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1:55:38

밤이 되었습니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드라마를 원작으로 하는 카카오페이지 웹소설에 대한 내용은 밤이 되었습니다(웹소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로고 화이트.png
[ 에피소드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width=1000><bgcolor=#000>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width=1000>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U+모바일tv 오리지널
밤이 되었습니다
(2023)
Night has come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메인 포스터.jpg
장르 공포, 미스터리, 판타지, 스릴러, 추리, 서스펜스, 하이틴, 데스 게임, 마피아 게임, 피카레스크
공개일 2023년 12월 4일 ~ 2023년 12월 21일
방영일 2024년 1월 14일 ~
채널 OCN
공개 회차 12부작
러닝 타임 419분 (6시간 59분)[1]
제작사 이오콘텐츠그룹, 이오엔터테인먼트, STUDIO X+U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연출 임대웅[2]
극본 강민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 PD 박종철[3]
촬영
미술 허서형
음악 임하영 }}} }}} }}}
출연 이재인, 김우석, 최예빈, 차우민, 안지호, 정소리
촬영 기간 2023년 7월 31일 ~ 2023년 10월 13일
스트리밍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4] | [5] | [6]
파일:세계 지도.svg:
[[Viu|
Viu
]]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2.3. 메이킹
3. 등장인물4. 설정
4.1. 실제 마피아 게임과 차이점
5. 줄거리6. 에피소드 목록7. 평가8. 추측 및 분석9. 미디어 믹스10. 기타
10.1. 협찬사 정보
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마피아는 고개를 들어주세요
종료가 불가능한 의문의 마피아 게임에 강제로 참여하게 된 유일고 2학년 3반의 하이틴 미스터리 스릴러

2023년 U+모바일tv 오리지널 드라마로 다른 OTT 서비스를 통해서도 함께 공개 되었다.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 메인 예고 ▲ 가이드

2.2. 포스터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1차 티저 포스터.jpg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2차 티저 포스터.jpg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메인 포스터.jpg
▲ 티저 포스터 ▲ 메인 포스터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캐릭터 포스터 이윤서.jpg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캐릭터 포스터 김준희.jpg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캐릭터 포스터 오정원.jpg
이윤서
김준희
오정원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캐릭터 포스터 고경준.jpg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캐릭터 포스터 진다범.jpg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캐릭터 포스터 김소미.jpg
고경준
진다범
김소미
▲ 1차 캐릭터 포스터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2차 이윤서 캐릭터 포스터.jpg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2차 김준희 캐릭터 포스터.jpg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2차 오정원 캐릭터 포스터.jpg
이윤서
김준희
오정원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2차 고경준 캐릭터 포스터.jpg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2차 진다범 캐릭터 포스터.png
파일:밤이 되었습니다 2차 김소미 캐릭터 포스터.jpg
고경준
진다범
김소미
▲ 2차 캐릭터 포스터

2.3. 메이킹

밤이 되었습니다 메이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회차 제목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메이킹 지금 마피아 게임 하고 있는 거 아니죠? 대본 리딩 현장 공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화 ✋과몰입 방지✋ 귀여움 가득한 촬영 현장 공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화 동일인물 맞아? 장꾸들만 가득한 촬영 현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영상모음 두근두근 핑크빛 기류! 현호 X 나희 투샷 모아보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6화 고백할 것이 있습니다. 사실은.. 우리 친해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압축본 수련원에서 시작된 의문의 마피아 게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8화 과몰입 방지 영상 들고 왔습니다. 사실은 해맑은 밤되 현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부가영상 [마피아 게임 절망편] 밤되즈 6인이 본캐로 마피아 게임하면? l 단어 마피아게임 - 마피아를 찾아라!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부가영상 [대신 쓰는 생활기록부] 수정과 해명이 넘실대는 밤되즈의 생기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10화 유일고 2학년 3반은 관계성 맛집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12화 잘 가 가지마, 행복해 떠나지마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밤이 되었습니다/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설정

  • 유일고등학교
    등장인물들이 소속한 고등학교.
    특성화고로 기사가 떴지만 그 이후로의 언급은 없었다.
  • 무령수련원
    본 작품의 주요 배경이 되는 수련원. 허율의 말로는 과거 한 여고생이 자살한 사건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오정원이 밝혀낸 바로는, 운영 기록같은 것 조차 존재하지 않는 곳이라고 한 걸 보아 점점 미궁에 빠진다.

