13] 2기 한정. 3기부터는 곽윤상이 맡았다.[14] 이 외에도 잡다한 단역들을 상당히 많이 담당했는데 도가 너무 지나치다는 평가가 많다.[15] 1933년 디즈니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16] 디즈니판 아기 돼지 삼형제는 '빨간 망토와 나쁜 늑대'에서도 등장하는데 이 때는 다른 성우가 맡은 것으로 추정된다. 목소리가 다르다.[17] TVA의 성우는 2화 한정으로 김혜미, 이후 우정신이 고정으로 담당. 극장판에서 우정신은 카르디아를 맡았다.[18] 1기 후반부 분량부터 이현선의 대타로 들어갔다.[19] 챔프TV판과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박신희.[20] 재미있게도 이 작품이 애니맥스에서 방영되기 11년 전에 정발된 원작 졸업 ~Graduation~에선 히로인인 유소연(투니버스에서 방영된 OVA 1, 2편과 애니맥스에서 방영된 3, 4편에선 이름이 윤경, 성우는 박경혜)을 연기했다.[21] 46화 이후 재등장했을 땐 이현선이 맡았다.[22] 재더빙판에서 박지윤으로 교체.[23] 재더빙판에서 김영은으로 교체.[24] 캐릭터 자체가 나이에 비해 성숙하고 독한 면이 있어 90년대 스타일의 소녀 연기가 잘 녹아들어 프리티 시리즈에서 맡은 주연 배역 중 가장 평가가 좋다. 원판 성우는 남자같은 저음 목소리로 연기하는 바람에 안 좋은 평가를 받은 것도 한 몫 했다.[25] 킹 오브 프리즘 시리즈는 현지화가 되지 않았다.[26] 무인편는 이재용, G블레이드 초반부는 김정주.[27] 캐스팅 정보에는 '마지'라는 캐릭터를 맡았다고 되어있지만 그 마지가 단역이고 이 외에도 여러 단역을 맡았다.[28] MBC 방영판에서는 김아영.[29] 참고로 등장인물 중 페르난도 수크레를 남편이 연기한다.[30] 던스트와 사만다의 목소리를 모두 담당했다.[31] 해당 영화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전문 배우가 아닌 현지 주민이다.[32] 성우진 중 유일하게 KBS, SBS 방영판 모두 맡았다.[33] KBS 방영판에서는 서혜정.[34] SBS 방영판에서는 우정신. MBC 방영판에서는 문남숙.[35] SBS 방영판에서는 차명화.[36] KBS 방영판에서는 최덕희.[37] MBC 방영판에서는 박신희.[38]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왕비의 둘째 딸이자 훗날 윈저 왕조 4대 국왕으로 즉위하는 엘리자베스 공주의 동생. 그러니까 한 작품 안에서 엄마와 딸을 같이 연기했다는 소리다...[39] 그나마 비중있게 출연한 특촬물이다. 남편인 오인성지오레인저에서 레드를, 파워레인저 트레인포스에서 최종보스를 맡았다.[40] 가오렌자의 후타로 포지션.[41] 블록버스터: 블랙헤븐부터.[42]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 구버전에서는 김선혜, 또한 설원의 음유시인 구버전에서는 강시현이 맡았으나 이후 스토리 리뉴얼 패치로 모든 컨텐츠에서 본인이 전담하는 것으로 변경 되었다.[43] 남편인 오인성은 같은 작품의 김성식 역으로 참여했다. 부부가 동반 출연한 작품 가운데선 드물게도 서로 연관성이 있는 캐릭터들로 나와서 은근히 성우드립이 흥한다. 하필 드러나는 관계가 막장이라서 더 그런 면도 있다(...).[44] 성덕들은 모의고사 듣기방송 나올 때마다 하악대다 제대로 못 듣는다 카더라. 근데 그건 실력 문제인 거 같은데?[45] 은찬과 라라가 함께한 캣츠 아이의 노래.[46] 처음 이 곡이 삽입됐을 땐 성우 본인이 부른 게 아닌듯하다. 20화 이후 이 곡이 다시 나왔을 때에는 성우 본인이 부른 버전으로 바뀌어서 나온다.[47] 국내 방영 시에 제목이 밝혀지지 않아서 정식 명칭은 아니고 팬들 사이의 통칭.[48] JAM Project의 첫번째 내한 공연 때 정유미, 하미경, 박소라와 함께 게스트 출연해 이 곡을 부르기도 했다.[49] 일본판 제목은 '키라키라 레볼루션'.[50] 채우리의 성우는 배주영, 송온유의 성우는 서지연이나 해당 곡에서 우리와 온유의 파트는 김현지가 불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0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0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