4.1. 실제 마피아 게임과 차이점

본 작품의 소재가 소재인만큼 당연히 기본 규칙은 일반적인 마피아 게임과 같다. 단, 작중 31명이나 되는 인원이 게임에 참가하기 때문인지 세부적인 규칙에 아래와 같은 차이가 있다.
  • 마피아 팀이 시민 팀과 생존자 수를 동일하게 맞춰도 게임이 종료되지 않고 반드시 어느 한 팀이 전멸해야 게임이 종료된다. 이는 하술할 '플레이어 간 살인 가능' 규칙으로 인해 존재한다.
  • 경찰과 의사의 능력 사용이 낮에 이루어지며, 48시간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존재한다. 또한 능력 사용 여부가 다음날에 전체 공지된다.[7]
  • 의사의 능력은 투표에 의한 처형 역시 방어할 수 있다. 의사가 능력을 사용한 대상이 그 날 처형된 경우 해당 플레이어는 다음 날 아침에 부활한다.
  • 마피아는 밤에 2명 이상의 플레이어를 처형할 수도 있다.
  • 각 일차에 낮에는 투표 최다득표로 인한 처형 대상자 한 명이, 밤에는 마피아에 의한 처형 대상자 한 명이 반드시 정해져야 한다.[8] 그렇지 않은 다음 상황의 경우 규칙 위반으로 간주한다.
    • 밤 12시까지 투표하지 않을 경우 투표가 완료될 때까지 투표하지 않은 인원이 무작위로, 순차적으로 한 명씩 처형된다.
    • 동점표가 발생할 경우 동점자를 대상으로 2차 투표가 5분간 진행된다. 2차 투표에서도 동점표가 발생하면 전원 처형된다.
    • 마피아가 아침 6시까지 아무도 처형하지 않으면 마피아 중 한 명이 대신 처형된다. 이 경우 마피아에 의한 처형 으로 공지된다.[9]
  • 시민 팀 플레이어도 낮에 다른 플레이어를 직접 살해할 수 있다. 단, 마피아 팀은 같은 마피아 팀 플레이어를 살해할 수 없다.

5.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밤이 되었습니다/줄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에피소드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밤이 되었습니다/에피소드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밤이 되었습니다/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추측 및 분석

  • 흑막에 대한 추측
    처형 대상이 조종당하는것 마냥 눈 흰자가 다 드러난 상태로 스스로 자살하거나, 시간이 되면 수면가스 같은 장치도 없이 일제히 전원이 동시에 기절하는 등[10] 게임을 진행하는 장치들이 현실성을 따지지 않는데 어떤 원리인지 아직까지 제대로된 설명은 나오지 않았다. 작중 학생들도 주변 정찰을 나가거나 핸드폰의 베터리를 통해 시공간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인지한다. 작중 상황 일대가 가상현실이 아니라면, 게임을 꾸민 흑막은 인간 이상의 존재일 가능성이 높다. 즉 고死: 피의 중간고사쏘우같이 기계적인 장치나 트랩들로 이루어진 서바이벌이 아닌 아닌 신이 말하는 대로아리스 인 보더랜드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한 게임으로 보여진다. 다만 비슷한 학교+서바이벌 배틀로얄물인 시그널 100의 경우는 인간에 의한 아주 강력한 최면술 이라는 설정을 쓴 바 있다.
    {{{#!folding [ 스포일러 주의 ]
결말부에서 가상현실 게임으로 드러났다. 공교롭게도 비슷한 드라마인 아리스 인 보더랜드에서 최종보스가 제시한 정체불명 세계에 대한 정답들 중 하나로 제시된 답이 '가상현실 게임의 세계'이다.[11]}}}

9. 미디어 믹스

9.1. 웹소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밤이 되었습니다(웹소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타

  • 전혀 관계 없는 작품이지만, 똑같이 마피아 게임 시그니처 멘트를 제목으로 사용해 2021년 공개 되었던 동명의 10분짜리 대한민국 단편 영화가 존재한다.# "밤이 되었습니다"가 마피아 게임의 시그니처 멘트라는 것을 알지 못하는 해외 시청자들 중 일부는 이 영화가 원작이라고 잘못 알고 있고 댓글이나 정보성 글을 통해 그렇게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 배우 차우민의 언론 인터뷰에 따르면 처형 장면은 촬영 때는 수위가 더 쎘으나 완성된 편집본에서는 전체적으로 톤 다운 되었다고 한다.# 첫 상업 장편영화 데뷔작이었던 슬래셔 영화로 특히 호평을 받았던 임대웅 감독의 작품인 만큼, 현장 촬영 자체는 거의 그에 준하는 분위기로 진행되었다가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근데 여전히 고어하다
  • 스트리밍 공개 기간 종료 후 2024년 1월 14일부터 CJ ENM의 방송 채널 OCN을 통해 TV 방영도 시작했다.#예고영상 OCN은 이 작품의 연출자인 임대웅 감독의 드라마 전작 써치를 함께 했던 인연이 있는 채널이기도 하다.

10.1. 협찬사 정보

  • 블라인드협조: 블라인드 메이트
  • 세트협조: 바른목재 / 광주해성판넬
  • 악세사리협조: 락킹에이지
  • 신발협조: 르무통 (LeMouton)
  • 안경협조: 아이로닉 (IRONIC ICONIN)
  • 가방협조: SOW백팩
  • 장소협조: 호원대학교, 송원대학교, 송원고등학교, 광주 가톨릭 평생교육원, 신시도 옥이네 포차

11. 둘러보기

파일:U+모바일tv 로고 화이트.svg 오리지널 드라마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하이쿠키 남지현, 최현욱, 김무열 20부작
밤이 되었습니다 이재인, 최예빈, 김우석, 차우민, 안지호, 정소리 12부작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브랜딩 인 성수동 김지은, 로몬, 양혜지, 김호영 24부작
타로 조여정, 박하선, 덱스, 고규필, 서지훈, 이주빈, 김성태, 함은정, 오유진
}}}}}}}}}||
{{{#!wiki style="color:#fff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공개 예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메스를 든 사냥꾼 강훈 16부작
}}}}}}}}}||

[1] 미드폼.[2] 호평을 받았던 2006년 슬래셔 영화 〈스승의 은혜〉로 유명한 감독으로, 드라마〈써치〉, 옴니버스 영화〈무서운 이야기〉등을 연출.[3] 영화 비상선언, 최종병기 활의 촬영감독.[4] 12월 4일에 4파트(2부) 동시 공개 후, 매주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1파트씩 순차 공개.[5] 매주 목요일 4파트(2부)씩 동시 공개.[6] 2023년 12월 26일부터 전편 보기 서비스 시작.[7] 경찰의 경우 능력 사용 여부만, 의사의 경우 능력 사용 대상까지 공지된다.[8] 즉, 하루에 두 명씩은 반드시 처형되어야 한다.[9] 마피아가 자살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피아에 의한 처형으로 공지되는 듯하다.[10] 작중에선 학교 종소리가 울려퍼지면 학생들이 전부 기절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11] 이쪽은 최종 보스가 주인공 두 사람의 정신을 혼란스럽게 하고 자의로 게임을 포기하게 만드는 최면을 걸기 위해 한 거짓말이다.